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위수발총병연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역사
- 3. 역대 연대장
- 3.1. 역대 연대장 목록
- 3.1.1. 카를 아우구스트 폰 에제베크 대령
- 3.1.2. 에른스트 루트비히 오토 폰 치텐 중령
- 3.1.3. 알렉산더 폰 크노벨슈도르프 대령
- 3.1.4. 아우구스트 알렉산더 폰 쳉게 대령
- 3.1.5. 빌헬름 폰 되링 중령
- 3.1.6. 빌헬름 폰 되링 대령
- 3.1.7. 에두아르트 폰 슐리흐팅 대령
- 3.1.8. 구스타프 폰 데어 슐렌부르크알텐하우젠 대령
- 3.1.9. 오이겐 폰 르블랑 소빌 대령
- 3.1.10.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중령
- 3.1.11.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대령
- 3.1.12. 후고 폰 오베르니츠 대령
- 3.1.13. 베른하르트 프란츠 빌헬름 폰 베르더 대령
- 3.1.14. 피크토어 폰 에르케르트 대령
- 3.1.15. 오토 프리드리히 빌헬름 폼 팝슈타인 대령
- 3.1.16. 하인리히 빌헬름 폰 자노프 대령
- 3.1.17. 아르투어 폰 라트레 대령
- 3.1.18.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중령
- 3.1.19.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대령
- 3.1.20. 헤르만 블레켄 폰 슈멜링 대령
- 3.1.21. 아돌프 폰 켈러
- 3.1.22. 막스 폰 크로지크 대령
- 3.1.23. 레무스 폰 보이어슈 대령
- 3.1.24. 디트리히 폰 휠젠헤젤러 대령
- 3.1.25. 쿠르트 하인리히 빌헬름 폰 크노벨슈도르프 대령
- 3.1.26. 호이어 폰 로텐하임 대령
- 3.1.27. 마그누스 폰 에베르하르트 대령
- 3.1.28. 폰 보닌 대령
- 3.1.29. 폰 하머슈타인에쿠아르트 대령
- 3.1.30. 에른스트 아르민 폰 노스티츠 대령
- 3.1.31. 카를 폰 데어 슐렌부르크볼프스부르크 대령
- 3.1. 역대 연대장 목록
- 참조
1. 개요
근위수발총병연대는 1826년 창설되어 1918년 해산된 프로이센 육군 및 독일 제국의 보병 연대이다. 보오전쟁,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해산되었으며, 연대의 전통은 제5(프로이센) 보병 연대로 이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로이센 육군의 보병연대 - 교도보병연대
교도보병연대는 1914년 독일 육군 동원령에 의해 교도 보병대대에서 증강되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서부 및 동부 전선에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웠으나 막대한 인명 피해를 입은 독일군 최고의 사단 중 하나였다. - 1826년 설립 -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도서관
뉴사우스웨일스 주립 도서관은 1826년 오스트레일리아 구독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470만 점의 도서 및 문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미첼 도서관과 딕슨 도서관을 포함한 다양한 소장품을 보유하고 온라인 서비스 및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도 참여하는 호주의 주요 도서관이다. - 1826년 설립 - 사노번
사노 번은 에도 시대 시모쓰케 국을 중심으로 사노 씨가 다이묘로 시작했으나 몰수 후 홋타 씨가 재건, 정부로서 산킨코타이를 행하지 않고 보신 전쟁에서 친천황파를 지지했으며 폐번치현 후 도치기현에 편입되었다.
근위수발총병연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부대명 | 근위수발총병연대 |
존속 기간 | 1826년 3월 30일 - 1918년 12월 14일 |
국가 | [[File:Flag of Prussia (1892-1918).svg|22px]] 프로이센 |
소속 | 프로이센 육군 |
병과 | 근위병 |
역할 | 보병 |
규모 | 연대 급 편성 당시 3,489명 |
지휘 체계 | 근위군단 |
주둔지 | 베를린 |
별칭 | 마이케퍼(Maykäfer) |
표어 | Es lebe hoch das Regiment, welches sich mit Stolz Maykäfer nennt! |
색상 | 파란색 외투, 빨간색 깃, 빨간색 스웨덴식 소매 표시, 흰색 레이스, 노란색 견장, 은색 근위병 독수리 |
마스코트 | 해당 정보 없음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해당 정보 없음 |
의전 주임 | 해당 정보 없음 |
연대장 | 해당 정보 없음 |
주요 지휘관 | 해당 정보 없음 |
상징 | |
식별 기호 | 해당 정보 없음 |
식별 기호 2 | 해당 정보 없음 |
식별 기호 3 | 해당 정보 없음 |
장비 | |
장비 | 해당 정보 없음 |
전투 및 행사 | |
참전 | 보오 전쟁 보불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
기념일 | 해당 정보 없음 |
훈장 | 해당 정보 없음 |
전투 훈장 | 해당 정보 없음 |
해체 | |
해체일 | 해당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
웹사이트 | 해당 정보 없음 |
항공기 정보 | |
공격기 | 해당 정보 없음 |
폭격기 | 해당 정보 없음 |
전자전기 | 해당 정보 없음 |
전투기 | 해당 정보 없음 |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공격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화물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다목적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관측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수송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훈련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다용도 헬리콥터 | 해당 정보 없음 |
요격기 | 해당 정보 없음 |
초계기 | 해당 정보 없음 |
정찰기 | 해당 정보 없음 |
훈련기 | 해당 정보 없음 |
수송기 | 해당 정보 없음 |
급유기 | 해당 정보 없음 |
비행 시간 | 해당 정보 없음 |
2. 역사
1826년 근위 예비 보병(란트베어) 연대(Garde-Reserve-Infanterie (Landwehr) Regiment)가 창설되었다. 1851년에는 근위 예비 보병 연대(Garde-Reserve-Infanterie-Regiment)로 개칭되었고, 1860년 론의 군대 확장 정책에 따라 근위 척탄병 연대(Garde-Füsilier-Regiment)라는 이름을 받았다. 연대 본부와 제1대대는 처음에는 포츠담에, 제2대대는 슈판다우에 주둔했다. 1851년부터 1918년까지 연대 전체가 베를린 주둔지의 마이캐퍼 병영으로 이동했다.
보오전쟁에서 쾨니히호프 전투와 쾨니히그레츠 전투에 참전했다.
1870/71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이 연대는 그라블로트와 세당에 참전했으며, 파리 포위전에도 참여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이 연대는 동원되어 새롭게 창설된 제3 근위 사단의 제6 근위 보병 여단에 배속되었다. 이 부대는 전쟁 기간 동안 이 편성을 유지했다. 처음에 수발총병들은 중립국 벨기에 침공에 참여하여 나뮈르 점령에 관여했다. 그 후 동부 전선에 배치되어 제1차 마주르 호수 전투에서 싸웠다. 브제지니에서 심각한 손실을 입은 후 연대의 남은 병력은 1개 대대로 모여야 했다. 12월 1일, 이 부대는 각 3개 중대 2개 대대로 재편성되었다. 12월 22일부터 대대는 각 4개 중대로 재편성되었다. 1915년 1월에 제3대대가 재편성되었고, 연대는 그 달 말 카르파티아 산맥으로 재배치되었다. 그들은 그 후 몇 달 동안 즈비닌 공략에서 참호전을 벌였고, 4월에 마침내 능선을 점령했다.
동부 전선에서 추가 전투를 벌인 후, 연대는 1916년 4월 서부 전선으로 보내져 샹파뉴와 이저르에서 참호전을 벌였으며, 솜 전투에 참여했다. 1916년 9월부터 11월까지 다시 동부 전선에 잠시 배치된 후 서부 전선으로 돌아와 로렌 (지역)에서 참호전에 참전했다. 이곳에서 1916년 12월, 이 연대는 제2 및 제3 기관총 중대로 증강되었다. 1917년에는 아라스, 파스샹달 전투 및 캉브레 전투에 참전했다. 1918년 초 독일 봄 공세가 시작되자 수발총병들은 보메츠에서 심각한 사상자를 냈고, 그 후 각 3개 중대로 구성된 2개 대대로 편성되었다. 4월 5일 연대는 다시 3개 대대로 재편성되었고, 1918년 9월 14일 박격포 중대가 합류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연대는 1918년 12월 14일 베를린에서 해산되었고,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연대의 일부는 나중에 임시 국방군에 편입된 두 개의 자유군단 부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1]
연대의 전통은 참모총장(Heeresleitung의 Chef)의 지침에 따라 보병 대장 한스 폰 젝트에 의해 1921년 8월 24일 국방군의 제5(프로이센) 보병 연대 제7, 제8 중대로 이전되었다.
2. 1. 창설과 초기 발전 (1826년-1860년)
1826년 근위 예비 보병(란트베어) 연대(Garde-Reserve-Infanterie (Landwehr) Regiment)가 창설되었다. 1851년에는 근위 예비 보병 연대(Garde-Reserve-Infanterie-Regiment)로 개칭되었고, 1860년 론의 군대 확장 정책에 따라 근위 척탄병 연대(Garde-Füsilier-Regiment)라는 이름을 받았다. 연대 본부와 제1대대는 처음에는 포츠담에, 제2대대는 슈판다우에 주둔했다. 1851년부터 1918년까지 연대 전체가 베를린 주둔지의 마이캐퍼 병영으로 이동했다.2. 2. 주요 참전 (1860년-1914년)
wikitext- 보오전쟁
:** 쾨니히호프 전투와 쾨니히그레츠 전투에 참전했다.
- 프랑스-프로이센 전쟁
:** 그라블로트와 세당에 참전했으며, 파리 포위전에도 참여했다.
2. 2. 1. 보오전쟁 (1866년)
보오전쟁에서 쾨니히호프 전투와 쾨니히그레츠 전투에 참전했다.2. 2. 2.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1870년-1871년)
1870/71년 프랑스와의 전쟁에서 이 연대는 그라블로트와 세당에 참전했으며, 파리 포위전에도 참여했다.2. 3. 제1차 세계 대전 (1914년-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함께 이 연대는 동원되어 새롭게 창설된 제3 근위 사단의 제6 근위 보병 여단에 배속되었다. 이 부대는 전쟁 기간 동안 이 편성을 유지했다. 처음에 수발총병들은 중립국 벨기에 침공에 참여하여 나뮈르 점령에 관여했다. 그 후 동부 전선에 배치되어 제1차 마주르 호수 전투에서 싸웠다. 브제지니에서 심각한 손실을 입은 후 연대의 남은 병력은 1개 대대로 모여야 했다. 12월 1일, 이 부대는 각 3개 중대 2개 대대로 재편성되었다. 12월 22일부터 대대는 각 4개 중대로 재편성되었다. 1915년 1월에 제3대대가 재편성되었고, 연대는 그 달 말 카르파티아 산맥으로 재배치되었다. 그들은 그 후 몇 달 동안 즈비닌 공략에서 참호전을 벌였고, 4월에 마침내 능선을 점령했다.동부 전선에서 추가 전투를 벌인 후, 연대는 1916년 4월 서부 전선으로 보내져 샹파뉴와 이저르에서 참호전을 벌였으며, 솜 전투에 참여했다. 1916년 9월부터 11월까지 다시 동부 전선에 잠시 배치된 후 서부 전선으로 돌아와 로렌 (지역)에서 참호전에 참전했다. 이곳에서 1916년 12월, 이 연대는 제2 및 제3 기관총 중대로 증강되었다. 1917년에는 아라스, 파스샹달 전투 및 캉브레 전투에 참전했다. 1918년 초 독일 봄 공세가 시작되자 수발총병들은 보메츠에서 심각한 사상자를 냈고, 그 후 각 3개 중대로 구성된 2개 대대로 편성되었다. 4월 5일 연대는 다시 3개 대대로 재편성되었고, 1918년 9월 14일 박격포 중대가 합류했다.
2. 4. 해체와 유산 (1918년-현재)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연대는 1918년 12월 14일 베를린에서 해산되었고, 최종적으로 해체되었다. 연대의 일부는 나중에 임시 국방군에 편입된 두 개의 자유군단 부대를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1]연대의 전통은 참모총장(Heeresleitung의 Chef)의 지침에 따라 보병 대장 한스 폰 젝트에 의해 1921년 8월 24일 국방군의 제5(프로이센) 보병 연대 제7, 제8 중대로 이전되었다.
3. 역대 연대장
wikitable
계급 | 이름 | 임기 |
---|---|---|
대령 | 카를 아우구스트 폰 에제베크 | 1826년 ~ 1829년 3월 29일 |
중령 | 에른스트 루트비히 오토 폰 치텐 | 1829년 3월 30일 ~ 1832년 3월 29일 |
대령 | 알렉산더 폰 크노벨스도르프 | 1832년 3월 30일 ~ 1838년 3월 29일 |
대령 | 아우구스트 알렉산더 폰 쳉게 | 1838년 3월 30일 ~ 1841년 |
중령 | 빌헬름 폰 되링 | 1841년 12월 14일 ~ 1842년 4월 25일 |
대령 | 빌헬름 폰 되링 | 1842년 4월 26일 ~ 1848년 7월 12일 |
대령 | 에두아르트 폰 슐리흐팅 | 1848년 7월 13일 ~ 1850년 5월 31일 |
대령 | 구스타프 폰 데어 슐렌부르크-알텐하우젠 | 1850년 10월 3일 ~ 1855년 5월 9일 |
대령 | 오이겐 폰 르 블랑 수빌 | 1855년 5월 10일 ~ 1858년 5월 21일 |
중령 |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 1858년 5월 22일 ~ 1859년 4월 14일 |
대령 |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 1859년 4월 15일 ~ 1863년 3월 6일 |
대령 | 후고 폰 오베르니츠 | 1863년 3월 7일 ~ 1866년 5월 19일 |
대령 | 베른하르트 프란츠 빌헬름 폰 베르더 | 1866년 5월 20일 ~ 1869년 11월 6일 |
대령 | 피크토어 폰 에르케르트 | 1869년 11월 7일 ~ 1870년 8월 18일 |
대령 | 오토 프리드리히 빌헬름 폼 팝슈타인 | 1870년 8월 21일 ~ 1875년 3월 12일 |
대령 | 하인리히 빌헬름 폰 자노프 | 1875년 3월 13일 ~ 1878년 1월 17일 |
대령 | 아르투어 폰 라트레 | 1878년 1월 18일 ~ 1881년 4월 11일 |
중령 |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 1881년 5월 12일 ~ 1882년 11월 12일 |
대령 |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 1882년 11월 13일 ~ 1887년 5월 25일 |
대령 | 헤르만 블레켄 폰 슈멜링 | 1887년 5월 26일 ~ 1889년 3월 21일 |
아돌프 폰 켈러 | 1889년 3월 22일 ~ 1892년 7월 27일 | |
대령 | 막스 폰 크로지크 | 1892년 7월 28일 ~ 1896년 5월 29일 |
대령 | 레무스 폰 보이어슈 | 1896년 5월 30일 ~ 1897년 8월 31일 |
대령 | 디트리히 폰 휠젠헤젤러 | 1897년 9월 1일 ~ 1899년 3월 24일 |
대령 | 쿠르트 하인리히 빌헬름 폰 크노벨스도르프 | 1899년 3월 25일 ~ 1901년 |
대령 | 호이어 폰 로텐하임 | 1901년 ~ 1904년 5월 30일 |
대령 | 마그누스 폰 에베르하르트 | 1904년 5월 31일 ~ 1907년 4월 4일 |
대령 | 폰 보닌 | 1907년 4월 5일 ~ 1911년 |
대령 | 폰 하머슈타인에쿠아르트 | 1911년 ~ 1913년 |
대령 | 에른스트 아르민 폰 노스티츠 | 1913년 1월 3일 ~ 1914년 |
대령 | 카를 폰 데어 슐렌부르크볼프스부르크 | 1914년 9월 30일 ~ 1918년 2월 21일 |
3. 1. 역대 연대장 목록
계급 | 이름 | 임기 |
---|---|---|
대령 | 카를 아우구스트 폰 에제베크 | 1826년 ~ 1829년 3월 29일 |
중령 | 에른스트 루트비히 오토 폰 치텐 | 1829년 3월 30일 ~ 1832년 3월 29일 |
대령 | 알렉산더 폰 크노벨스도르프 | 1832년 3월 30일 ~ 1838년 3월 29일 |
대령 | 아우구스트 알렉산더 폰 쳉게 | 1838년 3월 30일 ~ 1841년 |
중령 | 빌헬름 폰 되링 | 1841년 12월 14일 ~ 1842년 4월 25일 |
대령 | 빌헬름 폰 되링 | 1842년 4월 26일 ~ 1848년 7월 12일 |
대령 | 에두아르트 폰 슐리흐팅 | 1848년 7월 13일 ~ 1850년 5월 31일 |
대령 | 구스타프 폰 데어 슐렌부르크-알텐하우젠 | 1850년 10월 3일 ~ 1855년 5월 9일 |
대령 | 오이겐 폰 르 블랑 수빌 | 1855년 5월 10일 ~ 1858년 5월 21일 |
중령 |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 1858년 5월 22일 ~ 1859년 4월 14일 |
대령 |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 1859년 4월 15일 ~ 1863년 3월 6일 |
대령 | 후고 폰 오베르니츠 | 1863년 3월 7일 ~ 1866년 5월 19일 |
대령 | 베른하르트 프란츠 빌헬름 폰 베르더 | 1866년 5월 20일 ~ 1869년 11월 6일 |
대령 | 피크토어 폰 에르케르트 | 1869년 11월 7일 ~ 1870년 8월 18일 |
대령 | 오토 프리드리히 빌헬름 폼 팝슈타인 | 1870년 8월 21일 ~ 1875년 3월 12일 |
대령 | 하인리히 빌헬름 폰 자노프 | 1875년 3월 13일 ~ 1878년 1월 17일 |
대령 | 아르투어 폰 라트레 | 1878년 1월 18일 ~ 1881년 4월 11일 |
중령 |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 1881년 5월 12일 ~ 1882년 11월 12일 |
대령 |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 1882년 11월 13일 ~ 1887년 5월 25일 |
대령 | 헤르만 블레켄 폰 슈멜링 | 1887년 5월 26일 ~ 1889년 3월 21일 |
아돌프 폰 켈러 | 1889년 3월 22일 ~ 1892년 7월 27일 | |
대령 | 막스 폰 크로지크 | 1892년 7월 28일 ~ 1896년 5월 29일 |
대령 | 레무스 폰 보이어슈 | 1896년 5월 30일 ~ 1897년 8월 31일 |
대령 | 디트리히 폰 휠젠헤젤러 | 1897년 9월 1일 ~ 1899년 3월 24일 |
대령 | 쿠르트 하인리히 빌헬름 폰 크노벨스도르프 | 1899년 3월 25일 ~ 1901년 |
대령 | 호이어 폰 로텐하임 | 1901년 ~ 1904년 5월 30일 |
대령 | 마그누스 폰 에베르하르트 | 1904년 5월 31일 ~ 1907년 4월 4일 |
대령 | 폰 보닌 | 1907년 4월 5일 ~ 1911년 |
대령 | 폰 하머슈타인에쿠아르트 | 1911년 ~ 1913년 |
대령 | 에른스트 아르민 폰 노스티츠 | 1913년 1월 3일 ~ 1914년 |
대령 | 카를 폰 데어 슐렌부르크볼프스부르크 | 1914년 9월 30일 ~ 1918년 2월 21일 |
3. 1. 1. 카를 아우구스트 폰 에제베크 대령
카를 아우구스트 폰 에제베크 대령: 1826년-1829년 3월 29일3. 1. 2. 에른스트 루트비히 오토 폰 치텐 중령
에른스트 루트비히 오토 폰 치텐 중령: 1829년 3월 30일-1832년 3월 29일3. 1. 3. 알렉산더 폰 크노벨슈도르프 대령
알렉산더 폰 크노벨슈도르프 대령: 1832년 3월 30일-1838년 3월 29일3. 1. 4. 아우구스트 알렉산더 폰 쳉게 대령
아우구스트 알렉산더 폰 쳉게 대령: 1838년 3월 30일-1841년3. 1. 5. 빌헬름 폰 되링 중령
빌헬름 폰 되링 중령은 1841년 12월 14일부터 1842년 4월 25일까지 근위수발총병연대의 지휘를 맡았다.3. 1. 6. 빌헬름 폰 되링 대령
빌헬름 폰 되링 대령: 1842년 4월 26일-1848년 7월 12일3. 1. 7. 에두아르트 폰 슐리흐팅 대령
에두아르트 폰 슐리흐팅 대령: 1848년 7월 13일-1850년 5월 31일3. 1. 8. 구스타프 폰 데어 슐렌부르크알텐하우젠 대령
구스타프 폰 데어 슐렌부르크알텐하우젠 대령: 1850년 10월 3일-1855년 5월 9일3. 1. 9. 오이겐 폰 르블랑 소빌 대령
오이겐 폰 르블랑 소빌 대령: 1855년 5월 10일-1858년 5월 21일3. 1. 10.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중령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중령: 1858년 5월 22일-1859년 4월 14일3. 1. 11.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대령
루트비히 폰 뢰벤펠트 중령은 1858년 5월 22일부터 1859년 4월 14일까지 연대장을 맡았고, 1859년 4월 15일부터 1863년 3월 6일까지는 대령으로서 연대장을 역임했다.3. 1. 12. 후고 폰 오베르니츠 대령
후고 폰 오베르니츠 대령: 1863년 3월 7일-1866년 5월 19일3. 1. 13. 베른하르트 프란츠 빌헬름 폰 베르더 대령
베른하르트 프란츠 빌헬름 폰 베르더 대령은 1866년 5월 20일부터 1866년 9월 16일까지, 그리고 1866년 9월 17일부터 1869년 11월 6일까지 근위수발총병연대를 지휘했다.3. 1. 14. 피크토어 폰 에르케르트 대령
피크토어 폰 에르케르트 대령: 1869년 11월 7일-1870년 8월 18일3. 1. 15. 오토 프리드리히 빌헬름 폼 팝슈타인 대령
오토 프리드리히 빌헬름 폼 팝슈타인 대령: 1870년 8월 21일-1875년 3월 12일3. 1. 16. 하인리히 빌헬름 폰 자노프 대령
하인리히 빌헬름 폰 자노프 대령: 1875년 3월 13일-1878년 1월 17일3. 1. 17. 아르투어 폰 라트레 대령
아르투어 폰 라트레 대령: 1878년 1월 18일-1881년 4월 11일3. 1. 18.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중령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중령은 1881년 5월 12일부터 1882년 11월 12일까지 근위수발총병연대를 지휘했다.3. 1. 19.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대령
헤르만 폰 슈튈프나겔 대령: 1882년 11월 13일-1887년 5월 25일3. 1. 20. 헤르만 블레켄 폰 슈멜링 대령
헤르만 블레켄 폰 슈멜링 대령: 1887년 5월 26일-1889년 3월 21일3. 1. 21. 아돌프 폰 켈러
아돌프 폰 켈러는 1889년 3월 22일부터 1892년 7월 27일까지 근위수발총병연대의 연대장을 역임했다.3. 1. 22. 막스 폰 크로지크 대령
막스 폰 크로지크 대령: 1892년 7월 28일-1896년 5월 29일3. 1. 23. 레무스 폰 보이어슈 대령
레무스 폰 보이어슈 대령: 1896년 5월 30일-1897년 8월 31일3. 1. 24. 디트리히 폰 휠젠헤젤러 대령
디트리히 폰 휠젠헤젤러 대령: 1897년 9월 1일-1899년 3월 24일3. 1. 25. 쿠르트 하인리히 빌헬름 폰 크노벨슈도르프 대령
쿠르트 하인리히 빌헬름 폰 크노벨슈도르프 대령: 1899년 3월 25일-1901년3. 1. 26. 호이어 폰 로텐하임 대령
호이어 폰 로텐하임 대령: 1901년-1904년 5월 30일3. 1. 27. 마그누스 폰 에베르하르트 대령
마그누스 폰 에베르하르트 대령: 1904년 5월 31일-1907년 4월 4일3. 1. 28. 폰 보닌 대령
폰 보닌 대령은 1907년 4월 5일부터 1911년까지 근위수발총병연대의 대령이었다.3. 1. 29. 폰 하머슈타인에쿠아르트 대령
?? 폰 하머슈타인에쿠아르트 대령: 1911년-1913년3. 1. 30. 에른스트 아르민 폰 노스티츠 대령
에른스트 아르민 폰 노스티츠 대령: 1913년 1월 3일-1914년3. 1. 31. 카를 폰 데어 슐렌부르크볼프스부르크 대령
카를 폰 데어 슐렌부르크볼프스부르크 대령: 1914년 9월 30일-1918년 2월 21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