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담은 1942년 경성을 배경으로, 엘리트 의사 부부가 서양식 병원에 부임하면서 겪는 기이한 사건들을 다룬 공포 영화이다. 자살한 여고생, 일가족 몰살 사건, 병원을 둘러싼 유령, 연쇄 살인 사건 등 미스터리한 사건들이 얽히면서 섬뜩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영화는 촬영 기법, 연출, 배우들의 연기를 통해 시각적, 지적으로 인상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여러 영화제에서 수상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밀정 (영화)
영화 《밀정》은 1930년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와 일본 경찰 사이의 심리전을 그린 김지운 감독의 작품으로, 1923년 황옥 경부 폭탄 사건을 모티브로 제작되었으며 송강호, 공유, 한지민 등이 출연했다. -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군함도 (영화)
군함도(영화)는 일제강점기 군함도에서 강제 노역에 시달리는 조선인들의 탈출을 그린 영화로, 2017년 개봉하여 흥행과 역사 왜곡 논란을 겪었다. - 194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미드웨이 (2019년 영화)
롤랜드 에머리히 감독의 2019년 미국 전쟁 영화 《미드웨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드웨이 해전을 배경으로 미국과 일본 해군의 치열한 전투와 그 이면에 숨겨진 인간적인 이야기를 그리며, 에드 스크레인, 패트릭 윌슨, 우디 해럴슨 등 유명 배우들이 출연하고 스캔라인 VFX와 픽소몬도가 시각 효과를 담당했다. - 1942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폴락 (영화)
2000년에 개봉한 영화 폴락은 에드 해리스가 감독과 주연을 맡아 추상표현주의 화가 잭슨 폴락의 삶과 예술, 그의 아내 리 크래스너와의 관계, 드리핑 기법,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비극적인 삶을 그린 전기 영화이다. - 197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서울의 봄 (영화)
1979년 12·12 군사 반란을 소재로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전두광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 세력의 쿠데타 시도와 이에 맞선 수도경비사령관 이태신(장태완을 모티브)의 갈등을 그린 김성수 감독의 2023년 대한민국 영화 《서울의 봄》은 평론가들의 긍정적인 평가와 젊은 관객층의 호응에 힘입어 2023년 한국 최고 흥행작이 되었다. - 1979년을 배경으로 한 영화 - 프레일티
빌 팩스턴이 감독하고 매튜 매커너히 등이 출연한 2001년 스릴러 영화 프레일티는 FBI 요원이 연쇄 살인범을 쫓던 중 범인의 동생이라는 남자를 만나 벌어지는 이야기로, 광적인 믿음과 가족 관계 붕괴, 사회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기담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기담 |
로마자 표기 | Gidam |
감독 | 정식 정범식 |
제작 | 장소정 |
각본 | 정식 정범식 |
출연 | 진구 김태우 김보경 고주연 이동규 김응수 여지 전무송 엄지원 데이비드 맥기니스 |
촬영 | 윤남주 |
편집 | 김상범 김재범 |
음악 | 박영란 |
배급사 | 해당 정보 없음 |
개봉일 | 2007년 8월 1일 |
상영 시간 | 98분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일본어 |
제작비 | 280만 미국 달러 |
흥행 수익 | 4,443,849 미국 달러 |
장르 | 공포 반전 드라마 |
상영 등급 | 15세 관람가 |
2. 줄거리
동경 유학 중이던 엘리트 의사 부부 인영(김보경)과 동원(김태우)은 갑작스레 귀국하여 경성 최고의 서양식 병원인 ‘안생병원(安生病院)’에 부임한다. 이들은 병원 원장 딸과의 정략 결혼을 앞둔 여린 의대 실습생 정남(진구), 유년 시절 사고로 다리를 저는 천재 의사 수인(이동규)과 함께 경성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영화 《기담》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는 주요 등장인물과 그 외 등장인물을 모두 포함한다.
경성을 흉흉한 소문으로 물들인 연쇄 살인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어느 날 자살한 여고생 시체, 일가족이 몰살한 교통사고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10살 소녀가 실려오고 병원엔 음산한 불경 소리가 울려 퍼진다. 저마다 비밀스런 사랑을 품고 한 곳에 모이게 된 이들은 다가오는 파국을 감지하지 못한 채 서서히 지독한 사랑과 그리움이 빚어낸 섬뜩한 사건과 마주하게 되고, 경성을 뒤흔든 비극의 소용돌이가 점점 더 그들 앞에 옥죄어 온다.
박정남은 안생병원에서 인턴으로 일하던 시절의 사진첩을 발견하고, 그 시절의 기억을 떠올린다. 1942년, 젊은 의학 인턴이었던 정남은 한 번도 만난 적 없는 약혼자가 자살하면서 정해진 결혼이 파경을 맞는다. 이후 그는 늦은 밤에 시체 안치소를 지키는 일을 맡게 된다. 그곳에서 그는 시체와 사랑에 빠지는데, 이는 나중에 죽은 약혼자의 시신으로 밝혀진다. 곧 병원에서는 유령에 시달리는 어린 소녀와 일본군을 노리는 연쇄 살인범과 관련된 다른 미스터리한 사건들이 발생한다.
3. 등장인물
배우 역할 진구 박정남 역 이동규 이수인 역 김태우 김동원 역 김보경 김인영 역 고주연 아사코 역 김응수 아키야마 소좌 역 여지 아오이 역 전무송 박 교수 역 엄지원 박 교수 딸 역 데이비드 맥기니스 아사코 새아빠 역 박지아 아사코 엄마 역 엄태구 일본군 1 역 요시무라 켄이치 목소리 출연 최재환 재환 역 최대웅 정 교수 역 정지안 최 간호사 역 예수정 안상병원 원장 역 공호석 일본 장군 역 손영순 노파 역 김자영 수간호사 역 손인용 일본군 2 역
3. 1. 주요 인물
배우 | 역할 |
---|---|
진구 | 박정남 역 |
이동규 | 이수인 역 |
김태우 | 김동원 역 |
김보경 | 김인영 역 |
고주연 | 아사코 역 |
김응수 | 아키야마 소좌 역 |
여지 | 아오이 역 |
전무송 | 박 교수 역 |
엄지원 | 박 교수 딸 역 |
데이비드 맥기니스 | 아사코 새아빠 역 |
박지아 | 아사코 엄마 역 |
엄태구 | 일본군 1 역 |
요시무라 켄이치 | 목소리 출연 |
최재환 | 재환 역 |
예수정 | 안상병원 원장 역 |
공호석 | 일본 장군 역 |
손영순 | 노파 역 |
김자영 | 수간호사 역 |
손인용 | 일본군 2 역 |
3. 2. 주변 인물
배우 | 역할 |
---|---|
진구 | 박정남 역 |
이동규 | 이수인 역 |
김태우 | 김동원 역 |
김보경 | 김인영 역 |
고주연 | 아사코 역 |
김응수 | 아키야마 소좌 역 |
여지 | 아오이 역 |
전무송 | 박 교수 역 |
엄지원 | 박 교수 딸 역 |
데이비드 맥기니스 | 아사코 새아빠 역 |
박지아 | 아사코 엄마 역 |
엄태구 | 일본군 1 역 |
요시무라 켄이치 | 목소리 출연 |
최재환 | 재환 역 |
최대웅 | 정 교수 역 |
정지안 | 최 간호사 역 |
예수정 | 안상병원 원장 역 |
공호석 | 일본 장군 역 |
손영순 | 노파 역 |
김자영 | 수간호사 역 |
손인용 | 일본군 2 역 |
4. 제작 과정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지침에 따라 수정하여 출력하겠습니다.)
5. 영화 평가
영화는 촬영 기법, 연출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특히 김응수, 예수정 등 배우들의 연기가 호평을 받으며, "시각적으로나 지적으로나 인상적이며, 아름다운 촬영 기법과 훌륭하게 구성된 샷을 선보인다"는 평가를 받았다.[2] 또한 "K-호러의 국제적 명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는 평도 있었다.[3]
5. 1. 긍정적 평가
영화의 촬영 기법, 연출, 그리고 공포 영화의 주역인 김응수와 예수정의 연기는 이 영화가 "시각적으로나 지적으로나 인상적이며, 아름다운 촬영 기법과 훌륭하게 구성된 샷을 선보인다"라는 칭찬을 받았고,[2] "K-호러의 국제적 명성을 회복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했다"라는 평을 받았다.[3]6. 수상 내역
연도 | 상 | 부문 | 수상자(작) |
---|---|---|---|
2007년 |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신인감독상 | 정식, 정범식 |
2007년 |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신인감독상 | 정식, 정범식 |
청룡영화상 | 미술상 | 이민복 외 | |
촬영상 | 윤남주 | ||
2007년 | 디렉터스 컷 시상식 | 올해의 신인감독상 | 정식, 정범식 |
2008년 | 황금촬영상 | 신인남우상 | 진구 |
참조
[1]
웹사이트
Gidam (Epitaph) (2007)
https://boxofficemoj[...]
2008-05-01
[2]
웹사이트
Epitaph (2007) Movie Review
http://www.beyondhol[...]
2008-05-01
[3]
웹사이트
Epitaph
http://koreanfilm.or[...]
2008-05-01
[4]
웹사이트
The Show Must Go On takes best film award at Korea's Blue Dragons
http://www.screendai[...]
2015-08-24
[5]
웹사이트
Epitaph - Awards
http://www.cinemasie[...]
2014-05-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