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까치상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까치상어과는 흉상어목에 속하는 상어과의 하나이다. 까치상어과는 Galeorhininae 아과와 Triakinae 아과로 분류되며, 총 9속 46종이 속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까치상어과 - 별상어
    별상어는 몸에 흰색 반점 무늬가 있는 상어로, 서부 태평양과 인도양에 분포하며 갑각류를 주로 먹고 난태생으로 번식하지만, 식용으로 이용되면서 수은 축적 위험과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서 위기종으로 지정되었다.
  • 까치상어과 - 극지별상어
    극지별상어는 태평양 및 인도양 연안에 서식하며, 어두운 회색 몸과 흰색 반점을 특징으로 갑각류 등을 먹고 난태생하며, 식용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기후 변화에 취약하여 보존 노력이 필요한 연골어류이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까치상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켈프 속의 표범상어
표범상어 (Triakis semifasciata)
학명Triakidae
명명자J. E. Gray, 1851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연골어류강
흉상어목
아과 및 속
아과본문 참조
기타
과 (FishBase)Triakidae (FishBase)

2. 하위 분류

까치상어과는 다음과 같이 아과 및 속으로 분류된다.[1]


  • Galeorhininae (길, 1862)
  • * ''Furgaleus'' (휘틀리, 1951)
  • * ''Galeorhinus'' (블레인빌, 1816)
  • * ''Gogolia'' (콤파뇨, 1973)
  • * 행락상어속 (''Hemitriakis'') (헤레, 1923) - 행락상어 포함.
  • * ''Hypogaleus'' (J. L. B. 스미스, 1957)
  • * ''Iago'' (콤파뇨 & 스프링거, 1971)
  • Triakinae (그레이, 1851)
  • * 별상어속 (''Mustelus'') (링크, 1790) - 별상어, 극지별상어, 개상어 등 포함.
  • * ''Scylliogaleus'' (불렌저, 1902)
  • * 까치상어속 (''Triakis'') (뮐러 & 헨레, 1839) - 까치상어 포함.


9속 46종이 속한다.[4]

2. 1. Galeorhininae 아과

까치상어과에는 9속 46종이 속한다.[4] 길이 1862년에 명명한 Galeorhininae 아과는 다음과 같은 속을 포함한다.[1]

  • ''Furgaleus'' (휘틀리, 1951)
  • ''Galeorhinus'' (블레인빌, 1816)
  • ''Gogolia'' (콤파뇨, 1973)
  • 행락상어속( ''Hemitriakis'') (헤레, 1923) - 행락상어 포함.
  • ''Hypogaleus'' (J. L. B. 스미스, 1957)
  • ''Iago'' (콤파뇨 & 스프링거, 1971)

2. 2. Triakinae 아과

Triakinae 아과는 그레이가 1851년에 명명했으며,[1] 9속 46종을 포함한다.[4]

Triakinae 아과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

  • ''Furgaleus'' 휘틀리, 1951 (수염상어)
  • ''Galeorhinus'' 블레인빌, 1816 (상어상어)
  • ''Gogolia'' 콤파뇨, 1973 (세일백 까치상어)
  • 행락상어속( ''Hemitriakis'') 헤레, 1923 (행락상어 포함)
  • ''Hypogaleus'' J. L. B. 스미스, 1957 (검은 지느러미 톱상어)
  • ''Iago'' 콤파뇨 & 스프링거, 1971
  • 별상어속 (''Mustelus'') 링크, 1790 (별상어, 극지별상어, 개상어 등 포함)
  • ''Scylliogaleus'' 불렌저, 1902
  • 까치상어속 (''Triakis'') 뮐러 & 헨레, 1839 (까치상어 포함)

3. 계통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5] 세비로도치자메는 타입 표본 이외의 개체가 채집되지 않아 자세한 정보를 얻을 수 없지만, 뾰족상어속과 근연 관계에 있다고 생각된다.[6]

4. 한국의 까치상어과

4. 1. 관련 정보

4. 2. 보존

참조

[1] Family 2024-10-27
[2] FishBase_family
[3] WoRMS Triakidae 2014-11-07
[4] 웹사이트 Triakidae in Fishbase http://www.fishbase.[...] 2014-11-07
[5] 논문 The Biology of Sharks and Their Relatives http://prosper.cofc.[...] CRC Press
[6] 간행물 Phylogeny of sharks of the family Triakidae (Carcharhiniformes)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volution of carcharhiniform placental viviparity
[7] FishBa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