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깔때기귀박쥐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깔때기귀박쥐과는 박쥐목에 속하는 박쥐과의 하나이다. 킬로나탈루스속, 깔때기귀박쥐속, 제르베깔때기귀박쥐속의 3개 속으로 분류되며, 쿠바깔때기귀박쥐, 바하마깔때기귀박쥐, 브라질깔때기귀박쥐, 자메이카큰깔때기귀박쥐, 베라크루스큰깔때기귀박쥐,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 멕시코큰깔때기귀박쥐, 쿠바큰깔때기귀박쥐, 멕시코깔때기귀박쥐, 트리니다드깔때기귀박쥐, 제르베깔때기귀박쥐 등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깔때기귀박쥐과 - 킬로나탈루스속
    킬로나탈루스속은 깔때기귀박쥐과에 속하는 박쥐 속으로, 쿠바깔때기귀박쥐와 바하마깔때기귀박쥐 두 종으로 구성된다.
  • 깔때기귀박쥐과 - 멕시코깔때기귀박쥐
    멕시코깔때기귀박쥐는 깔때기 모양 귀, 삼각형 얼굴, 옅은 피부, 갈색 털을 가진 박쥐로 깊고 습한 동굴에 큰 무리를 이루어 서식하며 긴 임신 기간을 가지고 빽빽한 초목 지역에서 곤충을 잡아먹는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깔때기귀박쥐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깔때기귀박쥐과 정보
멕시코깔때기귀박쥐
멕시코깔때기귀박쥐(Natalus stramineus)
깔때기귀박쥐과 (Natalidae)
명명자Gray, 1866
모식속깔때기귀박쥐속(Natalus)
모식속 명명자Gray, 1838
하위 분류
하위 속킬로나탈루스속(Chilonatalus)
깔때기귀박쥐속(Natalus)
제르베깔때기귀박쥐속(Nyctiellus)
프리모나탈루스속(Primonatalus)
신체 정보
크기3.5 ~ 5.5 cm
기타 정보
참고 자료깔때기귀박쥐과 - 깔때기귀박쥐

2. 하위 분류

깔때기귀박쥐과(Natalidaelat)는 3개 10으로 구성된다.[1]

2. 1. 킬로나탈루스속 (''Chilonatalus'')

2. 2. 나탈루스속 (''Natalus'')


  • 브라질깔때기귀박쥐 (''Natalus macrourus'')
  • 자메이카큰깔때기귀박쥐 (''Natalus jamaicensis'')
  • 베라크루스큰깔때기귀박쥐 (''Natalus lanatus'')
  • 히스파니올라큰깔때기귀박쥐 (''Natalus major'')
  • 멕시코큰깔때기귀박쥐 (''Natalus mexicanus'')
  • 쿠바큰깔때기귀박쥐 (''Natalus primus'')
  • 멕시코깔때기귀박쥐 (''Natalus stramineus'')
  • 트리니다드깔때기귀박쥐 (''Natalus tumidirostris'')

2. 3. 닉티엘루스속 (''Nyctiellus'')

3. 계통 분류

깔때기귀박쥐과의 계통학적 위치는 분자생물학 및 형태학적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다. 2002년에 발표된 박쥐목 전체의 계통 분류 연구는 깔때기귀박쥐과가 속한 분기군과 다른 박쥐 과들과의 유연 관계를 제시하는 중요한 자료 중 하나이다.[3] 이 연구에 따르면 깔때기귀박쥐과는 특정 박쥐 과들과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1. 2002년 계통 분류

다음은 2002년 박쥐목의 계통 분류이다.[3] 이 분류에 따르면, 깔때기귀박쥐과는 민발톱박쥐과와 가장 가까운 유연관계(자매군)를 형성한다. 이 두 과는 원반날개박쥐과와 함께 하나의 분기군을 이루며, 더 나아가 흡반발박쥐과 등 다른 과들과 단계적으로 유연 관계를 가진다.

3. 2. 최신 계통 분류

2002년 발표된 연구에 따른 박쥐목의 계통 분류에서[3] 깔때기귀박쥐과는 민발톱박쥐과와 가장 가까운 자매군 관계를 형성한다. 이 두 과로 이루어진 분기군은 원반날개박쥐과와 또 다른 자매군을 이루며, 이 세 과가 속한 더 큰 분기군은 흡반발박쥐과와 자매군 관계에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atalidae - funnel eared bats http://www.nhptv.org[...] New Hampshire PBS
[2] 논문 Discovery of extant Natulus major (Chiroptera: Natalidae) in Cuba 2004
[3] 저널 A phylogenetic supertree of the bats (Mammalia: Chiroptera) http://www.molekular[...] 2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