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희 (쇼트트랙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소희는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이자 지도자이다. 199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고,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 여자 3,000m 계주에서 금메달, 1,000m 개인전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여자 1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은퇴했다. 은퇴 후에는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주임 연구원,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3년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했으나, 선수 폭행 사건으로 인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해설가 - 김동성 (쇼트트랙 선수)
김동성은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 1000m 금메달,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 종합 우승, 쇼트트랙 월드컵 종합 우승 등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대한민국 쇼트트랙 간판 스타로 활약한 선수로, 은퇴 후 코치 및 해설가로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해설가 - 전이경
전이경은 1994년과 1998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이며, 은퇴 후에는 국제올림픽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했다. - 정화여자중학교 동문 - 하춘화
1961년 만 6세에 데뷔한 가수 하춘화는 《물새 한 마리》, 《잘했군 잘했어》, 《영암 아리랑》, 《알고 계세요》 등 수많은 히트곡과 8,500회 이상의 공연, 2,400여 곡의 취입곡, 박사 학위 취득, 꾸준한 기부 활동으로 유명하다. - 정화여자중학교 동문 - 박유나
박유나는 YG엔터테인먼트 소속의 대한민국 배우로, 2015년 KBS2 드라마 《발칙하게 고고》로 데뷔하여 영화와 드라마에 출연하며 광고 모델로도 활동했다. - 199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송재근
송재근은 1992년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대한민국 쇼트트랙 선수 출신으로, 선수 은퇴 후에는 대한민국 및 중국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로 활동했다. - 1995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양양 (1977년)
김소희 (쇼트트랙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이름 | 김소희 |
로마자 표기 | Gim So-hui |
한글 | 김소희 |
한자 | 金昭希 |
출생일 | 1976년 9월 16일 ()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북도 대구시 |
신장 | 172cm |
체중 | 54kg |
국적 | 대한민국 |
종목 | 쇼트트랙 |
은퇴 | 1997년 |
올림픽 메달 | |
올림픽 | 금 1, 동 1 |
금메달 | 1994 릴레함메르 - 3000m 계주 |
동메달 | 1994 릴레함메르 - 1000m |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 | |
세계 선수권 대회 | 금 4, 은 5, 동 3 |
세계 팀 선수권 대회 | 금 3, 은 1 |
금메달 | 1992 덴버 - 1500m |
금메달 | 1992 덴버 - 3000m |
금메달 | 1992 덴버 - 종합 |
금메달 | 1994 길퍼드 - 1500m |
금메달 | 1992 미나미마키 - 단체전 |
금메달 | 1995 주테르메이르 - 단체전 |
금메달 | 1996 레이크플래시드 - 단체전 |
은메달 | 1992 덴버 - 500m |
은메달 | 1994 길퍼드 - 1000m |
은메달 | 1994 길퍼드 - 종합 |
은메달 | 1995 예비크 - 1500m |
은메달 | 1995 예비크 - 3000m 계주 |
은메달 | 1994 케임브리지 - 단체전 |
동메달 | 1993 베이징 - 3000m 계주 |
동메달 | 1994 길퍼드 - 3000m 계주 |
동메달 | 1995 예비크 - 1000m |
아시안 게임 메달 | |
아시안 게임 | 금 1, 은 2 |
금메달 | 1990 삿포로 - 1500m |
은메달 | 1990 삿포로 - 3000m 계주 |
은메달 | 1996 하얼빈 - 3000m 계주 |
유니버시아드 메달 | |
금메달 | 1995 하카 - 3000m |
금메달 | 1997 무주-전주 - 1000m |
은메달 | 1995 하카 - 3000m 계주 |
은메달 | 1997 무주-전주 - 3000m 계주 |
동메달 | 1995 하카 - 1000m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메달 | |
금메달 | 1994 서울 - 1000m |
금메달 | 1994 서울 - 1500m |
금메달 | 1994 서울 - 종합 |
은메달 | 1994 서울 - 500m |
은메달 | 1994 서울 - 1500m S.F |
2. 선수 경력
정화여자고등학교 1학년 때 199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 종합 우승을 차지했다. 1994년 동계 올림픽에서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1,000m 개인전 동메달을 획득했고, 1993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는 종합 2위에 올랐다. 이후 고질적인 허리 부상으로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여자 1000m 금메달을 끝으로 은퇴했다.[1] 계명대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웨스턴일리노이대학에서 스포츠마케팅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서울대학교에서 2012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3년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위원회 홍보위원으로 발탁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스포츠산업연구소 주임 연구원 및 대한체육회 국제위원회 위원, 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를 위한 현장 실사에도 나섰다.
2. 1. 국제 대회
정화여자고등학교 1학년 때인 1992년 미국 덴버에서 열린 1992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여 종합 우승을 차지하였다. 1994년 노르웨이 릴레함메르 동계 올림픽에서는 전이경 등과 함께 여자 3,000m 계주 금메달, 1,000m 개인전 동메달을 땄다. 1994년 영국 길퍼드에서 열린 1993년 세계 쇼트트랙 선수권 대회에서는 종합 2위에 올랐다.[1]2. 2. 부상과 은퇴
1994년 동계 올림픽 이후 고질적인 허리 부상에 시달렸으며, 무주군과 전주시에서 열린 1997년 동계 유니버시아드 여자 10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뒤 현역에서 은퇴했다.[1]3. 대표팀 숙소 이탈 사건
2014년 2월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MBC의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발탁되었는데, 과거 선수 폭행 사건이 다시 부각되면서 논란이 되었다.[6]
3. 1. 사건 개요
김소희는 2003년 말 국가대표팀 코치로 선임되어 그해 중국에서 열린 1, 2차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종합 우승을 거두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2004년 11월 3일 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진선유 등 여자대표팀 선수 6명이 사생활 간섭[2], 상습적 구타[3] 등 코치의 강압적인 지도 방식에 불만을 품고 태릉선수촌을 무단 이탈했다가 대한빙상연맹의 설득으로 하루 만에 복귀했다. 연맹 측은 11월 11일 상습 구타 사건에 연루된 코치진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했고, 7명의 부회장단도 총사퇴했다.[4] 이후 연맹은 여자 대표팀을 선수촌에서 퇴촌시켰으며, 11월 말 열린 3, 4차 월드컵 대회 출전도 정지시켰다.[5] 이 사건 이후 김소희는 현장 지도에는 나서지 않고 연구원으로만 활동하고 있다.3. 2. 사건 경과
김소희는 2003년 말 국가대표팀 코치로 선임되어 그해 중국에서 열린 1, 2차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종합 우승을 거두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2004년 11월 3일 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진선유 등 여자대표팀 선수 6명이 사생활 간섭[2], 상습적 구타[3] 등 코치의 강압적인 지도 방식에 불만을 품고 태릉선수촌을 무단 이탈했다가 대한빙상연맹의 설득으로 하루 만에 복귀했다. 11월 11일 연맹 측은 상습구타 사건에 연루된 코치진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했고, 7명의 부회장단도 총사퇴했다.[4] 이후 연맹은 여자대표팀을 선수촌에서 퇴촌시켰으며, 11월 말 열린 3, 4차 월드컵 대회 출전도 정지시켰다.[5] 이 사건 이후 김소희는 현장 지도에는 나서지 않고 연구원으로만 활동하고 있다.2014년 2월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MBC의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전격 발탁되었는데, 예전의 구타 사건이 다시 조명되면서 크게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6]
3. 3. 논란
김소희는 2003년 말 국가대표팀 코치로 선임되어 그해 중국에서 열린 1, 2차 월드컵에서 대한민국 대표팀이 종합 우승을 거두는 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2004년 11월 3일 최은경, 여수연, 변천사, 허희빈, 강윤미, 진선유 등 여자 대표팀 선수 6명이 코치의 강압적인 지도 방식에 불만을 품고 태릉선수촌을 무단 이탈했다. 선수들은 사생활 간섭[2], 상습적 구타[3]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으며, 대한빙상연맹의 설득으로 하루 만에 복귀했다. 11월 11일 연맹 측은 상습 구타 사건에 연루된 코치진이 제출한 사표를 수리했고, 7명의 부회장단도 총사퇴했다.[4] 이후 연맹은 여자 대표팀을 선수촌에서 퇴촌시켰으며, 11월 말 열린 3, 4차 월드컵 대회 출전도 정지시켰다.[5]2014년 2월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을 앞두고 MBC의 쇼트트랙 해설위원으로 전격 발탁되었는데, 과거의 구타 사건이 다시 조명되면서 크게 논란이 되었다.[6]
참조
[1]
뉴스
쇼트트랙 김소희 은퇴
http://sports.news.n[...]
연합뉴스
[2]
뉴스
"죽도록 두들겨 맞고…" 여자 쇼트트랙 '폭력의 얼음판'
http://sports.news.n[...]
동아일보
2014-02-16
[3]
뉴스
여자 쇼트트랙 구타 쇼크 "매일 무차별적으로 맞았다"- 국제대회장서도 되풀이
http://legacy.www.ha[...]
한겨레
2014-02-16
[4]
뉴스
"`선수 매질`파문..빙상聯 부회장단 사퇴"
https://news.naver.c[...]
문화일보
2014-02-16
[5]
뉴스
여자 쇼트트랙 새 사령탑 선임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14-02-17
[6]
뉴스
김소희 구타 논란… 네티즌, MBC에 뿔났다 "기가 막혀 못 보겠다"
http://www.etoday.co[...]
이투데이
2014-0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