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제1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리스 제1공화국은 1821년 그리스 독립 전쟁의 결과로 수립된 국가로, 1822년 에피다우로스에서 헌법을 제정하며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내전과 외부의 위협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1827년 열강의 개입으로 자치국 수립에 합의하고, 나바리노 해전 승리로 독립을 확보했다. 요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총독 시기 국가 기반을 다졌으나 암살로 인해 혼란이 지속되었고, 결국 열강의 결정에 따라 왕국으로 전환, 오토 1세가 즉위하며 제1공화국은 종말을 맞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대 그리스 - 튀르키예 독립 전쟁
튀르키예 독립 전쟁은 오스만 제국 해체 후 터키 민족주의 세력이 아타튀르크를 중심으로 앙카라 정부를 수립, 연합국과 싸워 독립을 쟁취하고 터키 공화국을 건립한 전쟁으로, 소수 민족 학살 논란도 있다. - 근대 그리스 - 8월 4일 체제
8월 4일 체제는 1936년 이오아니스 메탁사스가 그리스에서 계엄령을 선포하고 헌법을 정지시켜 수립한 권위주의 정권으로, 정치적 혼란과 공산주의 확대를 배경으로 독재 체제를 구축하고 사회를 통제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붕괴되었다. - 옛 공화국 - 베트남 공화국
베트남 공화국은 1955년 응오딘지엠이 수립한 국가로, 베트남 전쟁의 주요 무대였으며, 권위주의와 부패, 내전 격화, 미국의 개입을 거쳐 1975년 사이공 함락으로 멸망했다. - 옛 공화국 - 대한민국 제5공화국
12·12 군사반란으로 권력을 잡은 전두환 신군부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폭력적 진압과 국보위 설치를 통해 수립한 군사정권인 대한민국 제5공화국은 7년 단임 대통령제를 골자로 하는 제8차 헌법 개정을 통해 공식 출범했으나, 권위주의적 요소 유지와 인권 침해 문제, 정치적 억압 등으로 몰락하여 노태우 취임과 함께 종식되었다.
그리스 제1공화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국가 표어 | 로마자 표기: Eleftheria i thanatos 한글: 자유 아니면 죽음 |
수도 (공식, 1827년부터) | 나프플리오 |
공용어 | 그리스어 |
종교 | 그리스 정교회 |
![]() | |
오늘날 | 그리스 |
주민 | 그리스인, 헬라인 |
정치 | |
정부 형태 | 단일 대통령 공화국 |
대통령 | 1822–1823: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1823–1826: 페트로베이 마브로미할리스 1826–1827: 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 1823: 안드레아스 자이미스 |
총독 | 1827–1831: 이오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1831–1832: 아우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 |
입법부 | 국민 의회 |
역사 | |
주요 사건 | 그리스 독립 전쟁 시작 (1821년 2월 23일, 왈라키아) 그리스 독립 전쟁 시작 (1821년 3월, 펠로폰네소스) |
독립 선언 | 독립 선언 (1822년 1월 1일) |
자치 인정 | 런던 의정서 (1829년 3월 22일) |
독립 인정 | 런던 의정서 (1830년 2월 3일) |
종결 | 콘스탄티노플 조약 (1832년 8월 8일) |
결과 | 왕국 수립 (1832년 8월 30일) |
통화 | |
통화 | 피닉스 |
이전 | |
이전 국가 | 모레아 에얄레트 군도 에얄레트 야니나 파샬리크 사모스 군정 체제 (1828년) |
이후 | |
이후 국가 | 그리스 왕국 사모스 군정 체제 (1830년) |
2. 역사
1821년 봉기 초기에 여러 지역에서 각자 지역 통치 의회를 선출했다. 이 의회들은 1822년 초 에피다우로스 제1차 국민의회에서 중앙 행정부로 대체되었으며, 최초의 그리스 헌법도 채택되어 현대 그리스 국가의 탄생을 알렸다. 그러나 중앙 정부의 권력은 1824/25년까지 확고하게 수립되지 않았다.[1] 새로운 국가는 당시 열강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했고, 내전으로 인한 내부 문제와 이브라힘 파샤의 터코-이집트 군대의 승리로 인한 외부 위협으로 붕괴 위기에 처했다.[1]
1827년까지 그리스 혁명은 본토에서 거의 진압되었지만, 이때 열강은 런던 조약에 명시된 대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하에 자치적인 그리스 국가를 수립하는 데 동의하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이 이 조건을 거부하자 나바리노 해전이 벌어져 사실상 그리스의 완전한 독립을 확보했다.
1827년, 트로이젠 제3차 국민의회는 '''헬레닉 국가'''(Ἑλληνικὴ Πολιτεία|헬레니케 폴리테이아grc)를 수립하고 요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백작을 그리스 총독으로 선출했다. 따라서 이 시대는 종종 '''총독 시대'''()라고 불린다. 1828년 1월 그리스에 도착한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기능적인 국가를 건설하고 전쟁으로 황폐해진 국가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했지만, 곧 강력한 지역 거장들과 수장들과의 갈등에 휘말렸다.[2]
1828년부터 1830년까지 사모스 섬은 동부 스포라데스 주의 일부로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카포디스트리아스는 1831년 정치적 라이벌들에게 암살당하여 국가는 다시 내전으로 몰아넣었다. 그는 그의 형제 아우구스티노스가 계승했지만, 6개월 만에 사임해야 했다. 나프플리온 제5차 국민의회는 새로운 왕정 헌법을 초안했고, 세 개의 "보호국"(영국, 프랑스, 러시아)이 개입하여 1832년 런던 회의에서 그리스를 왕국으로 선포하고 바이에른 왕자 오토 폰 비텔스바흐를 국왕으로 임명했다.
2. 1. 그리스 독립 전쟁
1821년 알렉산드로스 이프실란티스가 이끄는 필리키 에테리아의 봉기로 그리스 독립 전쟁이 시작되었다.[6][7] 이프실란티스의 부대는 러시아-루마니아 국경의 프루트 강을 넘어 오스만 제국 영토인 몰도바에 침입했지만, 초기 열강들의 비난과 러시아의 지원 철회로 6월에 궤멸되었다.[6][8][9]그러나 이 봉기는 그리스 각지(에피루스, 마케도니아, 테살리아, 중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 에게 해 제도)의 민중 봉기로 이어졌고, 특히 펠로폰네소스는 그리스 반군의 주력이 되었다.[10][8] 유럽 각지에서는 그리스를 지지하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조지 고든 바이런, 알렉산드르 푸시킨 등도 참여했다.[10][11][12]
그리스 반군은 초기 유리한 전투를 벌였지만, 여러 세력으로 나뉘어 통합되지 못했다.[13][14] 1821년 12월, 에피다우로스에서 제1차 국민 의회가 열려 세 정부의 통합에 합의하고, 최초의 그리스 헌법을 공포하여 현대 그리스의 기반을 형성했다.[15] 1822년 헌법이 개정되고 중앙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두 차례의 내전(1823년 11월~1824년, 1824년 11월~1824년 12월)이 발생하는 등 혼란이 계속되었다.[10][15][16] 그리스는 열강의 인정을 받지 못했고, 1824년과 1825년 영국에 중재를 요청했다.[17]
2. 2. 제1헬레닉 공화국의 성립과 발전
1821년 봉기 초기에 여러 지역에서 각각 지역 통치 의회를 선출했습니다. 이 의회들은 1822년 초 에피다우로스 제1차 국민의회에서 중앙 행정부로 대체되었으며, 최초의 그리스 헌법도 채택되어 현대 그리스 국가의 탄생을 알렸습니다. 그러나 의회는 계속 존재했고, 중앙 정부의 권력은 1824/25년까지 확고하게 수립되지 않았습니다.[1] 새로운 국가는 당시 열강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했고, 초기 성공 이후 내전으로 인한 내부 문제와 이브라힘 파샤의 투르크-이집트 군대의 승리로 인한 외부 위협으로 붕괴 위기에 처했습니다.[1]1827년까지 그리스 혁명은 본토에서 거의 진압되었지만, 이때 열강은 런던 조약에 명시된 대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하에 자치적인 그리스 국가를 수립하는 데 동의하게 되었습니다. 오스만 제국이 이 조건을 거부하자 나바리노 해전이 벌어져 사실상 그리스의 완전한 독립을 확보했습니다.
1827년, 트로이젠 제3차 국민의회는 '''헬레닉 국가'''(Ἑλληνικὴ Πολιτεία|헬레니케 폴리테이아grc)를 수립하고 요아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 백작을 그리스 총독으로 선출했습니다. 따라서 이 시대는 종종 '''총독 시대'''()라고 불립니다. 1828년 1월 그리스에 도착한 후 카포디스트리아스는 기능적인 국가를 건설하고 전쟁으로 황폐해진 국가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했지만, 곧 강력한 지역 거장들과 수장들과의 갈등에 휘말렸습니다.[2]
1828년부터 1830년까지 사모스 섬은 동부 스포라데스 주의 일부로 공화국에 편입되었습니다.
3. 국가 원수
그리스 제1공화국의 정부 수반은 그리스 국가 원수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5]
1822년부터 1827년까지는 임시 정부 형태로 운영되었으며, 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 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 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 안드레아스 자이미스가 행정부 또는 정부 위원회 의장을 역임했다.
1828년부터 1832년까지는 요안니스 카포디스트리아스와 아브구스티노스 카포디스트리아스 형제가 총독직을 수행했다. 이들은 러시아당 소속이었다.
3. 1. 그리스 임시 정부 (1822–1827)
(출생–사망)
Αλέξανδρος Μαυροκορδάτος|알렉산드로스 마브로코르다토스el
(1791–1865)

Πέτρος Μαυρομιχάλης (Πετρόμπεης)|페트로스 마브로미할리스 (페트롬베이스)el
(1765–1848)

Γεώργιος Κουντουριώτης|게오르기오스 쿤투리오티스el
(1782–1858)

Ανδρέας Ζαΐμης|안드레아스 자이미스el
(1791–1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