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포대교는 1992년 12월 2일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신평 나들목(현 자유로 나들목) ~ 김포 나들목 구간 착공과 함께 건설을 시작하여, 1997년 11월 3일 해당 구간 완공과 함께 개통된 한강의 21번째 다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7년 완공된 교량 - 강화대교
강화대교는 경기도 김포시와 강화군을 잇는 총 연장 780m, 폭 19.5m의 4차로 교량으로, 1993년 8월에 착공하여 1997년 8월에 완공되었으며 13개의 경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 1997년 완공된 교량 - 메이코니시 대교
메이코니시 대교는 나고야항의 이세만안 도로 일부로, A자형 주탑과 육각형 다실 상자형 주형이 특징이며, 레인 바이브레이션 대책과 확폭 공사가 적용된 사장교이다. - 고양시의 도로 구조물 - 방화대교
방화대교는 2000년 11월 21일 개통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일부이자 한강의 26번째 다리이다. - 고양시의 도로 구조물 - 행주대교
행주대교는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잇는 다리로, 1978년 구 행주대교가 개통되었고, 교통량 증가로 신행주대교와 제2신행주대교가 건설되었다. - 김포시의 건축물 - 일산대교
일산대교는 고양시와 인천 서구를 잇는 다리로, 2008년 개통 이후 통행료 문제로 논란이 있었으며, 보행자와 자전거 통행도 가능하다. - 김포시의 건축물 - 김포종합운동장
김포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교량 이름 | 김포대교 |
로마자 표기 | Gimpo daegyo |
한자 표기 | 金浦大橋 |
교량 종류 | 거더교 |
위치 | 경기도 김포시 고촌읍 ~ 고양시 덕양구 |
횡단 위치 | 한강 |
관리 주체 | 한국도로공사 |
통과 교통 시설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구조 및 규격 | |
주 경간 | 125m |
김포 둔치 경간 | 50m |
총 길이 | 2,280m |
폭 | 각 방향 4차로 (38.2m) |
재료 | 상판: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건설 정보 | |
착공일 | 1992년 12월 |
완공일 | 1997년 11월 3일 |
개통일 | 1997년 11월 3일 |
통행 정보 | |
통행료 | 무료 |
통행료 정보 | 단, 김포 나들목과 일산 나들목 사이의 구간을 벗어날 경우 요금이 청구된다. |
연혁 | |
이전 교량 | 행주대교 |
다음 교량 | 일산대교 |
위치 정보 |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생략)
2. 1. 건설 과정
참조
[1]
Structurae
Kimpo Grand Bridge
[2]
백과사전
김포대교 (金浦大橋)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14
[3]
텍스트
[4]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1997-391호
http://theme.archive[...]
1997-11-0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실종자 1명 숨진 채 발견…폭염 속 수색 총력전
가평 실종자 1명 숨진 채 발견…800명 투입 수색 '총력'
경찰·소방, 가평·산청 ‘폭우’ 실종자 수색·피해 복구 안간힘
가평 실종자 수색 4일차…김포대교까지 범위 확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