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빨기새상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꿀빨기새상과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의 상과이다. 요정굴뚝새과, 수염솔새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꿀빨기새과, 보석새과 등을 포함하며, 가시부리새속을 포함하기도 한다. 찰스 시블리 등의 DNA-DNA 혼성화 연구를 기반으로 제안되었으며,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통해 단일계통군으로 정의되었다. 꿀빨기새상과는 참새목 내에서 코토두루미상과, 니와시새상과 다음으로 분기된 단계통군이며, Sibley & Ahlquist (1990)에서도 현재와 동일한 범위로 인정되었다. 꿀빨기새상과 내부에는 호주풀밭새과, 수염풀밭새과, 꿀빨기새과, 보석새과, 바늘부리풀밭새과가 있다. 국제 조류 학회(IOC)에 따른 분류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꿀빨이새과, 수염덤불새과, 보석새과, 가시덤불새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다른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꿀빨기새상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학계 분류 |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조강 하강: 신악하강 상목: 신조류 목: 참새목 아목: 명금류 미분류 (아목): Passeres 상과: 꿀빨기새상과 (Meliphagoidea) |
분류 | |
과 |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Acanthizidae) 히게무시クイ과 (Dasyornithidae) 꿀빨기새과 (Meliphagidae) 오스트레일리아무사새과 (Maluridae) 호세키도리과 (Pardalotidae) |
2. 분류
꿀빨기새상과라는 분류군은 찰스 시블리 등의 DNA-DNA 혼성화 연구를 통해 처음 제안되었다.[1][2] 이 초기 연구에서는 요정굴뚝새과, 수염솔새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꿀빨기새과 등이 주요 구성원으로 제시되었으며, 보석새과와 가시부리새속(''Acanthorhynchus'') 등 일부 분류군의 위치는 불확실하게 여겨졌다.
이후 계통분류학적 분석을 통해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조류학자들이 보다 명확한 단일계통군으로서 꿀빨기새상과를 정의하였다.[1][2] 꿀빨기새상과는 참새목 내에서 코토두루미상과와 니와시새상과 다음으로 분기된 오래된 단계통군으로 인식된다.
Sibley & Ahlquist (1990)에서는 현재의 꿀빨기새상과와 거의 동일한 범위로 이 분류군을 인정하였으나, 보석새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수염솔새과를 단일 계통으로 보고 보석새과로 통합하려는 시도는 후속 연구에서 지지받지 못했다. 특히 그들이 정의한 보석새과는 단계통군이 아니며, 수염솔새과는 계통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 1. 과
꿀빨기새상과(Meliphagoidea)는 참새목에 속하는 조류 상과이다. 이 그룹은 찰스 시블리 등의 DNA-DNA 혼성화 연구를 기반으로 처음 제안되었으며,[1][2] 계통분류학적 분석에 기반한 보다 현대적인 단일계통군으로서의 정의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 조류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1][2]현대적인 정의에 따르면 주로 다음 과들을 포함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Maluridae): 요정굴뚝새류, 에뮤굴뚝새류, 풀밭굴뚝새류
- 수염덤불새과 (Dasyornithidae): 수염덤불새류. 이전에는 가시덤불새과(Acanthizidae)에 속했다.
- 가시덤불새과 (Acanthizidae): 덤불솔새류, 가시부리새류, 게리곤류
- 보석새과 (Pardalotidae): 보석새류
- 꿀빨이새과 (Meliphagidae): 꿀빨이새류
시블리-알퀴스트 분류법에서는 가시덤불새과(Acanthizidae)와 수염덤불새과(Dasyornithidae)를 더 큰 보석새과(Pardalotidae) 내의 아과로 분류하기도 했으나, 이후 연구들은 이러한 분류를 지지하지 않는다. 특히 수염덤불새과는 계통적으로 더 멀리 떨어져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후 연구에서는 보석새과가 오히려 꿀빨이새과(Meliphagidae)와 더 가깝거나 그 아과로 분류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3] 전통적으로 기형적인 꿀빨이새로 여겨졌던 가시덤불새과 역시 꿀빨기새상과의 오래된 구성원으로, 보석새과와 함께 별도의 과로 유지되거나 꿀빨이새과에 포함될 가능성이 논의된다. 다만, 총 6종에 불과한 두 과(보석새과, 가시덤불새과)를 분리하는 대신 꿀빨이새과 내에 두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주장도 있다.[3]
시블리-알퀴스트 분류법은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Petroicidae)도 꿀빨기새상과에 포함시켰으나, 최근 연구들은 이들이 불확실한 관계의 별개 계통임을 보여주어 현재는 제외된다.[1]
꿀빨기새상과는 참새목 내에서 무희새상과(Menuroidea)와 정원사새상과(Ptilonorhynchoidea) 다음으로 분기된 단계통군이다.[4] Gardner 등의 연구[4]에 따르면, 상과 내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Maluridae)가 가장 먼저 분기하고, 다음으로 수염덤불새과(Dasyornithidae)가 분기한다. 나머지 꿀빨이새과(Meliphagidae), 보석새과(Pardalotidae), 가시덤불새과(Acanthizidae)가 자매군을 이루며, 이 중 보석새과와 가시덤불새과가 가장 가까운 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래는 국제 조류 학회(IOC)의 분류 기준에 따른 꿀빨기새상과 소속 과 목록이다.[5]
과 | 속 수 | 종 수 | 비고 |
---|---|---|---|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Maluridae) | 6 | 32 | |
꿀빨이새과 (Meliphagidae) | 55 | 191 | 채트과(Epthianuridae) 포함 |
수염덤불새과 (Dasyornithidae) | 1 | 3 | |
보석새과 (Pardalotidae) | 1 | 4 | |
가시덤불새과 (Acanthizidae) | 15 | 67 |
2. 2. 계통
이 그룹은 찰스 시블리 등의 표현형 DNA-DNA 혼성화 연구를 기반으로 처음 제안되었다. 계통분류학적 분석에 기반한 단일계통군으로서 꿀빨기새상과(Meliphagoidea)의 보다 현대적인 정의는 미국 자연사 박물관의 조류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1][2]꿀빨기새상과에 포함되는 주요 과는 다음과 같다.
과 이름 | 주요 포함 조류 |
---|---|
요정굴뚝새과 (Maluridae) | 요정굴뚝새류, 에뮤굴뚝새류, 풀밭굴뚝새류 |
수염솔새과 (Dasyornithidae) | 수염솔새류 (이전에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에 포함) |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Acanthizidae) | 오스트레일리아솔새류, 가시부리새류, 게리곤류 |
보석새과 (Pardalotidae) | 보석새류 |
꿀빨기새과 (Meliphagidae) | 꿀빨기새류 |
시블리-알퀴스트 분류법은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이 분류법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Acanthizidae)와 수염솔새과(Dasyornithidae)를 더 큰 보석새과(Pardalotidae) 내의 아과로 재정의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연구에서는 보석새과가 꿀빨기새과(Meliphagidae)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심지어 꿀빨기새과 내의 아과로 간주될 수도 있음을 시사했다.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는 전통적으로 형태가 특이한 꿀빨기새로 여겨졌으며, 이 역시 꿀빨기새과의 아과로 간주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들은 꿀빨기새상과의 매우 오래된 구성원으로 보이며, 만약 보석새과가 꿀빨기새과(Meliphagidae)와 별개의 과로 분리된다면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역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조류학자들은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와 보석새과를 별도의 과로 분리하는 것이 총 6종에 불과한 두 개의 단형 과를 만드는 결과를 낳기 때문에,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를 꿀빨기새과 내에 유지하고 가능하다면 보석새과도 그 안에 포함시키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3]
시블리-알퀴스트 분류법은 또한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Petroicidae)를 꿀빨기새상과에 포함시켰으나, 최근 연구에서 이들이 불확실한 관계의 별개 계통을 형성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현재는 선호되지 않는다. 현재로서는 오스트레일리아울새과가 참새아목("진보된" 참새목 조류)도 아니고 매우 오래된 참새목 조류 그룹도 아니라는 점만 어느 정도 확실하게 말할 수 있다.[1]
꿀빨기새상과는 참새목 내에서 무희새상과(무희새과 + 어치상과)와 정원사새상과(정원사새과 + 나무타기과) 다음으로 분기된 단계통군이다. 참새목 내에서 오래전부터 인식되어 온 계통으로, 시블리-알퀴스트 분류(Sibley & Ahlquist, 1990)에서도 현재와 거의 동일한 범위로 인정되었다. Gardner 등(2019)의 연구에 따르면[4], 꿀빨기새상과 내부에서는 요정굴뚝새과가 가장 먼저 분기하고, 그 다음으로 수염솔새과가 분기한다. 나머지 꿀빨기새과, 보석새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는 서로 더 가까운 관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bley & Ahlquist (1990)는 보석새과, 오스트레일리아솔새과, 수염솔새과를 단일 계통으로 간주하고 보석새과로 통합했으나, 이 중 수염솔새과는 계통적으로 다소 거리가 있으며, 그들이 정의한 보석새과는 단계통군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참조
[1]
논문
A phylogenetic hypothesis for passerine birds: taxonomic and biogeographic implications of an analysis of nuclear DNA sequence data
http://www.tc.umn.ed[...]
2002
[2]
논문
Phylogeny and diversification of the largest avian radiation
http://www.pnas.org/[...]
2004
[3]
논문
A phylogenetic supertree of oscine passerine birds (Aves: Passeri)
2006
[4]
논문
Phylogeny and evolution of the Meliphagoidea, the largest radiation of Australasian songbirds
2010
[5]
웹사이트
IOC World Bird Names
http://www.worldbird[...]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