맨위로가기

규소 연소 과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소 연소 과정은 별의 진화 마지막 단계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으로, 별의 중심핵 온도가 약 27억~35억 켈빈에 도달하면 시작된다. 이 과정은 알파 과정을 수반하며, 규소와 헬륨 원자핵이 결합하여 황, 아르곤, 칼슘, 타이타늄, 크로뮴, 철, 니켈 등의 원소를 생성한다. 니켈-56은 최종 생성물이며, 불안정하여 코발트-56을 거쳐 철-56으로 붕괴한다. 규소 연소는 약 하루 동안 지속되며, 핵붕괴로 인한 충격파로 중단된 후, 별의 핵은 중력 붕괴를 겪어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을 형성하고, 외부에서는 II형 초신성 폭발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r-과정을 통해 철보다 무거운 원소들이 생성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핵합성 - 네온 연소 과정
    네온 연소 과정은 별의 진화 단계에서 탄소 연소 이후에 발생하며, 네온이 감마선 또는 헬륨과 반응하여 산소와 마그네슘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 핵합성 - 삼중 알파 과정
    삼중 알파 과정은 헬륨-4 핵 세 개가 융합하여 탄소-12 핵을 생성하는 핵융합 반응으로, 고온 고압의 별 내부 환경에서 탄소를 생성하여 항성 핵합성과 별의 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베릴륨-8의 불안정성과 탄소-12의 호일 상태 공명 현상이 이 반응을 가능하게 한다.
  • 항성물리학 - CNO 순환
    CNO 순환은 별 내부에서 탄소, 질소, 산소를 촉매로 사용하여 수소를 헬륨으로 변환하는 핵융합 과정으로, 높은 온도에서 대질량별의 주요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온도에 민감하고 여러 변형이 존재하며 항성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항성물리학 -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
    양성자-양성자 연쇄 반응은 태양과 같은 저질량 항성의 주요 에너지원인 핵융합 과정으로, 여러 단계를 거쳐 양성자가 헬륨으로 변환되며 감마선과 중성미자를 방출한다.
규소 연소 과정
규소 연소 과정
정의무거운 별에서 규소의 핵융합 반응으로, 최종 단계의 핵융합 과정임.
관련 정보지속 시간: 약 1일
최소 초기 질량: 8 태양질량
최소 질량: 1.4 태양질량
온도: 3 × 10^9 켈빈
밀도: 3 × 10^10 kg/m³
주요 생성물, 니켈
이전 단계산소 연소 과정
다음 단계초신성 폭발

2. 핵융합 과정

항성은 주로 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하지만, 별의 질량이 충분히 커지면 중심핵의 온도와 압력이 높아져 헬륨 핵융합이 시작된다.

2. 1. 알파 과정

알파 과정은 별의 진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헬륨 핵융합 반응이다. 이 과정은 헬륨 원자핵(알파 입자)이 다른 원자핵과 결합하여 더 무거운 원소를 생성하는 일련의 단계를 거친다.

태양 질량의 8~11배 이상인 무거운 별들은 그 질량으로 인한 위치 에너지 때문에 탄소를 융합시킬 수 있다. 별의 핵이 으로 가열되면 탄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이 차례로 헬륨과 반응하여 더 무거운 원소를 만든다.[14]

반응
12C + 4He16O
16O + 4He20Ne
20Ne + 4He24Mg
24Mg + 4He28Si



별의 핵이 27~35억 켈빈까지 가열되면 규소 연소 과정이 시작된다. 규소 연소는 알파 과정을 수반하여, 각 단계에서 헬륨 원자핵이 핵에 달라붙는 방식으로 새로운 원소를 합성한다.

반응
28Si + 4He32S
32S + 4He36Ar
36Ar + 4He40Ca
40Ca + 4He44Ti
44Ti + 4He48Cr
48Cr + 4He52Fe
52Fe + 4He56Ni



니켈-56은 불안정하여 6.02일의 반감기를 가지고 코발트-56으로 붕괴하고, 코발트-56은 다시 77.3일의 반감기로 -56으로 붕괴한다. 하지만 질량이 큰 별 내부에서는 니켈이 붕괴할 수 있는 시간이 몇 분밖에 되지 않는다. 알파 과정에서 생기는 원자핵 중 56개의 핵자를 가진 원자핵은 단위 핵자당 질량이 가장 작다. 다음 산물인 아연-60은 질량이 조금 더 크기 때문에 에너지를 흡수한다.

2. 2. 탄소 연소 이후

태양 질량의 8~11배 이상인 별은 탄소를 융합시킬 수 있을 만큼 질량이 크다. 이런 별에서는 핵이 6억 켈빈으로 가열되어 새로운 핵을 만든다. 탄소 연소 과정은 다음과 같다.

반응 순서반응
112C + 4He16O
216O + 4He20Ne
320Ne + 4He24Mg
424Mg + 4He28Si



원소의 종류는 양성자 수에 의해 결정되며, 중성자가 붙으면 비슷한 다른 동위원소가 생길 수 있다.

2. 3. 규소 연소

더 큰 항성에서는 핵에 이나 규소만을 가지고 있다. 핵이 27~35억 켈빈까지 가열되면 규소 연소 과정이 시작된다. 규소 연소는 알파 과정을 수반한다. 즉, 각 단계에서 헬륨 원자핵이 핵에 달라붙는 방식으로 새로운 원소를 합성한다.

반응 순서반응식
128Si + 4He32S
232S + 4He36Ar
336Ar + 4He40Ca
440Ca + 4He44Ti
544Ti + 4He48Cr
648Cr + 4He52Fe
752Fe + 4He56Ni



니켈-56은 6.02일의 반감기를 가지고 코발트-56으로, 다시 77.3일의 반감기로 -56으로 붕괴한다. 하지만 질량이 큰 별 내부에서 니켈이 붕괴할 수 있는 시간은 몇 분 뿐이다. 비록 철-58과 니켈-62가 -56보다 핵자 당 질량이 적지만[14], 56은 알파 과정에서 생기는 원자핵 중 단위 핵자 당 질량이 가장 작은 질량수이다. 다음 산물인 아연-60은 질량이 조금 더 크기 때문에 에너지를 흡수한다.

2. 4. 반응의 종결

니켈-56은 알파 과정의 최종 생성물이다. 니켈-56은 6.02일의 반감기를 가지고 코발트-56으로 붕괴하며, 코발트-56은 다시 77.3일의 반감기로 -56으로 붕괴한다. 하지만 질량이 큰 별 내부에서 니켈이 붕괴할 수 있는 시간은 몇 분 뿐이다.[14] 철-58과 니켈-62가 -56보다 핵자당 결합 에너지가 더 크지만,[14] 알파 과정에서는 아연-60이 생성되어야 하는데, 아연-60은 이전 단계보다 질량이 더 크기 때문에 에너지를 흡수한다.

핵융합 반응이 멈추면 별의 중심핵은 중력에 의해 붕괴하며, 이는 초신성 폭발로 이어진다. 중력이 커서 50억 켈빈까지 가열되기 때문에 붕괴가 지연되지만, 결국 융합에 의해 생성되는 열이 없어져 수 초 만에 붕괴가 일어난다. 별의 핵은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이 되고, 외부는 II형 초신성이 된다. 초신성 폭발은 중성자 다발을 분출하고, r-과정에 의해 새로운 원소를 합성한다.

3. 결합 에너지

핵자당 결합 에너지는 원자핵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가벼운 원소는 핵융합을 통해 더 무거운 원소로 변환될 때 에너지를 방출하고 (결합 에너지 증가), 무거운 원소는 핵분열을 통해 더 가벼운 원소로 변환될 때 에너지를 방출한다. 철-56은 핵자당 결합 에너지가 가장 높아, 핵융합이나 핵분열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할 수 없는 가장 안정한 핵종이다.[10] 니켈-56의 붕괴는 금속 운석과 암석 행성의 핵에서 많은 양의 철-56이 발견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위 그래프는 다양한 핵종의 핵자당 결합 에너지를 보여준다. 결합 에너지는 자유 중성자와 양성자의 에너지와 핵종의 에너지 차이이다. 반응의 생성물이 반응물보다 핵자당 결합 에너지가 더 크다면, 그 반응은 발열 반응(에너지를 방출함)이며 진행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양성자나 중성자의 수가 변하지 않는 반응(약한 힘 반응 없음)에만 유효하다. 보이는 바와 같이, 중수소헬륨과 같은 가벼운 핵종은 더 무거운 원소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할 때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한다(결합 에너지의 큰 증가). 반대로, 우라늄과 같은 무거운 원소는 가벼운 원소로 분열될 때 에너지를 방출한다.

철-58과 니켈-62는 핵자당 질량이 철-56보다 약간 작지만[12], 철-56은 알파 과정에서 생기는 원자핵 중 단위 핵자당 질량이 가장 작은 질량수이다.

4. 중원소 생성과 초신성 폭발

알파 과정은 별 내부에서 보다 가벼운 원소들을 생성하는 주요 메커니즘이다. 규소 연소 과정은 알파 과정을 수반하는데, 각 단계에서 헬륨 원자핵 (알파 입자)이 핵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원소를 합성한다. 이 과정은 규소-28에서 시작하여 -32, 아르곤-36, 칼슘-40, 타이타늄-44, 크로뮴-48, -52를 거쳐 니켈-56까지 이어진다.[14] 이후 니켈-56은 코발트-56을 거쳐 -56으로 붕괴한다.

반응 과정
28Si + 4He32S
32S + 4He36Ar
36Ar + 4He40Ca
40Ca + 4He44Ti
44Ti + 4He48Cr
48Cr + 4He52Fe
52Fe + 4He56Ni



보다 무거운 원소들은 주로 초신성 폭발과 같은 격렬한 천체 현상에서 r-과정(급속 중성자 포획 과정) 등을 통해 생성된다. 초신성 폭발은 중성자별 또는 블랙홀을 형성하며, 우주 공간으로 중원소를 방출하여 새로운 별과 행성계 형성의 재료를 제공한다.

참조

[1] 논문 The physics of core collapse supernovae
[2] 서적 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논문 Hydrostatic oxygen burning in stars II. oxygen burning at balanced power
[4] 서적 Principles of stellar evolution and nucleosynthe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 논문 Theory of core-collapse supernovae 2006-12-04
[6] 서적 Shadow of a star: The neutrino story of Supernova 1987A https://web.archive.[...] W. H. Freeman 2007-11-19
[7] 논문 The Maximum Mass of a Neutron Star 1996
[8] 웹사이트 Gravitational Waves from Gravitational Collapse https://web.archive.[...] Max Planck Institute for Gravitational Physics 2006-01-24
[9] 논문 Black Hole Formation from Stellar Collapse https://zenodo.org/r[...] 2003
[10] 웹사이트 Mass number, number of protons, name of isotope, mass [MeV/c^2], binding energy [MeV] and binding energy per nucleus [MeV] for different atomic nuclei https://web.archive.[...] 2005-07
[11] 논문 The physics of core collapse supernovae https://arxiv.org/pd[...]
[12] 논문 The atomic nuclide with the highest mean binding energy https://ui.adsabs.ha[...]
[13] 논문 The physics of core collapse supernovae http://arxiv.org/pdf[...]
[14] 논문 The atomic nuclide with the highest mean binding energy http://adsabs.harv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