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독교 평등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평등주의는 모든 사람이 근본적인 가치와 도덕적 지위에서 평등하며, 성경적 근거를 통해 교회와 결혼 생활에서 인종, 노예, 여성에 대한 차별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신념이다. 이는 창세기 5장 2절과 갈라디아서 3장 28절 등 성경 구절을 근거로 하며, 예수의 가르침이 모든 차별을 없애도록 명령했다고 해석한다. 기독교 평등주의는 종말론적, 자유주의적, 낭만적 페미니즘 등 다양한 인류학적 견해를 포함하며, 가톨릭 교회와 보완주의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퀘이커, 미국 연합 감리교 등 여러 교단이 이를 지지하며, 윌리엄 부스, F. F. 브루스, N.T. 라이트 등 많은 신학자들이 기독교 평등주의를 옹호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여성주의 - 금주법 시대
    금주법 시대는 1920년부터 1933년까지 미국에서 알코올의 제조, 판매, 운송, 수입을 금지한 전국적인 금주 정책으로, 밀주와 조직 범죄 증가, 법 집행 어려움 등의 부작용을 낳고 1933년에 폐지되었다.
  • 젠더와 기독교 - 근육적 기독교
    근육적 기독교는 기독교 신앙과 육체적 건강, 특히 스포츠의 가치를 결합하려는 사상으로, 19세기 영국에서 스포츠를 통해 도덕적, 종교적 가치를 함양하고자 했으나, 남성성 강조와 특정 집단 편향 등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젠더와 기독교 - 댄버스 선언
  • 기독교 윤리 - 프로테스탄트 윤리
    프로테스탄트 윤리는 막스 베버의 연구로 알려진 개념으로, 프로테스탄티즘의 신학적 가치관이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 이론이지만, 유일한 요인은 아니며 사회적 영향에 대한 비판과 현대적 영향력 감소에 대한 연구도 존재하는 복잡한 개념이다.
  • 기독교 윤리 - 신덕
    신덕은 믿음, 소망, 사랑으로 구성된 세 가지 신학적 덕으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맺고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다양한 기독교 교파들은 각자의 신학적 전통에 따라 신덕을 해석하고 강조한다.
기독교 평등주의
기독교 평등주의
주요 목표성별에 따른 차별 없이 모든 사람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동등하게 창조되었음을 강조
핵심 가치평등, 상호 존중, 파트너십, 정의
신학적 기반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 그리스도의 구속 사역
주요 주장성경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동등한 권위와 역할을 부여한다고 해석
여성의 역할목회, 설교, 가르침, 모든 기독교 사역에 동등하게 참여 가능
가정에서의 역할남편과 아내의 상호 존중과 파트너십을 강조, 가부장적 권위주의 반대
사회적 영향여성 권익 증진, 성차별 반대,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활동 지지
관련 단체기독교 평등주의자 모임 (Christians for Biblical Equality, CBE)
기독교 여성 모임 (Christian Women in Leadership, CWL)
기독교 여성 공동체 (Christian Women's Network)
역사적 배경
기원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여성 참정권 운동과 사회 변혁 운동의 영향
발전 과정20세기 중반 이후 신학적 연구와 성경 해석을 통해 확산
주요 논쟁성경 해석, 남녀 역할, 교회 내 여성의 지위 등
주요 인물캐서린 부스
조지 맥도널드
필리스 트리블
리디아 그레고리
신학적 논쟁
성경 해석창세기 1-2장, 갈라디아서 3:28, 에베소서 5:21-33 등 성경 구절에 대한 해석 차이
창조 질서평등주의는 남녀의 창조 질서가 동등하며, 가부장적 질서가 아니라고 주장
구속 사역그리스도의 구속 사역이 성별을 초월하여 모든 사람에게 적용된다고 해석
성령의 은사성령의 은사가 남녀 모두에게 동등하게 주어진다고 주장
교회 전통교회의 전통적 가부장적 구조를 비판하고, 평등한 구조를 지향
관련 용어
관련 용어기독교 보완주의
여성 신학
성 해방 신학
성 차별
사회 정의
비판적 관점
반대 입장보수적 기독교에서는 성경에 근거한 남녀 역할의 차이를 주장하며 평등주의를 비판
우려 사항전통적인 가족 질서와 교회의 권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 존재
논쟁 지속현재까지도 교회 내에서 남녀 역할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음

2. 대표적 교단

퀘이커, 미국 연합 감리교(UMC), 미국 장로교 (PCUSA), 나자렛 교단, 복음 언약교단 (ECC), 하나님의 성회는 기독교 평등주의적 믿음을 가지고 있다.[5][6]

이러한 믿음은 퀘이커교, 감리교회, 세계 감리교회,[7] 미국 장로교회(PCUSA), 복음주의 장로교회 연맹(ECO), 미국 북부 침례회, 나사렛교회, 웨슬리안 교회, 구세군, 복음주의 성약 교회,[8] 오순절 교회 중 일부인 하나님의 교회(오순절), 사각형 교회, 하나님의 통일교회 등에서 지지받고 있다.

3. 성경적 근거

기독교 평등주의는 성경에 근거하여 성별이 신자의 은사나 교회 또는 가정에서의 사역 부르심에 특권을 주거나 제한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의미한다. 이는 여성남성이 동일하거나 차별화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지만, 하나님이 남성과 여성을 서로 보완하고 유익하도록 창조하셨다는 주장이다.[5][6]

성경의 전반적인 원칙은 남성과 여성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동등하게 창조되었으며, 죄에 대해 동등하게 책임이 있고, 그리스도에 의해 동등하게 구원받았으며, 하나님의 영에 의해 봉사를 위해 동등하게 은사를 받았고, 하나님이 주신 은사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동등하게 책임이 있다는 것이다.[12]


  • 갈라디아서한국어 3:28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노예나 자유자나, 남자나 여자나 모두가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라고 말한다. 기독교 평등주의자들은 이를 예수가 모든 차별을 없애도록 명령했다고 해석한다.
  • 창세기한국어 5:2는 "남자(Man)와 여자(Woman)를 창조하셨고"라고 말한다. 기독교 평등주의는 하나님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남자와 여자를 동등하게 창조하였으므로 둘 모두 죄에 대하여 공히 책임을 갖고 있고, 공히 그리스도에 의해 구원받아야 한다고 해석한다.


사도 바울은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다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이니라"라고 기록하였다.(갈라디아서한국어 3:28)

기독교 평등주의자들은 성경 해석과 영적 확신을 통해 예수의 방식과 가르침이 교회와 결혼 생활에서 인종적 소수자, 노예, 여성에 대한 차별을 폐지했다고 결론짓는다. 그들은 성경이 모든 인종 및 민족 집단과 모든 경제 계층의 신자들의 근본적인 평등을 가르친다고 믿는다.[11]

신약 성경에서 아굴라와 그의 아내 브리스길라는 부부로 함께 언급되며, 등장 순서는 완벽한 홀짝 평등으로 번갈아 나타난다. 아굴라는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언급에서 먼저 나오고, 브리스길라는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언급에서 먼저 나온다.[13] 성경의 일부 개정판은 불가타와 일부 그리스어 본문을 따라 사도행전 18:26에서 아굴라보다 브리스길라를 먼저 언급한다.[14] 일부 학자들은 브리스길라가 가족의 가장이었을 것이라고 제안한다.[15]

평등주의자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여성에게 불리한 사고방식에 따르지 않았고, 성적 차이에 근거한 불평등에 맞서 싸웠다고 주장한다.[16]

4. 역사

기독교 평등주의를 옹호하는 목적으로 설립된 최초의 단체는 1984년 영국에서 설립된 "남성, 여성, 그리고 하나님(Men, Women and God)"이었다. 미국의 단체인 성경적 평등을 위한 기독교인들(Christians for Biblical Equality)은 1987년 복음주의자들에 의해 설립되었다.[19]

1880년 여성에게 완전한 성직자 권리를 요구한 감리교도 안나 올리버

5. 평등주의적 인류학

로즈마리 레드퍼드 루터는 기독교 신학 연구를 통해 성평등에 대한 다양한 견해를 담은 '평등주의 인류학'을 제시했다. 여기에는 종말론적 페미니즘, 자유주의 페미니즘, 낭만적 페미니즘이 포함된다.[20]

이 세 가지 인류학은 모두 성평등이 하나님의 본래 의도였으나 인류에 의해 왜곡되었다는 공통된 믿음을 가지고 있다. 루터는 이러한 믿음이 "가부장제 하에서 여성의 현재 억압된 상태와 관련하여 상당한 변화의 여지를 남긴다"고 지적하며, 추가적인 탐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20]

5. 1. 종말론적 페미니즘 (Eschatological feminism)

루터는 종말론적 페미니즘을 초월주의적 뿌리를 통해 신비주의금욕주의와 연결한다. 그녀는 최초의 인간 아담이 양성인이었고 "타락"이 성의 최초 창조였다고 주장한다.[20][21] 그녀는 후속 논문 "기독교 전통에서의 성차별과 여성 혐오: 해방의 대안"에서 갈라디아서 3장 28절을 언급하며 이 점을 다시 확인한다.[22] 세례를 통해 양성이 회복된다고 말한다.[21] 성, 즉 성별 간의 주요 차이는 여성 종속의 근원이라고 한다. 전형적으로 성에 뿌리를 둔 관계(결혼과 모성)는 사회의 가부장적 규범에 따라 여성을 종속적인 역할에 놓이게 한다. 평등으로 가는 길은 여성이 전통적으로 독신 생활(바울의 삶에서 볼 수 있듯이)[21][23] 이러한 역할을 초월할 때 발견된다고 믿어진다. 성경이 기독교인들에게 명령하는 세속적 규범을 초월하는 것은[24] 남성과 여성을 성적 종속을 없애는 양성 상태로 이끌어 기독교는 성평등을 드러내도록 의도되어 있다. 루터는 초월이 종말론적 페미니즘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여성은 세상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세상으로부터 분리되어 남성과 평등에 이른다.[20]

5. 2. 자유주의 페미니즘 (Liberal feminism)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은 창조가 가부장제를 확립했다는 개념을 거부한다. 루터는 성평등이 원래 존재했지만 여성에 대한 역사적 불의로 왜곡되었다고 주장한다. 이 평등주의 분파는 성평등이 도입될 것이 아니라 회복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회복은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체계적 개혁을 통해 달성될 것이다. 루터는 사회 개혁 논의에서 교회를 포함시켜 성적 종속에 대한 참여를 보여준다. 루터는 계속해서 "구원받은 인류의 담지자로서 교회는 특히 그 제도적 삶에서 남녀의 평등을 대표해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역사 밖과 초월적인 종말론적 인류의 대표자로서가 아니라 모든 사회 제도가 되어야 하는 모범으로서 그렇게 합니다."라고 말한다.[20] 여기서 그녀는 자유주의적 페미니즘과 종말론적 페미니즘을 구분하여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은 사회에서의 제거가 아니라 사회 내에서의 해방을 요구한다고 말한다.[20]

5. 3. 낭만적 페미니즘 (Romantic feminism)

루터는 낭만적 페미니즘에서 성별의 차이가 주로 "영적" 특성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그는 16세기 인문주의자 코르넬리우스 아그리파를 언급하며, 여성은 "신성한 지혜와 친화력이 있어 도덕적, 영적으로 우월하다"고 말한다.[21][25] 여성은 타고나게 이타적이고, 감수성이 풍부하며, 순수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러한 특성들은 "남성적 특성"에 비해 도덕적으로 우월한 것으로 간주된다. 루터는 남성과 여성 모두 본질적으로 선함을 지닐 수 있지만, 남성이 권력의 자리에 오르도록 하는 가부장제 때문에 더 부정적인 성격적 특성(자만심, 공격성, 지배력 등)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여성은 권력의 자리에 오르지 못하기 때문에, 루터는 여성이 인류의 본래 선함을 유지한다고 생각했다.[20] 낭만적 페미니즘은 다양한 이데올로기를 포함한다.

5. 3. 1. 보수적 낭만주의 (Conservative romanticism)

보수적 낭만주의는 여성이 자신의 선량함을 유지하기 위해 가정에 머물러야 한다고 주장한다. 루터는 여성이 가정을 떠나 전통적인 남성 직업에 종사하면, 곧바로 이러한 선량한 여성성을 잃고 남성화된 여성, 괴물 같은 잔혹한 여자가 되거나, 육체적인 여성성으로 타락하여 타락한 여성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26] 1999년에 실시된 한 조사에서 연구자는 "남편이 항상 유일한 생계 제공자는 아니었지만, 대다수의 남성에게 있어 남편은 상징적으로 생계 제공자로 남아 있었고, 따라서 여성의 고용은 아내의 자녀 양육 및 보살핌 책임에 비추어 거의 항상 부차적이고 심지어 불필요한 것으로 묘사되었다."라는 결론을 내렸다.[26]

보수적 낭만주의는 가정 내 전통적인 역할을 더 잘 보존하기 위해 직장에서의 성평등에 반대한다. 여성의 타고난 선량함이 그녀를 자녀를 양육하고 남편을 돕는 이상적인 후보자로 만든다. 이러한 배우자의 지원은 남편이 직장에서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해준다. 보수적 낭만주의자들은 여성이 좋은 남편과 아들을 세상에 내보냄으로써 영향력을 행사한다고 생각하며, 이러한 여성의 영향력은 연쇄적인 효과를 가져온다고 본다.[20]

5. 3. 2. 개혁주의 낭만주의 (Reformist romanticism)

개혁주의 낭만주의는 보수적 낭만주의와 유사하지만, 여성 고유의 선함은 사회적 평등으로 인해 상실될 수 없다는 개혁주의적 믿음에서 차이가 있다. 루터는 이 이념이 여성에게 남성과 남성 중심적 제도를 도덕적으로 개혁할 것을 규정하지만, 그렇게 하려면 교육, 투표권, 정치적 권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20] 개혁주의 낭만주의는 여성의 타고난 선함이 세상의 본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도자 직책에 필요하다고 믿으며, 여성의 본성은 전쟁과 양립할 수 없고 여성의 지도력 아래 세상은 평화로워질 것이라고 믿는다.[20]

5. 3. 3. 급진적 낭만주의 (Radical romanticism)

급진적 페미니즘은 남성 중심의 문화를 전반적으로 거부하며, 남성이 구원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을 벌인다. 루터는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남성의 열등함으로 인해 여성의 본래 선함이 훼손되지 않는, 남성으로부터 완전히 독립된 유토피아적인 사회를 열망한다고 설명한다.[20]

6. 비판

기독교 평등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가톨릭 교회는 급진적 평등주의에 반대하며, 남녀의 차이는 단순한 현상적인 차원을 넘어 존재론적인 차원에 있다고 주장한다.[27] 2004년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은 성(性)을 문화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는 경향에 대해 경고하며, 이는 "다형태 성(性)"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냈고, "생물학적 조건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시도"를 반영한다고 밝혔다.[28]

보완주의자들은 성경이 몇몇 문맥상 상대적인 가부장적 본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평등주의적 관점을 보여준다는 기독교 평등주의자들의 주장에 반대한다. 이들은 갈라디아서 3장 28절을 사용하여 근본적인 평등을 옹호하는 것과 같은 대부분의 평등주의적 관점을 논박한다.[29] 1988년, 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위원회(CBMW)는 댄버스 선언을 발표하여 페미니스트 평등주의적 신념에 직접적으로 반대했다.[30] 2017년에는 내슈빌 선언을 발표하여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확인했다.[31] 복음 연합은 『기본 문서』에서 "남성과 여성은 단순히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풍요롭게 하는 방식으로 서로 보완한다"고 밝히고 있다.[32]

6. 1. [[가톨릭 교회]]

가톨릭 교회는 형식적으로 급진적 평등주의에 반대하며 남녀의 차이는 단순한 현상적 차원이 아니라 사실상 존재론적 차원에 있다고 주장해 왔다.[27]

200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후임으로 추기경이던 요제프 라칭거 추기경은 교회와 세상에서 남녀의 협력에 관한 가톨릭 교회 주교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성(性)을 문화적으로 구성된 것으로 보는 관련 경향에 대해 경고하며, 이는 "다형태 성(性)"의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냈고, 이는 "생물학적 조건으로부터 자유로워지려는 시도"를 반영한다고 밝혔다.[28]

6. 2. 보완주의 (Complementarianism)

기독교 평등주의자들은 성경이 몇몇 문맥상 상대적인 가부장적 본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평등주의적 관점을 보여준다고 믿는 반면, 보완주의자들은 이러한 관점에 반대한다. 20세기 복음주의 페미니즘과 평등주의의 부상에 대한 반응으로 존 파이퍼, 웨인 그루덤, 레이먼드 C. 오틀런드 주니어, 제임스 A. 보랜드, 토마스 R. 슈라이너, D. A. 카슨, S. 루이스 존슨, 조지 W. 나이트 3세, 더글러스 J. 무, 존 프레임, 번 셰리던 포이쓰레스와 같은 저명한 신학자들과 학자들은 『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회복』에 기여하여 갈라디아서 3장 28절을 사용하여 근본적인 평등을 옹호하는 것과 같은 대부분의 평등주의적 관점을 논하고 반박했다.[29]

1988년, 성경적 남성성과 여성성 위원회(CBMW)는 "우리 문화에서 남성성과 여성성의 보완적인 차이에 대한 널리 퍼진 불확실성과 혼란"에 대한 반응으로 댄버스 선언을 발표하여 페미니스트 평등주의적 신념에 직접적으로 반대했다.[30] 댄버스 선언과 유사하게, CBMW는 2017년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확인하는 내슈빌 선언을 발표했다.[31] 복음 연합의 『기본 문서』에서 "남성과 여성은 단순히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풍요롭게 하는 방식으로 서로 보완한다"고 고백한다.[32]

7. 주요 기독교 평등주의자


  • 윌리엄 부스와 캐서린 부스: 구세군 창립자. 윌리엄 부스는 구세군 직원들에 대해 "나의 최고의 인원들 중 일부는 여성이다!"라고 말했다.[5]
  • 아이미 심플 맥퍼슨: 엔젤러스 성전 창립자
  • 길버트 빌레지키안: ''Beyond Sex Roles''(1985), ''Christianity 101''(1993) 저자.
  • 그렉 보이드: 신학자이자 미네소타주 세인트폴에 있는 우드랜드 힐스 교회의 담임목사. ''Myth of a Christian Religion: Losing your Religion for the Beauty of a Revolution''(2009) 저자.
  • F. F. 브루스: 성서 학자이자 성서 비평 및 주해학 교수
  • 셰인 클레이본
  • 캐서린 클락 크뢰거: CBE 인터내셔널 공동 창립자; ''The IVP Women's Bible Commentary''(2002) 공동 편집자; ''Women, Abuse and the Bible''(1996), ''I suffer not a Woman''(1998) 공동 저자.
  • 고든 피: ''Discovering Biblical Equality''(2004) 기고 편집자
  • 조지 폭스
  • 케빈 자일스: 오스트레일리아 앵글리컨 교회 소속 오스트레일리아 노스 칼튼 세인트 마이클 교회의 목사; ''Jesus and the Father: Modern Evangelicals Reinvent the Doctrine of the Trinity''(2006) 저자.
  • 스탠리 그렌츠: ''Women in the Church''(1995) 저자.
  • 미미 하다드: CBE 인터내셔널 회장[33] (2009년 현재), 풀러 신학교의 역사신학 겸임 부교수; ''Is Gender Equality a Biblical Ideal?''(2015) 공동 저자, ''Global Voices on Biblical Equality: Women and Men Serving Together in the Church''(2008) 편집자 및 기고 저자.[34]
  • 트레버 허들스턴
  • 에디 L. 하이어트: D.Min., ''Paul, Women and the Church''(2016) 저자.
  • 크레이그 S. 키너: ''Paul, Women and Wives''(1992) 저자.
  • 폴 킹 주엣: ''Man as Male and Female''(1975)과 ''The Ordination of Women''(1980) 저자.
  • 스콧 맥나이트: 노스 파크 대학교 종교학과 칼 A. 올슨 교수; ''The Blue Parakeet: Rethinking How you Read the Bible''(2008) 저자.
  • 로저 니콜: 플로리다주 올랜도 개혁 신학교 명예 교수.
  • 로저 올슨: 베일러 대학교 조지 W. 트루엣 신학교 신학 교수
  • 캐롤 D. 오스번: 애빌린 크리스천 대학교 신약 언어 및 문학 교수; ''Women in the Church: Reclaiming the Ideal''(2001) 저자.
  • 조셉 파커: ''The People's Bible'' 저자.
  • 프랭크 스태그: ''Woman in the World of Jesus''(1978) 공동 저자.
  • 윌리엄 J. 웹: ''Slaves, Women and Homosexuals''(2001) 저자.
  • 벤 위더링턴 3세: 애즈베리 신학교 신약 해석학 교수; ''Women in the Earliest Churches''(1988)과 ''Women and the Genesis of Christianity''(1990) 저자.
  • N.T. 라이트: 영국의 신약 학자, 바울 신학자이자 성공회 주교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egalitarianism? https://carm.org/wom[...] 2010-09-11
[2] 웹사이트 Evangelical Pastor Claims Traditional Gender Roles Can Prevent Sexual Abuse https://www.huffpost[...] 2018-08-15
[3] 웹사이트 What Are Complementarianism and Egalitarianism? What's the Difference? https://www.christia[...] 2019-07-05
[4] 간행물 What Is Biblical Equality? 2002
[5] 웹사이트 The Bible and Gender Equality http://www.cbeintern[...]
[6] 서적 Two views on women in ministry https://books.google[...] Zondervan Academic 2009
[7] 웹사이트 Transitional Discipline https://globalmethod[...]
[8] 뉴스 "What do you think?" - Worship Connect http://blogs.covchur[...] 2011-07-15
[9] 성경
[10]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2006
[11] 웹사이트 Christians for Biblical Equality http://www.spiritres[...]
[12] 서적 Let My People Go: A Call to End the Oppression of Women in the Church Createspace 2011
[13] 성경
[14] 웹사이트 Acts 18:26 multi-version http://studybible.in[...]
[15] 서적 HarperCollins Bible Dictionary HarperCollins
[16] 서적 Woman in the World of Jesus Westminster Press 1978
[17] 웹사이트 Statement of Faith http://www.cbeintern[...] Christians for Biblical Equality
[18] 웹사이트 Anna Oliver - GCAH http://www.gcah.org/[...]
[19] 웹사이트 CBE's History http://www.cbeintern[...]
[20] 서적 Sexism and God-Talk Beacon Press
[21] 학술지 Sexism and Misogyny in the Christian Tradition: Liberating Alternatives 2014
[22]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Galatians 3:28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3]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1 Corinthians 7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4]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Romans 12:2 - English Standard Version https://www.biblegat[...]
[25] 서적 The Montanist Oracles and Testimonia Mercer University Press
[26] 학술지 Symbolic Traditionalism and Pragmatic Egalitarianism: Contemporary Evangelicals, Families, and Gender 1999
[27] 웹사이트 National Catholic Reporter http://www.nationalc[...]
[28] 웹사이트 VIS http://www.vis.pcn.n[...]
[29] 서적 Recovering biblical manhood & womanhood : a response to Evangelical feminism https://www.worldcat[...] 2006
[30] 웹사이트 The Danvers Statement https://cbmw.org/abo[...] 1988-11
[31] 웹사이트 Nashville Statement https://cbmw.org/nas[...]
[32] 웹사이트 Foundation Documents of The Gospel Coalition https://www.thegospe[...]
[33] 웹사이트 Mimi Haddad https://www.cbeinter[...]
[34] 웹사이트 Dr. Mimi Haddad | CBE https://www.cbeint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