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만중문학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만중문학상은 김만중의 문학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문학상으로, 2010년부터 매년 시상하고 있다. 대상, 시, 소설, 수필, 희곡, 아동문학, 유배문학 등 다양한 부문에서 작품을 선정하며, 역대 수상작으로는 문호성의 장편소설 <육도경>, 김주영의 장편소설 <잘 가요 엄마>, 강우식의 연작 장시 <마추픽추> 등이 있다.

2. 역대 수상자 및 작품

김만중문학상은 매년 소설, 시, 희곡, 아동문학 등 다양한 부문에서 수상작을 선정한다.

연도회차부문수상자작품비고
2010제1회대상文鎬成|문호성중국어六道經|육도경중국어 (장편소설)
2011제2회대상이상원<서포에서 길을 찾다> (서사시)
시 부문 금상박후기<유배 자청 - 미조항 멸치잡이>
2012제3회대상임종욱南|남중국어해는 잠들지 않는다 (長|장중국어편소설)[1]
소설 부문 금상梁真榮|양진영중국어<올무>
2013제4회대상김주영<잘 가요 엄마> (장편소설)공모 부문이 아닌, 선정 부문 최초의 수상작[2]
2014제5회대상강우식마추픽추es (연작 장시)[3]
2015제6회소설 부문 금상손정모<떠도는 기류>
시 부문 금상정지윤<반 셔터를 누르는 오후> 외 6편
2016제7회소설 부문 금상이서진<마지막 메이크업>[4]
시ㆍ시조 부문 금상이병철<막사발 속 섬에 사는 이에게>
2017제8회소설 부문 금상김담(김혜자)<기울어진 식탁>[5][6]
시 부문 금상김학중<군무, 새의 형용사> 외 6편


2. 1. 제1회 (2010년)

부문수상자작품
대상文鎬成|문호성중국어六道經|육도경중국어 (장편소설)
시 부문 금상河受賢|하수현중국어겨울 나그네|겨울 나그네중국어 (장시)
시 부문 금상孔光奎|공광규중국어只族海峽에서|지족해협에서중국어 외 6편
소설 부문 금상柳然姬|유연희중국어날짜 變更線|날짜 변경선중국어
소설 부문 금상鄭喜星|정희성중국어白紙에 대한 地質學的 探究|백지에 대한 지질학적 탐구중국어
수필 부문 금상宋明和|송명화중국어火仙|화선중국어
희곡 부문 금상李元喜|이원희중국어줄탁|줄탁중국어
희곡 부문 금상李周英|이주영중국어그녀의 손가락|그녀의 손가락중국어
아동문학 부문 금상金恩洙|김은수중국어도둑왕이 도둑맞은 것|도둑왕이 도둑맞은 것중국어
아동문학 부문 금상李祐植|이우식중국어실뜨기놀이|실뜨기놀이중국어
유배문학특별상 부문 금상韓素田|한소전중국어草屋 가는 길|초옥 가는 길중국어


2. 2. 제2회 (2011년)

분야수상자작품명
대상이상원<서포에서 길을 찾다> (서사시)
시 부문 금상박후기<유배 자청 - 미조항 멸치잡이>
시 부문 은상최헌명<웃음에 관한 고찰>
소설 부문 금상이후경<저녘의 포도나무>
소설 부문 은상이춘실<빨간눈 이새>


2. 3. 제3회 (2012년)

임종욱은 <南|남중국어해는 잠들지 않는다>(長|장중국어편소설)로 대상을 수상했다.[1] 소설 부문 금상은 梁真榮|양진영중국어의 <올무>, 은상은 金文柱|김문주중국어의 <거울 뒤의 남자>가 수상했다.[1] 시 부문 금상은 李敎相|이교상중국어의 <시조로 읽는 구운몽>, 은상은 林敬默|임경묵중국어의 <매화초옥도에 들다>가 수상했다.[1] 희곡 부문 금상은 姜錫鉉|강석현중국어의 <귀불귀-김시습과의 인터뷰>, 은상은 金永根|김영근중국어의 <조선으로 베다>가 수상했다.[1]

수상자 및 작품
대상임종욱, <南|남중국어해는 잠들지 않는다> (長|장중국어편소설)
소설 부문
금상梁真榮|양진영중국어, <올무>
은상金文柱|김문주중국어, <거울 뒤의 남자>
시 부문
금상李敎相|이교상중국어, <시조로 읽는 구운몽>
은상林敬默|임경묵중국어, <매화초옥도에 들다>
희곡 부문
금상姜錫鉉|강석현중국어, <귀불귀-김시습과의 인터뷰>
은상金永根|김영근중국어, <조선으로 베다>


2. 4. 제4회 (2013년)

김주영의 장편소설 《잘 가요 엄마》가 대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다. 공모 부문이 아닌 선정 부문 최초의 수상작이다. 심사위원단은 남해 고도에서 모정을 그리며 썼던 서포 김만중의 사모곡 집필 자세와 서울에서 모정을 그리며 쓴 김주영의 사모곡 창작 동기가 시대를 넘어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귀양살이하는 아들이든 도시에서 출세한 아들이든 어머니에게는 한결같은 근심덩어리였다는 점에서 인간은 모성애 앞에 평등하며, 이러한 모성애가 국토와 역사와 민족으로 어우러져 펼쳐진 게 김주영 문학의 요체이기에 만장일치로 대상작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2]

소설 부문에서는 황경민의 《아름다운 테러리스트를 위한 지침서》가 금상을 수상하였고, 은상 수상작은 없었다. 시ㆍ시조 부문에서는 박현덕의 〈노도에서의 하룻밤〉 외 59편이 금상을, 송유미의 〈물고기 뱃속에서 나온 김만중의 편지〉 외 8편이 은상을 수상하였다.

2. 5. 제5회 (2014년)

강우식은 마추픽추es(연작 장시)로 대상을 수상했다.[3] 소설 부문에서는 조완선의 <걸작의 탄생>이 금상을, 윤정아의 <서포서한>이 은상을 수상했다.[3] 시 부문에서는 김유섭의 <해변에서>가 금상을, 한승엽의 <멸치 복음(福音)>이 은상을 수상했다.[3]

2. 6. 제6회 (2015년)

분야금상은상
소설손정모 <떠도는 기류>구양근 <칼춤>
정지윤 <반 셔터를 누르는 오후> 외 6편임채성 <다랭이 마을> 외 13편


2. 7. 제7회 (2016년)

분야금상은상
소설이서진, <마지막 메이크업>김민주, <너의 목소리>, <웨이 테이 하안>
시ㆍ시조이병철, <막사발 속 섬에 사는 이에게>김태승, <물방울의 발설> 외 6편

[4]

2. 8. 제8회 (2017년)

'''소설 부문'''[5][6]

상격이름작품
금상김담(김혜자)<기울어진 식탁>
은상김경순<춤추는 코끼리>



'''시 부문'''[5][6]

상격이름작품
금상김학중<군무, 새의 형용사> 외 6편
은상조경섭<바다를 감춘 노도> 외 6편


참조

[1] 뉴스 http://www.ohmynews.[...]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gndomin.c[...] 2018-01-31
[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gn.com/su[...] 2018-01-31
[4] 뉴스 http://www.ohmynews.[...]
[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news8080.com/[...] 2018-01-31
[6] 뉴스 http://www.pressia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