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긴코가시두더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긴코가시두더지는 긴코가시두더지속에 속하는 포유류로, 몸무게가 최대 17kg에 달하며 긴 주둥이를 특징으로 한다. 주로 야행성이며 숲 바닥에서 곤충을 찾아 먹고, 굴이나 은신처를 만들어 생활한다. 번식기 암컷은 육아낭을 발달시켜 새끼를 보호하며, 사지 자세는 도마뱀과 유사하다. 긴코가시두더지는 뉴기니섬에 서식하며, 삼림 벌채와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보호가 필요하다. 현존하는 종으로는 데이비드 아텐보로 긴코가시두더지, 동부긴코가시두더지, 서부긴코가시두더지가 있으며, 멸종된 종으로는 자이언트긴코가시두더지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시두더지과 - 서부긴코가시두더지
    서부긴코가시두더지는 뉴기니섬 서부 고원 지대에 사는 단공류 포유류로, 지렁이를 주식으로 하며 길고 굽은 주둥이와 억센 털을 가진 멸종위급종이다.
  • 가시두더지과 - 동부긴코가시두더지
    동부긴코가시두더지는 뉴기니 섬에 서식하며 곤충을 주식으로 하는 야행성 단공류 동물로,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취약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가시두더지
    가시두더지는 오스트레일리아와 뉴기니섬에 서식하며 가시로 덮인 몸, 긴 주둥이, 발톱을 가진 단공류 포유류로, 알을 낳고 개미 등을 먹으며, 위협 시 몸을 둥글게 말거나 땅에 숨는 특징을 지닌다.
  • 시어도어 길이 명명한 분류군 - 쥐가오리과
    쥐가오리과는 날개 모양 가슴지느러미와 머리지느러미를 가진 연골어류로, 여과 섭식을 하며,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통해 매가오리과에서 독립된 과로 인정받았고, 쥐가오리속을 유일한 현존 속으로 가지며 암초대왕쥐가오리, 대왕쥐가오리 등을 포함하고, 멸종된 화석 속인 아르키아오만타도 알려져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긴코가시두더지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서부긴코가시두더지 (Zaglossus bruijni)
학명Zaglossus Gill, 1877
속명 명명자Gill, 1877
상태CITES 부속서 II
상태 시스템CITES
모식종Tachyglossus bruijni
모식종 명명자Peters & Doria, 1876
이명Acanthoglossus Gervais, 1877
Bruynia Dubois, 1882
Proechidna Dubois, 1884
Prozaglossus Kerbert, 1913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단공목
가시두더지과
긴코가시두더지속 Zaglossus
하위 종Z. attenboroughi
Z. bartoni
Z. bruijni

2. 특징

긴코가시두더지는 짧은코가시두더지보다 몸집이 크고, 털은 거칠며, 가시는 더 적고 짧다. 주둥이는 머리 길이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약간 아래로 굽어 있다. 앞발과 뒷발 모두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지만, 뒷발은 가운데 세 개의 발가락에만 발톱이 있다. 다른 가시두더지 종과 마찬가지로 뒷다리에 거들개가 있는데, 이는 흔적기관이며 오리너구리와 유사한 억제된 시스템의 일부이다. 수컷의 거들개는 기능이 없으며 암컷은 나이가 들면서 잃는다.[4]

번식하는 암컷은 일시적인 복부 육아낭이 발달하는데, 이 육아낭에서 알이 부화되고, 갓 태어난 새끼가 먹이를 먹고 성장한다. 어미의 몸 밖에서 알을 낳아 부화하고 젖을 분비하는 것은 원수아강의 특징이며, 이들이 기저 포유류임을 보여준다. 짧은 젖 떼기 기간 동안 젖은 새끼의 유일한 영양 공급원이자 보호 수단이며, 새끼는 미성숙형이며 면역학적으로 순진하다.[5]

긴코가시두더지의 사지 자세는 도마뱀, 악어류와 같은 파충류와 유사하게 뻗어 있다. 자세는 유사하지만, 사지 움직임은 매우 다르다. 가시두더지는 사지를 45도 각도로 흔드는 반면, 도마뱀은 더 수평적이다. 몸의 한쪽 다리 두 개가 동시에 움직이며 걷는다.[6] 가시두더지의 보행 패턴은 도마뱀보다 더 똑바르며, 정시상형에 가깝다. 정적 평형 대신 역동적 평형을 갖는다.[7]

주로 야행성이며, 곤충(벌레)을 숲 바닥에서 찾는다. 햇빛 아래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은 발견되지 않는다. 굴 또는 은신처에서 주로 발견된다.[8] 2015년 연구에 따르면 ''Zaglossus spp.''는 먹이 찾기, 이동, 수컷과 암컷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 특정 행동을 할 때 "손잡이"를 보였다. 이는 포유류의 손잡이가 수렴 진화된 것이 아니라 기저 형질임을 시사한다.[9]

생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짧은코가시두더지와 유사한 습성을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지렁이를 주로 먹고 개미는 먹지 않는다. 개체수는 삼림 벌채와 과도한 사냥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보호가 필요하다. 2023년 11월, ''Zaglossus attenboroughi''가 인도네시아 사이클롭스 산맥에서 62년 만에 처음으로 생존한 모습이 비디오로 기록되었다.[10]

2. 1. 형태

긴코가시두더지는 짧은코가시두더지보다 몸집이 더 크며, 거친 털 사이사이에 더 적고 짧은 가시를 가지고 있다. 주둥이는 머리 길이의 3분의 2를 차지하며 약간 아래로 굽어 있다. 앞발과 뒷발 모두 다섯 개의 발가락이 있지만, 뒷발의 경우 가운데 세 개의 발가락에만 발톱이 있다. 다른 가시두더지 종과 마찬가지로 긴코가시두더지는 뒷다리에 거들개가 있다. 이 거들개는 흔적기관이며, 오리너구리의 것과 유사한 억제된 시스템의 일부이다. 수컷의 거들개는 기능이 없으며 암컷은 나이가 들면서 일반적으로 거들개를 잃는다.[4] 긴코가시두더지속보다 대형이며, 체중이 17kg에 달하는 종도 있다.[21] 주둥이는 길다.[21] 협의의 세발가락긴코가시두더지는 첫 번째 발가락과 다섯 번째 발가락에 발톱이 없지만, 동부세발가락긴코가시두더지는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 발가락에 모두 발톱이 있다.[21]

2. 2. 습성

긴코가시두더지는 주로 야행성이며, 곤충(벌레)을 숲 바닥에서 찾는다. 햇빛 아래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은 보통 발견되지 않는다. 긴코가시두더지는 굴 또는 은신처를 만들어 그 안에서 주로 발견된다.[8]

2015년 연구에 따르면 사육 상태의 ''Zaglossus spp.''는 먹이 찾기, 이동, 수컷과 암컷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 특정 행동을 할 때 "손잡이"를 보였다. 이는 포유류의 손잡이가 현존하는 포유류에서 여러 번 수렴 진화된 것이 아니라 기저 형질임을 시사한다.[9]

이 동물들의 생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짧은코가시두더지와 유사한 습성을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긴코가시두더지는 작은 ''Tachyglossus'' 가시두더지보다 훨씬 더 습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주로 지렁이를 먹고 개미는 먹지 않는다. 뉴기니의 가시두더지 개체수는 삼림 벌채와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으며, 보호가 절실히 필요하다. 2023년 11월, ''Zaglossus attenboroughi''가 인도네시아의 사이클롭스 산맥에서 62년 만에 처음으로 생존한 모습이 비디오로 기록되었다.[10] 서식지는 해발 900~4,150미터의 고지에 있는 숲이나 초지이다.[19] 야행성이며,[19] 바위 그늘이나 숲 속 돌 틈새 등을 둥지로 삼는다.[19] 먹이는 지렁이나 곤충이다.[19]

2. 3. 기저 형질

번식하는 암컷은 일시적인 복부 육아낭을 발달시키는데, 이 육아낭에서 알이 부화되고, 갓 태어난 새끼(또는 퍼글)가 먹이를 먹고 성장하면서 안전하게 머물게 된다. 어미의 몸 밖에서 알을 낳아 부화함으로써 원수아강의 젖 분비 과정을 동반하는데, 이는 이들이 기저 포유류임을 보여준다. 긴코가시두더지는 짧은 젖 떼기 기간을 가지며, 이 기간 동안 젖은 부화한 새끼의 유일한 영양 공급원이자 보호 수단이다. 이들은 미성숙형이며 면역학적으로 순진하다.[5]

긴코가시두더지의 사지 자세는 도마뱀과 악어류와 같은 현존하는 파충류와 유사하게 뻗어 있다. 동물 그룹 간의 자세는 유사하지만, 사지의 움직임 방식은 분지군 간에 매우 다르다. 가시두더지는 사지를 45도 각도로 흔드는 반면, 도마뱀은 더 수평적이다. 그들은 몸의 한쪽 다리 두 개가 동시에 움직이면서 걷는다.[6]

긴코가시두더지의 걸음걸이는 도마뱀의 걸음걸이와 여러 차이점을 보인다. 가시두더지의 보행 패턴은 도마뱀보다 더 똑바르며, 이는 정시상형에 가까운 패턴을 나타낸다. 가시두더지와 테리안은 모두 정적 평형 대신 역동적 평형을 갖는다.[7]

3. 분류

긴코가시두더지속은 과거 서부긴코가시두더지(미유비하리모구라)(''Z. bruijni'') 한 종으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1998년 아텐보로긴코가시두더지(''Z. attenboroughi'')가 신종으로 기재되면서, 동부긴코가시두더지(히가시미유비하리모구라)(''Z. bartoni'')를 독립된 종으로 하고 4아종으로 분할한다는 설이 제기되었다.[22]

화석종으로는 중신세의 ''Z. robustus''가 알려져 있다.[20] 대형종 자이언트긴코가시두더지(''Z. hacketti'')는 이전에는 긴코가시두더지속(''Zaglossus'')의 일종이었지만, 나중에 Murrayglossus속으로 옮겨졌다.[23]

현생종의 분류, 영어 명칭은 Groves(2005)를 따르며[17], 일본어 명칭은 카와다 등(2018)을 따른다[18]

3. 1. 현생종

긴코가시두더지속(''Zaglossus'')에는 현생 3종이 속한다. 1998년 아텐보로긴코가시두더지(''Z. attenboroughi'')가 신종으로 기재되면서, 동부긴코가시두더지(''Z. bartoni'')가 독립된 종으로 분리되고 4아종으로 나뉜다는 설이 제기되었다.[22]

다음은 현생종의 분류와 명칭이다.

  • 학명 및 영어명은 Groves(2005)를 따름[17]
  • 일본어 명칭은 카와다 등(2018)을 따름[18]


학명한국어 명칭일본어 명칭영어 명칭
Zaglossus attenboroughi아텐보로긴코가시두더지Sir David's long-beaked echidna영어
Zaglossus bartoni동부긴코가시두더지히가시미유비하리모구라Eastern long-beaked echidna영어
Zaglossus bruijni서부긴코가시두더지미유비하리모구라Western long-beaked echidna영어


3. 1. 1. 아텐보로긴코가시두더지

인도네시아 파푸아 주, 자야푸라 군의 사이클롭스 산맥에서만 알려져 있다.[13] 시기는 홀로세이다. 보전 상태는 심각한 위기이다.[13] 2023년 11월, 62년 만에 사이클롭스 산맥에서 생존 모습이 확인되었다.

3. 1. 2. 동부긴코가시두더지


  • '''서식지''': 파니아이 호수와 나노 산맥 사이의 중앙 산맥, 후온 반도
  • '''시기''': 홀로세
  • '''보전 상태''': 취약종[14]

3. 1. 3. 서부긴코가시두더지

뉴기니섬 인도네시아파푸아주, 서파푸아주의 고산림에 서식하며, 서식 시기는 홀로세이다.[15] 심각한 멸종 위기 상태이다.[15]

3. 2. 멸종된 종

과거에는 긴코가시두더지속이 미유비하리모구라(''Z. bruijni'') 하나로만 구성되어 있었다. 1998년 아텐보로긴코가시두더지(''Z. attenboroughi'')가 신종으로 기재되면서, 히가시미유비하리모구라(''Z. bartoni'')를 독립된 종으로 하고 4아종으로 분할한다는 설이 제기되었다[22]

화석종으로는 중신세의 ''Z. robustus''가 알려져 있다[20]。 대형종 자이언트긴코가시두더지(''Z. hacketti'')는 이전에는 ''Zaglossus''속의 일종이었지만, 나중에 ''Murrayglossus''속으로 옮겨졌다[23]

3. 2. 1. † ''Zaglossus hacketti''

Zaglossus hacketti|자글로수스 하케티영어는 홍적세에 살았던 멸종된 대형종 자이언트긴코가시두더지이다.[23] 과거에는 긴코가시두더지속(Zaglossus|자글로수스la)의 일종이었으나, 나중에 Murrayglossus|무라이글로수스la속으로 옮겨졌다.[23]

3. 2. 2. † ''Zaglossus robustus''

중신세의 화석종 ''Z. robustus''가 알려져 있다.[20] 한때 긴코가시두더지속(''Zaglossus'')으로 분류되었던 대형종 자이언트긴코가시두더지(''Z. hacketti'')는 홍적세 화석으로, 현재는 ''Murrayglossus''속으로 옮겨졌다.[23]

4. 분포

긴코가시두더지는 뉴기니섬에 분포한다.[19] 과거 오스트레일리아에도 분포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20]

4. 1. 현재 분포

과거에는 오스트레일리아에도 분포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Z. robustus''가, 서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 ''Z. hacketti''가 발굴되었다.[20]

4. 2. 과거 분포

과거에는 오스트레일리아에도 분포했던 것으로 여겨지며, 뉴사우스웨일스주에서 ''Z. robustus''가, 서오스트레일리아주에서 ''Z. hacketti''가 발굴되었다.[20]

5. 생태

긴코가시두더지는 주로 야행성이며, 숲 바닥에서 곤충(벌레)을 먹이로 찾는다. 햇빛 아래에서는 먹이를 찾는 모습이 잘 발견되지 않으며, 굴이나 은신처에서 주로 발견된다.[8]

2015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사육 상태의 ''Zaglossus spp.''는 먹이 찾기, 이동, 수컷과 암컷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 특정 행동을 할 때 "손잡이"를 보였다. 이는 포유류의 손잡이가 현존하는 포유류에서 여러 번 수렴 진화된 것이 아니라 기저 형질임을 시사한다.[9]

이 동물은 드물게 관찰되어 생활사에 대해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짧은코가시두더지와 유사한 습성을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뉴기니의 가시두더지 개체수는 삼림 벌채와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어 보호가 절실히 필요하다. 2023년 11월, 인도네시아 사이클롭스 산맥에서 ''Zaglossus attenboroughi''의 생존 모습이 62년 만에 처음으로 비디오로 기록되었다.[10]

5. 1. 서식 환경

긴코가시두더지는 해발 900~4,150미터 고지의 숲이나 초지에 서식한다.[19] 야행성이며,[19] 숲 바닥에서 곤충(벌레) 먹이를 찾는다. 햇빛 아래에서는 먹이를 찾는 모습이 잘 발견되지 않으며, 바위 그늘이나 숲 속 돌 틈새 등을 둥지로 삼는다.[19] 굴 또는 은신처를 만들어 그 안에서 주로 발견된다.[8]

긴코가시두더지는 작은 ''Tachyglossus'' 가시두더지보다 훨씬 더 습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주로 지렁이를 먹고 개미는 먹지 않는다.[10]

5. 2. 먹이

긴코가시두더지는 주로 지렁이를 먹고 개미는 먹지 않는다. 숲 바닥에서 곤충(벌레) 먹이를 찾는다. 보통 햇빛 아래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은 발견되지 않는다.[8]

6. 행동 연구

긴코가시두더지는 주로 야행성이며, 곤충(벌레) 먹이를 숲 바닥에서 찾는다. 햇빛 아래에서 먹이를 찾는 모습은 보통 발견되지 않으며, 굴 또는 은신처 안에서 흔히 발견된다.[8]

이 동물들의 생활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짧은코가시두더지와 비슷한 습성을 가질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긴코가시두더지는 작은 ''Tachyglossus'' 가시두더지보다 훨씬 더 습한 환경에서 살기 때문에 주로 지렁이를 먹고 개미는 먹지 않는다. 뉴기니의 가시두더지 개체수는 삼림 벌채와 과도한 사냥으로 인해 감소하고 있으며, 보호가 절실히 필요하다. 2023년 11월, 인도네시아의 사이클롭스 산맥에서 ''Zaglossus attenboroughi''의 생존 모습이 62년 만에 처음으로 비디오로 기록되었다.[10]

6. 1. "손잡이" 행동

2015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사육 상태의 긴코가시두더지(''Zaglossus spp.'')는 먹이 찾기, 이동, 수컷과 암컷 간의 상호 작용과 관련된 특정 행동을 할 때 "손잡이"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는 포유류의 손잡이가 현존하는 포유류에서 여러 번 수렴 진화된 것이 아니라 기저 형질임을 시사한다.[9]

참조

[1] MSW3
[2] 학술지 The early development of the echidna, ''Tachyglossus aculeatus'' (Mammalia: Monotremata), and patterns of mammalian development 2011-01
[3] 학술지 A review of monotreme (Monotremata) evolution
[4] 학술지 Tracing Monotreme Venom Evolution in the Genomics Era 2014
[5] 학술지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onotreme- Specific Antibacterial Protein Expressed during Lactation 2013-01-09
[6] 학술지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the walking gait of the long-beaked echidna 2013
[7] 학술지 An evolutionary perspective on the walking gait of the long-beaked echidna https://doi.org/10.1[...] 2013
[8] 학술지 Home ranges, movement, and den use in long-beaked echidnas, ''Zaglossus bartoni'', from Papua New Guinea 2009-04
[9] 학술지 First record of limb preferences in monotremes (Zaglossus spp.) http://www.publish.c[...] 2015-10-30
[10] 뉴스 First-ever images prove 'lost echidna' not extinct https://www.bbc.com/[...] 2023-11-10
[11] 학술지 Inferring the mammal tree: Species-level sets of phylogenies for questions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2019
[12] 학술지 DR_on4phylosCompared_linear_richCol_justScale_ownColors_withTips_80in https://github.com/n[...]
[13] IUCN Zaglossus attenboroughi 2016
[14] IUCN Zaglossus bartoni 2016
[15] IUCN Zaglossus bruijnii 2016
[16] 웹사이트 I, II and III (valid from 22 June 2021) https://cites.org/si[...] 2021-07-05
[17] 서적 Order Monotremat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18] 학술지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https://doi.org/10.1[...] 日本哺乳類学会 2018
[19] 서적 ミユビハリモグラ 講談社 2000
[20] 서적 Evolution CSIRO Publishing 2006
[21] 서적 The Monotremes CSIRO Publishing 2006
[22] 학술지 A revision of the genus ''Zaglossus'' (Monotremata, Tachyglossidae), with description of new species and subspecies https://doi.org/10.1[...] 1998
[23] 학술지 A review of monotreme (Monotremata) evolution https://doi.org/10.1[...] 2022-03-16
[24] MSW3
[25] 학술지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a Novel Monotreme- Specific Antibacterial Protein Expressed during Lactation 2013
[26] 학술지 A revision of the genus ''Zaglossus'' (Monotremata, Tachyglossidae), with description of new species and subspecies 199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