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레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레보어는 순음, 치경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순치 연구개음, 성문음 등의 자음과 구강 모음 및 비모음을 포함하는 언어이다. 매크로 언어를 구성하며, 버클리빌 그레보어, 중부 그레보어, Gboloo Grebo, 북부 그레보어, 남부 그레보어 등 여러 방언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그레보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그레보어 |
자기 이름 | Kréébo (크레에보) |
사용 국가 | 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 |
사용자 수 | 387,000명 (2001년) |
언어 계통 | 니제르콩고어족 |
어파 | 대서양콩고어파 |
어군 | 크루어군 |
하위 어군 | 서부 크루 제어 |
하위 제어 | 그레보어파 |
ISO 639-3 | grb |
Glottolog | greb1256 |
Glottolog 이름 | 라이베리아 그레보어 |
방언 | |
방언 종류 | 남부 (grj) (자보어 포함) 중앙 (grv) 북부 (gbo) 그볼루 (gec) 바클레이빌 (gry) 글리오-우비어 (oub) |
2. 음운
그레보어는 다양한 자음과 모음을 가지고 있으며, 성조는 없다.[4]
2. 1. 자음
2. 2. 모음
그레보어는 구강 모음과 비모음으로 나뉘며, 일부 모음은 후퇴되거나 "먹먹한" 소리를 낸다.[4]rowspan="2" | | 전설 | 중설 | 후설 | ||
---|---|---|---|---|---|
plain | ret. | ||||
폐쇄 | colspan="2" | | colspan="2" | | |||
반폐쇄 | |||||
반개 | colspan="2" | | colspan="2" | | |||
개 | colspan="2" | | colspan="2" | |
하위 섹션에서 비모음 테이블을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비모음 테이블을 제거한다.
2. 2. 1. 비모음
그레보어는 크게 5개의 주요 방언으로 나뉘며, 각 방언은 다시 여러 하위 방언으로 세분화된다.
3. 하위 방언
3. 1. 주요 방언
방언명 | 화자 수 |
---|---|
버클리빌 그레보어 | 23,700명 |
중부 그레보어 | 30,800명 |
Gboloo Grebo | 64,400명 |
북부 그레보어 | 84,500명 |
남부 그레보어 | 61,600명 |
3. 2. 세부 방언
방언명 | 사용자 수 | 비고 |
---|---|---|
버클리빌 그레보어 (Barclayville Grebo) | 23,700명 | |
중부 그레보어 (Central Grebo) | 30,800명 | |
Gboloo Grebo | 64,400명 | |
북부 그레보어 (Northern Grebo) | 84,500명 | |
남부 그레보어 (Southern Grebo) | 61,600명 | |
바클레이빌 그레보 | 웨데보 (gry-wed), 클레보 (gry-kpl) | |
중앙 그레보 | 녜네보 (grv-nye), 보로보 (grv-bor), 도로보 (grv-dor), 글로보 (grv-glo), 트렘보 (grv-tre) | |
그볼루 그레보 | 게데로보 (gec-ged), 냐눈 (gec-nya), 비아보 (gec-bia), 투오보 (gec-tuo), 데지에보 (gec-ded) | |
북부 그레보 | 클레포 (gbo-kle), 제데포 (gbo-jed), 그베포 (gbo-gbe), 포포-부아 (gbo-fop), E Je (gbo-eje), 체데포 (gbo-che), 티엔포 (gbo-tie), 팔리포 (gbo-pal) | |
남부 그레보 | 냐보 (grj-nya), 글레보 (grj-gle), 렐포 (grj-wre), 자보 (grj-jab) |
참조
[1]
문서
Barclayville Grebo
[2]
서적
A Grebo - English Dictiona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67
[3]
문서
Gordon Innes, as above. A dictionary was compiled from previous dictionaries and the speech of Assistant 1955-1957 at th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London, Mr. J.Y.Dennis
[4]
서적
An Introduction to Grebo
London: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University of London
1966
[5]
서적
A Grebo - English Dictionary
케임브리지 대학교
196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