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군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근위군단은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부터 제1차 세계 대전까지 참전한 독일 제국 육군의 군단이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으며, 특히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서부 전선과 동부 전선에서 활약했다. 근위군단은 일반적인 군단보다 더 많은 부대를 보유했으며, 평시에는 3개의 사단(기병 1개, 보병 2개)과 다양한 군단 부대로 구성되었다. 1914년 동원령에 따라 재편성되었으며, 1918년 종전 시까지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제국군의 군단 - 근위예비군단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과 러시아 제국 육군에서 운용된 군단급 부대인 근위예비군단은 1914년 독일이 러시아 제국군의 공격에 대비해 예비군을 기반으로 창설되었으며, 막스 폰 갈비츠가 초대 사령관을 맡아 동부 전선에서 활동하다 1916년 서부 전선으로 이동하여 종전까지 활약했다. - 독일 제국군의 군단 - 보충군단
보충군단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제국 육군에서 부족한 병력을 보충하기 위해 창설된 예비 병력으로, 징집된 민간인들을 짧게 훈련시켜 전투 부대의 손실을 메우는 역할을 수행했지만, 독일군의 전선 재편 과정에서 해체되었다.
근위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명칭 | 근위군단 |
원어 명칭 | Gardekorps (가르데코릅스) |
약칭 | GK |
종류 | 군단 |
군사 정보 | |
소속 국가 | 프로이센 / 독일 제국 |
병과 | 포병 기병 보병 공병 |
규모 | 약 44,000명 (1914년 동원 시) |
본부 위치 | 베를린/힌터 뎀 기슈하우제 3 |
표어 | Semper talis (젬퍼 탈리스, 언제나 동일하게/훌륭하게) |
별칭 | 없음 |
지휘관 | |
후원자 | 독일 황제 겸 프로이센 국왕 |
주목할 만한 지휘관 | 정보 없음 |
현재 지휘관 | 정보 없음 |
연대장 | 정보 없음 |
역사 | |
창설 | 1813년 |
해체 | 1919년 |
참전 전투 | 보오전쟁 쾨니히그레츠 전투 보불전쟁 그라벨로테 전투 스당 전투 파리 공방전 르부르제 전투 제1차 세계 대전 국경 전투 제1차 마른 강 전투 제1차 이프르 전투 |
기타 | |
기념일 | 정보 없음 |
훈장 | 정보 없음 |
전투 훈장 | 정보 없음 |
상징 | GK (약어) |
2. 역사
근위군단은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상대로 쾨니히그레츠 전투 등에 참전했다. 1870년부터 1871년까지는 제2군 소속으로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참전하여 프랑스와 교전했으며, 그라벨로트 전투, 세단 전투, 파리 포위전(르 부르제 전투 포함) 등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초기인 1914년 8월, 근위군단은 슐리펜 계획에 따라 프랑스와 벨기에를 침공하는 제2군의 우익 부대로 참전했다. 그러나 마른 전투에서 프랑스군에 의해 큰 피해를 입었다.[12][13][14]
1915년 7월에는 크라스노스타프 인근에서 러시아 근위군단을 상대로 "근위대 전투"를 벌였고,[12][13][14] 같은 해 7월 루블린-홀름 전투에도 참가했다.[15] 1917년에는 제1군 소속으로 엔 강에서 프랑스 공세를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제4군에 소속되어 서부 전선에서 종전을 맞이했다.[3]
2. 1.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1866)
근위군단은 1866년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을 상대로 전투를 벌였으며, 여기에는 쾨니히그레츠 전투도 포함된다.2. 2.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0-1871)
제2군 소속으로 1870-1871년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 참전하여 프랑스와 교전했다. 그라벨로트 전투, 세단 전투, 파리 포위전(르 부르제 전투 포함)을 비롯한 여러 전투에 참전했다.2. 3. 제1차 세계 대전 (1914-1918)
1914년 8월, 동원령에 따라 근위군단은 슐리펜 계획 공세의 일환으로 프랑스와 벨기에를 침공하는 부대의 우익의 일부로서 제2군에 배속되었다. 마른 전투에서 프로이센 근위대는 프랑스 진지를 점령하려다 처참하게 패배했다.[12][13][14]1915년 7월 초, 이 부대는 크라스노스타프 인근에서 "근위대 전투"에 참가하여 러시아 근위군단의 일부를 상대로 작전을 수행했다. 같은 해 7월 루블린-홀름 전투에도 참가했다.[15] 1917년, 군단은 제1군의 일부로서 엔 강에 주둔했으며, 해당 지역에서 프랑스 공세에 맞선 독일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제4군에 소속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헤레스그루페 크론프린츠 루프레히트''의 서부 전선에 배치되었다.[3]
2. 3. 1. 초기 서부 전선
동원령에 따라 근위군단은 1914년 8월 슐리펜 계획 공세의 일환으로 프랑스와 벨기에를 침공하는 부대의 우익의 일부로서 제2군에 배속되었다. 전쟁 초 마른 전투에서 프로이센 근위대는 프랑스 진지를 점령하려다 처참하게 패배했다.2. 3. 2. 동부 전선
1914년 8월 동원령에 따라 근위군단은 슐리펜 계획 공세의 일환으로 프랑스와 벨기에를 침공하는 부대의 우익의 일부로서 제2군에 배속되었다. 전쟁 초 마른 전투에서 프로이센 근위대는 프랑스 진지를 점령하려다 처참하게 패배했다.1915년 7월 초, 이 부대는 크라스노스타프 인근에서 "근위대 전투"에 참가하여 러시아 근위군단의 일부를 상대로 작전을 수행했다.[12][13][14] 1915년 7월 루블린-홀름 전투에도 참가했다.[15]
1917년, 군단은 제1군의 일부로서 엔 강에 주둔했으며, 해당 지역에서 프랑스 공세에 맞선 독일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3. 3. 후기 서부 전선
동원령에 따라 근위군단은 1914년 8월 슐리펜 계획 공세의 일환으로 프랑스와 벨기에를 침공하는 부대의 우익의 일부로서 제2군에 배속되었다. 마른 전투에서 프로이센 근위대는 프랑스 진지를 점령하려다 처참하게 패배했다.이 부대는 제4군에 소속되어 전쟁이 끝날 때까지 존재했으며, ''헤레스그루페 크론프린츠 루프레히트''의 서부 전선에 배치되었다.[3]
3. 평시 조직
독일 제국 육군의 25개 평시 군단은 표준화된 조직을 갖추고 있었으나, 근위 군단은 예외였다.[4] 일반적인 군단은 2개의 보병 사단으로 구성되었지만, 근위 군단은 2개의 보병 사단(제1 근위 보병 사단, 제2 근위 보병 사단) 외에도 독일 육군에서 유일한 평시 기병 사단인 근위 기병 사단을 포함했다.
표준 군단 구성과 비교했을 때 근위 군단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근위 군단의 자세한 평시 조직은 하위 섹션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5]
3. 1. 일반적인 군단 구성
독일 제국 육군의 25개 평시 군단은 표준화된 조직을 갖추고 있었다. 각 군단은 보통 2개의 보병 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사단은 2개의 보병 여단, 1개의 야전 포병 여단, 1개의 기병 여단으로 구성되었다.[4] 각 여단은 일반적으로 해당 유형의 연대 2개로 구성되었으므로, 일반적인 군단은 8개의 보병 연대, 4개의 야전 포병 연대, 4개의 기병 연대를 지휘했다.이러한 표준 구성에는 몇 가지 예외가 있었다.
- 제5군단, 제6군단, 제7군단, 제9군단, 제14군단은 각각 5번째 보병 여단(10개 보병 연대)을 보유했다.
- 제2군단, 제13군단, 제18군단, 제21군단은 9번째 보병 연대를 보유했다.
- 제1군단, 제6군단, 제16군단은 3번째 기병 여단(6개 기병 연대)을 보유했다.
각 군단은 또한 보병 포병 연대, 예거 대대, 공병 대대, 수송대 대대 등 다른 여러 부대를 직접 통제했다.
근위 군단은 이 기준을 훨씬 뛰어넘는 규모였다. 11개의 보병 연대(5개 여단)와 8개의 기병 연대(4개 여단)를 보유했다. 일반적인 2개의 보병 사단(제1 근위 보병, 제2 근위 보병 사단) 외에도, 독일 육군에서 유일한 평시 기병 사단인 근위 기병 사단을 지휘했다. 또한 학교 및 시범(''Lehr'') 부대와 같은 예외적인 수의 "군단 부대"를 통합했다.
3. 2. 근위 군단의 구성 (평시)
독일 제국 육군의 근위 군단은 평시에 표준적인 군단 조직을 뛰어넘는 규모를 갖추고 있었다. 일반적인 군단이 2개의 보병 사단으로 구성된 반면, 근위 군단은 2개의 보병 사단(제1 근위 보병 사단, 제2 근위 보병 사단) 외에도 독일 육군에서 유일한 평시 기병 사단인 근위 기병 사단을 지휘했다.[4] 근위 군단은 11개의 보병 연대(5개 여단)와 8개의 기병 연대(4개 여단)를 보유했으며, 학교 및 시범(''Lehr'') 부대와 같은 예외적인 수의 군단 부대를 통합했다.[4]근위 군단의 평시 조직은 다음과 같다.[5]
사단 | 여단 | 부대 | 주둔지 |
---|---|---|---|
근위 기병 사단 | 제1 근위 기병 여단 | 근위 기병대 | 포츠담 |
근위 흉갑기병 | 베를린 | ||
제2 근위 기병 여단 | 제1 근위 울란 | 포츠담 | |
제3 근위 울란 | 포츠담 | ||
제3 근위 기병 여단 | 제1 근위 용기병 "대영제국과 아일랜드 여왕"]||베를린 | ||
제2 근위 용기병 "러시아 여제 알렉산드라"]||베를린 | |||
제4 근위 기병 여단 | 친위 기병 후사르 | 포츠담 | |
제2 근위 울란 | 베를린 | ||
제1 근위 보병 사단 | 제1 근위 보병 여단 | 제1 근위 보병 | 포츠담 |
제3 근위 보병 | 베를린 | ||
근위 예거 대대 | 포츠담 | ||
제2 근위 보병 여단 | 제2 근위 보병 | 베를린 | |
제4 근위 보병 | 베를린 | ||
근위 척탄병 | 베를린 | ||
제1 근위 야전 포병 여단 | 제1 근위 야전 포병[6] | 베를린 | |
제3 근위 야전 포병 | 베를린, 베스토크 | ||
제2 근위 보병 사단 | 제3 근위 보병 여단 | 제1 (황제 알렉산더) 근위 척탄병 | 베를린 |
제3 (여왕 엘리자베스) 근위 척탄병 | 샤를로텐부르크 | ||
근위 Schützen 대대 | 그로스-리히터펠데 | ||
제4 근위 보병 여단 | 제2 (황제 프란츠) 근위 척탄병 | 베를린 | |
제4 (여왕 아우구스타) 근위 척탄병 | 베를린 | ||
제5 근위 보병 여단 | 제5 근위 보병 | 슈판다우 | |
제5 근위 척탄병 | 슈판다우 | ||
제2 근위 야전 포병 여단 | 제2 근위 야전 포병 | 포츠담 | |
제4 근위 야전 포병 | 포츠담 | ||
군단 부대 | rowspan="18" | | Lehr 보병 대대 | 포츠담 |
제1 근위 기관총 Abteilung | 포츠담 | ||
제2 근위 기관총 Abteilung | 베를린 | ||
근위 보병 포병 | 슈판다우 | ||
야전 포병 사격 학교의 Lehr 연대 | 위터보크 | ||
보병 포병 사격 학교의 Lehr 연대 | 위터보크 | ||
근위 공병 대대 | 베를린 | ||
근위 수송 대대 | 베를린 | ||
제1 철도 연대 | 베를린 | ||
제4 철도 연대 | 베를린 | ||
철도 부대의 운영 Abteilung | 베를린 | ||
제1 전신 대대 | 베를린 (트렙토우) | ||
전쟁 전신 학교 | 슈판다우 (루엘레벤) | ||
제1 비행선 대대 | 베를린 (테겔) | ||
제2 비행선 대대 | 베를린 / 하노버 / 드레스덴 | ||
제1 비행 대대 | 되베리츠 / 그로센하인 | ||
기동 대대 | 베를린 | ||
운송 기술 심사 위원회의 시험 Abteilung | 제1 중대 베를린, 제2 중대 위터보크 |
4. 제1차 세계 대전 동원 시 조직
1914년 8월 2일 동원령에 따라 군단은 대대적으로 재편성되었다. 근위 기병 사단 (제4 근위 기병 여단 제외)은 제1 기병 군단(''Höhere Kavallerie-Kommando 1'')에 배속되었고,[7] 제4 근위 기병 여단은 해체되어 그 연대는 정찰 부대로 각 사단에 배속되었다. ''Lehr'' 보병 대대는 ''Lehr'' 보병 연대로 확장되었다.[8] 이 부대는 근위 ''Füsilier'' 연대와 함께 제6 근위 보병 여단을 형성했고, 제5 근위 보병 여단과 함께 근위 예비 군단의 제3 근위 사단을 형성했다. 사단은 군단 본부에서 공병 중대와 기타 지원 부대를 받았다.
근위 군단은 26개 보병 대대, 10개 기관총 중대 (60개 기관총), 8개 기병 대대, 24개 야전 포병 포대 (144문), 4개 중(重) 포병 포대 (16문), 3개 공병 중대, 1개 항공 분견대로 동원되었다.
5. 역대 지휘관
시작일 | 계급 | 이름 |
---|---|---|
1814년 9월 20일 | 보병 대장 | 메클렌부르크 공작 카를 |
1838년 3월 30일 | 중장 | 프로이센의 빌헬름 왕자 |
1848년 5월 23일 | 중장 | 카를 폰 프리트비츠 |
1853년 6월 2일 | 기병 대장 | 카를 폰 데어 그뢰벤 |
1858년 6월 3일 | 기병 대장 | 뷔르템베르크의 아우구스트 공 |
1882년 8월 30일 | 기병 대장 | 빌헬름 폰 브란덴부르크 |
1884년 8월 21일 | 보병 대장 | 알렉산더 폰 파페 |
1888년 9월 19일 | 보병 대장 | 오스카 폰 메어샤이트-휠레셈 |
1893년 5월 6일 | 보병 대장 | 후고 폰 빈터펠트 |
1897년 8월 18일 | 보병 대장 | 막스 폰 보크 운트 폴라흐 |
1902년 1월 27일 | 보병 대장 | 구스타프 폰 케셀 |
1909년 5월 29일 | 보병 대장 | 알프레트 폰 뢰벤펠트 |
1913년 3월 1일 | 보병 대장 | 카를 폰 플레텐베르크 |
1917년 2월 6일 | 보병 대장 | 페르디난트 폰 퀘스트 |
1917년 9월 9일 | 기병 대장 | 도나-슐로비텐 백작 |
1917년 11월 2일 | 중장 | 알프레트 폰 뵉크만 |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문서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Битва Гвардий. Часть 1
https://btgv.ru/hist[...]
2023-05-02
[13]
웹사이트
Битва Гвардий. Часть 2
https://btgv.ru/hist[...]
2023-05-02
[14]
웹사이트
Битва Гвардий. Часть 3
https://btgv.ru/hist[...]
2023-05-02
[15]
웹사이트
Люблин-Холмская битва 1915 г. Ч. 2. Борьба за инициативу
https://btgv.ru/hist[...]
2023-05-02
[16]
웹사이트
German War History
http://www.deutsche-[...]
2012-06-20
[17]
웹사이트
The Prussian Machine
http://home.comcast.[...]
2012-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