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김천금릉빗내농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천금릉빗내농악은 영남 농악의 대표적인 형태로, 경상도 특유의 쇠가락과 쇠놀음, 대북놀음, 군사진굿 등의 특징을 지닌다. 1980년대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었으나 2019년 해제되었으며, 이후 예술성, 기술성, 대표성을 인정받아 국가무형문화재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김천금릉빗내농악보존회는 1984년 설립되어 악기 연주, 판굿, 개인놀이 등의 기예를 전승하며, 법인 설립을 통해 체계적인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북도의 국가무형유산 - 하회별신굿탈놀이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안동 하회동에서 서낭신을 위로하기 위해 행해지는 가면극이 포함된 별신굿 의례로, 신분 사회의 단면과 지배 계층의 위선 등을 풍자와 해학으로 담아낸 500년 이상 된 중요 무형 문화재이며, 하회탈은 국보로 지정되어 정기적인 탈놀이 공연이 개최된다.
  • 경상북도의 국가무형유산 - 차전놀이
    차전놀이는 후삼국시대 고창 전투의 승리를 기념하며 정월 대보름에 안동 지역에서 동·서편으로 나뉘어 나무 묶음(동채)을 메고 싸우는 대한민국의 전통 놀이로, 동채 제작 시 금기가 따르고 동채 머리를 땅에 닿게 하거나 대장을 끌어내려 승패를 결정한다.
  • 농악 - 진주삼천포농악
    진주삼천포농악은 경상남도에 전승되는 농악으로, 한국 농악 중 최초로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고깔을 쓴 치배가 없고 채상놀음이 뛰어나며 무동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마을의 안녕과 공동체 의식을 다지는 데 기여하며, 상쇠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주자들과 농기수, 법고, 잡색 등으로 구성되고 박염과 김선옥이 예능보유자로 지정되어 진주삼천포농악 보존회가 맥을 이어가고 있다.
  • 농악 - 진도북놀이
    진도북놀이는 전라남도 진도에서 전승되는 민속 예술로, 모심기 노동요인 모북에서 유래하여 무굿과 풍물놀이의 영향을 받아 발전한 북춤이며, X자형 북채놀림과 독특한 발동작이 돋보인다.
  • 김천시의 문화유산 - 섬계서원
    섬계서원은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은 김문기의 충절을 기리고자 1802년에 건립되었으며, 김문기, 김현석, 장지도, 윤은보, 서질을 배향하고,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된 후 원허비가 세워졌다.
  • 김천시의 문화유산 - 김천 대휴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김천 대휴사 목조보살좌상 및 복장유물은 조선 후기에 제작된 목조 보살상과 그 안에서 발견된 유물로, 조선 후기 불상의 특징을 나타내며 종교적 신념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김천금릉빗내농악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김천금릉빗내농악 공연 모습
김천금릉빗내농악 공연 모습
이름김천금릉빗내농악
로마자 표기Gimcheon Geumneung Bitnae Nongak
지정 종류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번호11-7
지정일2019년 9월 2일
주소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광천리 1044번지
전승 단체김천금릉빗내농악보존회
문화재 지정 이력
지정 종류무형문화재
지정 번호8
지정일1984년 12월 29일
해제일2019년 9월 2일

2. 역사

김천시 개령면 빗내마을에서 전승되어 온 농악인 김천금릉빗내농악은 그 뿌리가 깊다. 삼한시대의 제사 의식과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비는 별신제, 동제 등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식들과 함께 행해지던 여러 놀이가 합쳐져 점차 진굿(진풀이) 형태의 농악으로 발전하였다.[1] 일반적인 농사굿 형태의 농악과 달리, 군대의 행진과 전투를 모방한 진굿(陣굿)의 성격이 강하여 가락이 힘차고 다채로운 점이 특징이다.[1]

2. 1. 유래와 전승

농악은 농부들이 두레(마을의 공동작업을 하기 위한 조직)를 짜서 일할 때 치는 음악으로, 꽹과리·징·장구·과 같은 타악기를 치며 벌이는 음악을 두루 가리키는 말이다.

김천시 개령면 빗내마을에서 전승되는 빗내농악은 삼한시대의 나랏제사와 마을의 수호신인 성황님께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기원하는 별신제(別神祭)가 섞여 매년 음력 1월 6일에 마을 단위로 제사를 지내는 동제(洞祭)의 형태로 이어져 왔다. 동제 때는 농악놀이와 무당의 굿놀이, 줄다리기 등의 행사가 함께 열렸는데, 이들 행사가 혼합되어 진굿(진풀이) 형태의 농악놀이로 발전한 것이 금릉빗내농악이다. 질굿·문굿·마당굿·반죽굿·다드래기·영풍굿·허굿·기러기굿·판굿·채굿·진굿·지신굿의 12가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국 농악놀이의 대부분이 농사굿인 데 비해 이곳 빗내농악은 군대 행진용의 진굿(陣굿)으로, 가락이 매우 강렬하며 종류도 다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2. 2. 구성

질굿, 문굿, 마당굿, 반죽굿, 다드래기, 영풍굿, 허굿, 기러기굿, 판굿, 채굿, 진굿, 지신굿의 12가락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특징

일반적인 농악이 농부들이 두레를 짜서 일할 때 치는 농사굿인 것과 달리, 김천금릉빗내농악은 군대 행진용 진굿(陣굿)의 성격을 띤다. 이 때문에 가락이 매우 강렬하고 그 종류도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빗내농악은 경상도 특유의 쇠가락과 쇠놀음, 양손으로 치는 웅장한 대북놀음이 돋보이며, 특히 판굿(영풍굿, 영산다드래기 등)에서 군사진굿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대표적인 영남농악 중 하나로 꼽힌다.

구성상으로는 질굿, 문굿, 마당굿, 반죽굿, 다드래기, 영풍굿, 허굿, 기러기굿, 판굿, 채굿, 진굿, 지신굿의 12가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예술성, 기술성, 대표성, 사회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4. 지정 및 해제

김천금릉빗내농악은 과거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되어 전승되었으나, 2019년 9월 2일부로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지정이 해제되었다.[1][2] 이후 경상도 특유의 쇠가락과 쇠놀음, 웅장한 대북놀음, 군사진굿의 특징 등 영남농악으로서의 예술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국가무형문화재 제11-7호로 지정되었다.

4. 1.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무형문화재
제8호금릉
빗내농악보유단체금릉빗내농악보존회
(위동철)1984년 12월 29일
(설립일)김천시 개령면
빗내길 118지정일자 미상,
2019년 9월 2일 해제보유자손영만1964김천시
신음새동네길전수
교육
조교우정구1958김천시 개령면송근영1974김천시
삼락택지길김홍수1964김천시 송설로남용우1979김천시
모암사랑길김경호1966김천시 한곡길


4. 2. 국가무형문화재

및 명칭구분보유단체명설립연월일기·예능주소제11-7호
김천금릉
빗내농악종목 지정 및
보유단체 인정김천금릉
빗내농악
보존회1984년 12월 29일악기연주·
판굿(진굿
포함)·개인놀이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빗내길
118

5. 보존 및 계승 노력

및 명칭구분보유단체명설립연월일기·예능주소김천금릉
빗내농악>종목 지정 및
보유단체 인정 | 김천금릉
빗내농악
보존회 | 1984년 12월 29일 | 악기연주·
판굿(진굿
포함)·개인놀이 | 경상북도 김천시
개령면 빗내길
118



김천금릉빗내농악 보존회는 보유단체 인정이 관보에 고시된 날로부터 6개월 이내에 국가무형문화재 보유단체 법인 정관 준칙 내용을 준수하여 법인 설립을 완료해야 한다. 이를 통해 김천금릉빗내농악의 체계적인 보존 및 전승 활동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간행물 경상북도 고시 제2019-266호,《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인․지정 해제 고시》 http://www.gb.go.kr/[...] 경상북도지사 2019-09-09
[2]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9-109호(국가무형문화재 종목 지정 및 보유단체 인정) http://gwanbo.mois.g[...] 문화재청 2019-09-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