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한영은 대한민국의 미술가이다.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초기에는 목판화를 중심으로 활동하다가 2017년 개인전을 통해 유화 추상미술로 전환했다. 14회의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2021년에는 런던 사치 갤러리와 피츠로비아 갤러리에 작품을 출품했다. 현재 층과 그라디언트를 활용하여 자연을 표현하는 추상 미술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1세기 화가 - 조지 W. 부시
조지 W. 부시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나 텍사스 주지사를 거쳐 제43대 미국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9·11 테러 이후 "테러와의 전쟁"을 수행하고 감세 정책과 허리케인 카트리나 대응으로 논란을 겪었다. - 21세기 화가 - 토니 베넷
앤서니 도미닉 베네데토라는 본명으로도 알려진 미국의 가수 토니 베넷은 "I Left My Heart in San Francisco"와 같은 대표곡을 통해 스탠더드 팝을 고수하며 여러 세대에 걸쳐 사랑받았고, 레이디 가가와의 협업 등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히며 화가로도 활동했다. - 대한민국의 미술가 - 안석주
안석주는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삽화가, 만화가, 영화감독, 작사가로, 미술, 영화, 문학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시사만화 연재와 영화감독으로 이름을 알렸으나, 친일 행적과 광복 후 우익 언론 활동, 〈우리의 소원〉 작사 등의 행적을 남겼다. - 대한민국의 미술가 - 김아윤
김아윤은 영화, 드라마, 텔레비전 프로그램,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아역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 대한민국의 화가 - 윤석남
윤석남은 자연과 여성을 주제로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실험하며 독창적인 화풍을 선보이는 한국의 여성주의 미술가로, 1985년 '시월모임' 결성을 통해 한국 여성주의 미술 운동의 시작을 알렸고 국제적인 무대에서도 활동하며 여성의 삶과 사회적 약자에 대한 공감과 연대를 보여주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대한민국의 화가 - 김종필
5·16 군사정변 주역이자 초대 중앙정보부장, 두 차례 국무총리를 지낸 김종필은 한일 국교 정상화 기여와 '김-오히라 메모' 논란, 9선 국회의원, DJP 연합을 통한 총리 재임 등 한국 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위주의 시대의 어두운 면과 지역주의 정치의 상징으로도 평가받는 정치인이다.
김한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한영 |
한자 표기 | 金韓英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화가 |
출생일 | 1956년 5월 26일 |
출생지 | 서울특별시 |
학력 | 대한민국 홍익 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석사 |
사조 | 추상화 |
주요 작품 | HORIZON2018001 |
웹사이트 | 김한영 공식 웹사이트 |
2. 생애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1984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서울특별시 미술회관에서 단체전으로 등단하였다. 1985년-1987년 사이에는 판화로 단체전 활동을 주로 하였고, 일본 가나가와미술관 국제판화앙데팡단전에서 첫 국제 전시회를 가졌다. 1987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석사를 마친 후 1989년 서울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2017년 '자연의 신호(Signs of Nature)'라는 개인전을 통해 유화 추상미술로 작풍을 전환하였다. 이후 KIAF 한국국제아트페어(https://kiaf.org)에 작품을 출품하여 평단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1]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다. 홍익대학교 서양화과와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미술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2. 2. 초기 작품 활동 (1984년 ~ 2017년)
1984년 한국 홍익대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하고 서울특별시 미술회관에서 단체전으로 등단하였다. 1985년부터 1987년까지는 목판 위주의 판화 단체전에 주로 참여하였다. 일본 가나가와미술관 국제판화앙데팡단전에서 첫 국제 전시회를 가졌으며, 1987년 홍익대학교 대학원 회화과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89년 서울에서 첫 개인전을 개최하였다.[1]주로 목판화 위주의 현대미술 작품을 전시회에 출품하였다.[1]
3. 작품 활동
김한영은 국내외에서 총 14회의 개인전을 열었고, 2021년에는 런던 사치 갤러리와 피츠로비아 갤러리에 작품을 출품하였다.[1] 초기에는 반추상적인 목판화 작업을 진행했으나, 이후 현대미술에 기반한 완전 추상화풍으로 전환하여 층과 그러데이션을 통해 자연을 다시점적으로 표현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1]
3. 1. 작풍의 변화
김한영은 초기에 반추상적인 목판화 작업을 하다가, 2017년 이후 현대미술에 기반한 완전 추상화풍으로 전환하였다. 층과 그러데이션을 통해 자연을 다시점(多視點)적으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1]3. 2. 주요 전시 경력
김한영은 국내외에서 총 14회의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2021년에는 런던 사치 갤러리와 피츠로비아 갤러리에 작품을 출품하였다.[1] 그의 작품 경향은 초기의 반추상적인 목판화에서 출발하여, 최근에는 현대미술에 기반한 완전한 추상화풍으로 전환되었다. 그는 층(層)과 그라디언트를 통해 자연을 다시각(多示各)적인 방식으로 표현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왕성한 작품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1]4. 전시 경력
김한영은 다수의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했다.
4. 1. 개인전
연도 | 전시회 제목 | 장소 |
---|---|---|
2021 | Focus Art Fair | 런던 Saatchi Gallery[1] |
2020 | 6th Solo Exhibition, The Signs of Nature | 서울 Hoon Gallery |
2019 | Blue Art Fair | 부산 Citadines Hotel |
2019 | AHAF Art Fair | 서울 Grand Intercontinental Seoul Parnas |
2019 | BAMA Busan International Art Fair | 부산 Bexco |
2018 | KIAF 2018 ART SEOUL / The 17th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 COEX |
2018 | THE 36th KOREA GALLERIES ART FAIR | 서울 COEX |
2017 | KIAF, The 16th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 서울 COEX |
2017 | The Gallery Show, SEOUL GALLERY FESTIVAL | 서울 DoSan Park |
2017 | 5th Solo Exhibition, The Signs of Nature | 서울 Hoon Gallery |
2017 | 4th Solo Exhibition, The Signs of Nature | 서울 Sejong Hotel Gallery |
2006 | 3rd Solo Exhibition, Woodcut Print , Wild Flowers | 서울 Insa Art Center |
1995 | 2nd Solo Exhibition, Woodcut Print , Woods | 서울 Gallery Yale |
1989 | 1st. Solo Exhibition, Installation , Forest | 서울 Gallery Doll |
4. 2. 단체전
연도 | 전시회명 | 장소 |
---|---|---|
1980 | 제3회 동판화 공모전, 제10회 앙데팡당전 | 국립현대미술관 |
1981 | 제11회 홍익판화회전 | 윤갤러리, 서울 |
1981 | 제10회 가나가와 국제 앙데팡당전 | 가나가와 갤러리, 일본 도쿄 |
1982 | 국제 소형 판화 비엔날레 | 공간 갤러리, 서울 |
1982 | 1/12 그룹전, 제3회 목판화 그룹 "나무" 전 | 관훈 갤러리, 서울 |
1983 | 제2회 동기화전 | 관훈 갤러리, 서울 |
1983 | 제23회 호안 미로 국제 드로잉 상 전시회 | 미로 갤러리, 스페인 바르셀로나 |
1984 | 목판화 그룹 "나무" 전 | 맥향 갤러리, 대구 |
1984 | 15인의 젊은 작가 판화전 | 윤 갤러리, 서울 |
1984 | 제13회 홍익판화회전 | 동인 갤러리, 제주 |
1985 | 제11회 가나가와 국제 앙데팡당전 | 가나가와 갤러리, 일본 |
1985 | 제5회 목판화 그룹 "나무" 전 | 맥향 갤러리, 서울 |
1985 | 젊은이 판화전 | KBS 전시관, 목포 |
1985 | 제4회 목판화 그룹 "나무" 전, 을축년 미술 대축제 | 관훈 갤러리, 아랍 갤러리, 서울 |
1985 | '85 목적지 전 | 윤 갤러리, 서울 |
1985 | 호안 미로 국제 드로잉 일본 전시회 | 일본 도쿄, 오키나와, 선데이 시티 |
1986 | 1/12 그룹전, 드로잉을 위한 방법론 21인 전, "손의 회복" 이론 | 관훈 갤러리, P&P 갤러리, 서울 |
1986 | 한국 현대미술 작가전 | 일본 교토 |
1986 | 제12회 서울현대전 | 미술회관, 서울 |
1987 | 갤러리 개관 기념전(판화전), 앙데팡당전, 7인의 서울 예술전 | P&P 갤러리, 미술회관, 댓 갤러리, 서울 |
1987 | 제3회 현대미술전 | 대전시청, 대전 |
1988 | 갤러리 개관 기념전(판화전), 뉴 제너레이션 오브 씽즈 전, 상하전 | 인 갤러리, 관훈 갤러리, 서울 |
1988 | '87 청년 트리엔날레 | 대전시청, 대전 |
1989 | 우리 시대의 테스페로드전, 미술평론가협회 기획전 - 과거 모더니즘의 재료, 갤러리 개관 기념전(현대미술의 현장) | 관훈 갤러리, 미술회관, 갤러리 돌, 서울 |
1989 | 제16회 홍익판화회전, 제14회 서울현대전 | 미술회관, 서울 |
1990 | 난지도 그룹 제3회 전시회, 90년대 통일을 향한 현대미술전 | 관훈 갤러리, 갤러리 트레아, 서울 |
1991 | 국제 목판화전, 한국 현대 목판화 그룹전 | 울산시청, 울산 |
1992 | 전통 판화, 현대 디자인을 만나다 | 김래현대 갤러리, 서울 |
1994 | 훈 갤러리 소장전 | 훈 갤러리, 서울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