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 (농구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진은 대한민국의 농구인으로, 선수와 지도자로 활동했다. 신일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졸업하고 삼성전자에서 선수로 활약하며 농구대잔치 우승에 기여했고, 1990년 베이징 아시안 게임에 국가대표로 출전했다. 은퇴 후에는 상무 농구단 코치 겸 감독을 거쳐 대구 동양 오리온스, 서울 SK 나이츠, 창원 LG 세이커스 감독을 역임했다. 동양 오리온스 감독 시절 팀의 창단 첫 정규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이끌었으며,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대한민국 농구 대표팀을 이끌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창원 LG 세이커스 감독으로도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했으며, KBL 재정위원으로 활동하며 농구 전술서를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김진 (농구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진 |
출생일 | 1961년 1월 22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강원도 춘천시 |
국적 | 대한민국 |
신장 | 185cm |
몸무게 | 75kg |
포지션 | 감독 |
역대 포지션 | 가드 |
등번호 | 12 |
역대 등번호 | 12 |
고등학교 | 신일고등학교 |
대학교 | 고려대학교 |
선수 경력 | |
경력 시작 | 1984년 |
경력 종료 | 1995년 |
소속팀 | 삼성전자 농구단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연도 | 1990년 |
코치 경력 | |
코치 시작 | 1996년 |
코치 연도 1 | 1995-1996 |
코치팀 1 | 상무 농구단(코치 겸 감독) |
코치 연도 2 | 1996-2000 |
코치팀 2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코치 연도 3 | 2000 |
코치팀 3 | 대구 동양 오리온스(감독대행) |
코치 연도 4 | 2001-2007 |
코치팀 4 | 대구 오리온스(감독) |
코치 연도 5 | 2007-2009 |
코치팀 5 | 서울 SK 나이츠(감독) |
코치 연도 6 | 2011-2017 |
코치팀 6 | 창원 LG 세이커스(감독) |
메달 | |
메달 틀 | }} |
메달 스포츠 | 남자 농구 |
메달 경기 | 아시안 게임 |
동메달 | 1990 베이징 남자 농구 |
2. 선수 시절
강원도 춘천시 출신으로 서울 신일고등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졸업했다. 1984년 실업팀 삼성전자에 입단하여 농구대잔치 84-85 시즌과 87-88 시즌 우승에 기여했으며, 1990년 베이징 아시안게임에 국가대표로 출전했다. 현역 시절 '샤프 슈터', '코트의 신사', '코트의 스님' 등으로 불렸으며, 고려대학교 선배 이충희, 삼성전자 선배 김현준과 함께 뛰었다.
2. 1. 주요 경력
연도 | 주요 경력 |
---|---|
1984년 | 삼성전자 농구단 입단 |
1984년~1985년 | 농구대잔치 우승 (삼성전자) |
1987년~1988년 | 농구대잔치 우승 (삼성전자) |
1990년 | 베이징 아시안 게임 농구 국가대표 |
1995년 | 은퇴 |
은퇴 후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상무 농구단 코치 겸 감독을 맡은 뒤, 은사였던 박광호 감독과 함께 대구 동양 오리온스 창단 코치로 합류했다. 팀의 32연패와 박광호 감독의 갑작스러운 죽음 이후에도 팀을 지키며 감독대행을 거쳐 2001-2002 시즌을 앞두고 정식 감독으로 승진했다.
3. 지도자 시절
부임 첫해인 2001-2002 시즌, 김진은 동양의 창단 첫 정규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이끌며 40대 초반의 젊은 나이에 명장 반열에 올랐다. 이는 감독 세대교체 기수론의 중심이 되었으며, 이후 전창진 감독이 그 뒤를 따랐다. 2002년 부산 아시안게임에서는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1982년 뉴델리 아시안게임 이후 20년 만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국민 명장'으로 불리기도 했다. 2002-2003 시즌에도 동양의 정규리그 2연패를 이끌었다. 동양에서 6년 동안 재임하며 매 시즌 팀을 플레이오프에 진출시키는 성과를 냈다.
2007년에는 서울 SK 나이츠 감독을 맡았으나, 2009년 말 성적 부진으로 자진 사퇴했다. 이후 강양택 수석코치와 함께 미국 NBA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서 연수를 받았다. 2011년, 강을준 감독의 후임으로 창원 LG 세이커스 감독으로 부임하며 1년 반 만에 현장에 복귀, 강양택 수석코치와 다시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부임 첫해는 성적 부진을 겪었지만, 2년간의 리빌딩을 통해 2013-2014 시즌 창단 17년 만의 정규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2014-2015 시즌에도 팀을 4위로 이끌며 선전했다. 김진은 전창진과 함께 KBL 역대 감독 중 두 개 팀에서 정규리그 우승을 달성한 감독이다. LG에서 6년간 지휘봉을 잡았으나, 이후 2년간의 성적 부진으로 퇴임했다.
퇴임 후에는 KBL 재정위원을 맡았으며, 재능 기부 및 농구 전술서 저술을 통해 농구인 및 팬들과 소통을 이어가고 있다.
3. 1. 주요 경력
연도 | 소속팀 | 직책 | 비고 |
---|---|---|---|
1995년 ~ 1996년 | 상무 농구단 | 코치 겸 감독 | |
1996년 ~ 2001년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코치 | 창단 코치 |
2001년 ~ 2002년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감독 대행 | |
2001년 ~ 2007년 | 대구 동양 오리온스 | 감독 | 2001-2002 시즌 정규리그 및 챔피언결정전 우승 2002-2003 시즌 정규리그 우승 2002 부산 아시안게임 농구 국가대표팀 감독 (금메달) |
2007년 ~ 2009년 | 서울 SK 나이츠 | 감독 | |
2010년 ~ 2011년 |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 연수 코치 | |
2011년 ~ 2017년 | 창원 LG 세이커스 | 감독 | 2013-2014 시즌 정규리그 우승 |
2017년 ~ 현재 | KBL | 재정위원 |
3. 2. 수상 내역
연도 | 수상 내역 |
---|---|
2002 | 삼성 애니콜 프로농구 감독상 |
2002 | 아디다스 프로농구 대상 지도자상 |
2002 | 부산 아시안게임 금메달 감독 |
2003 | 삼성 애니콜 프로농구 감독상 |
2003 | LG 플래트론 프로농구 대상 감독상 |
2014 | KB국민카드 프로농구 정규리그 시상식 감독상 |
2014 | 스포츠토토 한국농구대상 시상식 감독상 |
4. 저서
- PLAY BOOK (2020년, 본인 직접 저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