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담은 몽골의 전통 축제로, 수 세기 동안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 씨름, 경마, 양궁의 세 가지 경기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몽골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한다. 청나라 시대에는 솜 단위로 공식 개최되었고, 몽골 인민 공화국 시기에는 혁명 기념 행사와 결합되었다. 현재는 7월과 8월에 몽골과 내몽골 자치구, 투바 공화국 등에서 열리며, 단시그 나담과 국가 나담이 가장 큰 행사로 꼽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축제 - 차강사르
차강사르는 몽골력 새해 첫 사흘 동안 기념되는 몽골의 전통 설날로, 평화와 조화를 기원하며 흰색을 순수함의 상징으로 여기고, 가족과 친척을 방문하여 선물을 주고받는 풍성한 잔치를 즐기는 명절이다.
나담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축제 |
다른 이름 | 에리인 고르왕 나담 (эрийн гурван наадам, 남자의 세 가지 경기) 이흐 나담 (Их наадам, 큰 나담) |
날짜 | 7월 11일 ~ 13일 |
장소 | 몽골 |
관련 활동 | 몽골 씨름 경마 활쏘기 비엘게 춤 말춤 |
음식 | 아이락 호쇼르 |
상세 정보 | |
설명 | 나담은 몽골의 전통 축제로, 매년 여름에 열린다. "에리인 고르왕 나담" (эрийн гурван наадам, 남자의 세 가지 경기)이라고도 불리며, 몽골 씨름, 경마, 활쏘기 세 가지 주요 경기가 펼쳐진다. |
역사 | 나담은 유목민 문화에서 유래되었으며,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특징 | 나담은 단순한 스포츠 행사를 넘어 몽골 문화와 정신을 보여주는 중요한 축제이다. 몽골인들은 나담을 통해 공동체 의식을 다지고, 전통을 계승한다. |
기타 | 나담 기간 동안에는 비엘게 춤, 말춤 등 다양한 공연과 행사도 열린다. 아이락과 호쇼르는 나담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다. |
2. 역사
2. 1. 기원과 초기 형태
나담은 몽골인들이 가장 즐겨보는 축제로, 여러 형태로 수 세기 동안 존재해 온 것으로 여겨진다. 그 기원은 결혼식이나 종교 행사와 같은 다양한 행사를 기념한 후 열린 군사 퍼레이드와 스포츠 경기(양궁, 승마, 씨름 등)와 같은 활동에서 비롯되었다. 이후에는 전투를 위한 군인 훈련의 역할을 했으며, 몽골인들의 유목 생활 방식과도 관련이 있었다. 몽골인들은 축제를 시작하는 긴 노래와 ''비옐게'' 춤을 포함하는, 글로 쓰여지지 않은 축제 규칙을 따른다. 전통 음식인 ''후쇼르''는 스포츠 경기장 주변에서 발효된 말젖으로 만든 특별한 음료(''아이락'')와 함께 제공된다. 씨름, 경마, 양궁의 세 가지 경기는 13세기 책 ''몽골비사''에 기록되어 있다.청나라의 몽골 지배 동안, 나담은 솜에서 공식적으로 개최하는 축제가 되었다. 1639년, 고승 자나바자르를 위한 무용 축제를 시작으로 매년 개최되었다. 1772년에는 헨티 산을 숭배하기 위한 대축제가 열렸는데, 이를 십정부 축제라고 부른다. 1912년에는 점수를 잃는 방식으로 진행되던 십정부 경기가 연례 국가 경기가 되었다. 1925년 보그드 칸의 죽음까지 십정부 축제는 국가 축제가 되었으며, 십정부 경기는 125번 개최되었다.
2. 2. 청나라 시대
2. 3. 몽골 인민 공화국 시대
몽골 인민 공화국 시기의 나담은 1921년 몽골 혁명과 관련이 있었다. 공산주의 몽골에서 최초의 공식 군사 퍼레이드는 혁명에서 담딘 수흐바타르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1921년에 열렸다. 이 행사는 소련의 공산주의 영향으로 1930년대에 세속화될 때까지 불교/샤머니즘 휴일로 기념되었다.[4][5]수흐바타르 광장에서 열린 몽골 인민군의 기념 퍼레이드는 일반적으로 기념해(특히 1946년, 1951년, 1956년, 1961년, 1966년, 1971년, 1976년, 1981년, 1986년, 1991년) 국제 노동절 및 10월 혁명일 퍼레이드와 함께 열렸다. T. 갈산 장군은 오랫동안 이 퍼레이드의 사령관을 맡았다.[6] 이 행사 동안 당 및 정부 지도자들은 수흐바타르 영묘 꼭대기에서 이벤트를 관람했다.[7] 1991년 이후에는 몽골 건국 790주년과 혁명 75주년을 기념하는 국립 스포츠 경기장에서의 퍼레이드가 열렸던 1996년을 제외하고 공산주의 관행이 폐지되었다.
많은 축하 행사는 미하일 수슬로프, 요제프 치란키에비치, 블라디슬라프 고무우카를 포함하여 몽골을 방문한 외국 공산주의자들의 참여로 기념되었다.[8]
2. 4. 현대의 나담
오늘날 몽골에서 열리는 가장 큰 두 개의 나담은 단시그 나담과 국가 나담이다. 단시그 나담은 1911년 몽골 혁명을 기념하여 청나라로부터의 독립을 기념하며, 몽골 국기일과도 일치한다. 국가 나담은 1921년 혁명을 공식적으로 기념하며, 새로운 국가의 업적을 기념한다.[9] 나담은 몽골과 내몽골 자치구의 여러 지역에서 7월과 8월에, 투바 공화국에서는 8월 15일에 열린다.세 가지 스포츠는 단시그 게임이라고 불린다. 이들은 새로운 국가의 큰 축제가 되었으며, 귀족들이 모여 새로운 국가 원수인 보그드 칸(Jabzundamba Khutugtu)에게 헌정했다.[9] 칭기즈 칸의 아홉 마리의 말꼬리는 몽골의 아홉 부족을 상징하며, 여전히 수흐바타르 광장에서 경기장으로 의례적으로 운송되어 나담 축제를 시작한다. 개막식과 폐막식에는 제복을 입은 단체의 요소들과 함께 기마병, 선수, 승려들의 인상적인 퍼레이드가 펼쳐진다.
샤가이를 사용한 게임도 인기있는 나담 활동이다. 양 발목뼈는 게임 말과 점과 우정의 상징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축제의 인식된 부패와 모호한 상징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다.[10]


단식 나담과 함께 가장 큰 축제는 7월 11일부터 13일까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국경일 기간 동안 국립 스포츠 경기장에서 열리는 국립 나담 축제이다. 이 축제는 무용수, 운동선수, 기수, 음악가들이 참여하는 화려한 소개 행사로 시작된다. 행사가 끝나면 경기가 시작된다. 경기는 주로 승마 경주이다.
3. 세 가지 주요 경기 (에링 고르왕 나담)
3. 1. 몽골 씨름 (뵈흐)
몽골 씨름은 나담의 주요 종목 중 하나이다.
총 512명 또는 1024명의 씨름 선수들이 9라운드 또는 10라운드로 진행되는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에서 맞붙는다. 몽골 전통 씨름은 시간 제한이 없는 경기로, 선수들은 발이나 손을 제외한 신체의 다른 부위가 땅에 닿으면 패배한다. 대진을 정할 때, 가장 유명한 선수가 상대를 선택할 특권을 갖는다. 씨름 선수들은 어깨에 꽉 끼는 조끼(''조독'')와 반바지(''슈우닥'')로 구성된 두 부분으로 된 의상을 착용한다. 남성만 참가할 수 있다.
각 씨름 선수에게는 "격려자"인 ''자수울''이 있다. 자수울은 3, 5, 7라운드 후에 승리한 선수를 칭찬하는 노래를 부른다. 7단계 또는 8단계(대회에 512명 또는 1024명의 선수가 참가하는지에 따라 다름)에서 우승한 선수는 "코끼리"라는 뜻의 ''자안/자안mn'' 칭호를 얻는다. 9단계 또는 10단계의 우승자는 ''아르슬란/아르슬란mn'', 즉 "사자"라고 불린다.[11] 결승전에서는 모든 "자수울"이 서로에게 다가가면서 각 씨름 선수의 뒤에서 떨어진다. 두 번의 아르슬란은 타이탄/자이언트 또는 ''아브라가/아브라가mn''라고 불린다.[11]
3. 2. 경마
몽골 경마는 서양 경마와 달리 15~30km의 크로스컨트리 경주로 진행된다.[12] 경주 거리는 말의 연령에 따라 달라지는데, 2세 말은 약 16km, 7세 말은 약 27km를 달린다. 몽골 전역에서 최대 1,000마리의 말이 경주에 참가할 수 있으며, 경주마는 특별한 식단을 제공받는다.5세에서 13세 사이의 어린이가 기수로 선택되며, 경주 전 몇 달 동안 훈련을 받는다. 경주의 주된 목적은 말의 능력을 시험하는 것이지만, 기수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한다.[12]
경주 시작 전에는 관중들이 전통 노래를 부르고, 기수는 "징고"라는 노래를 부른다. 경주 후에는 각 클래스에서 상위 5마리의 말에게 아이르긴 타브/airgiyn tavmn라는 칭호를 수여하고, 상위 3마리에게는 금, 은, 동메달을 수여한다. 우승한 기수는 툼니 에흐/tumny ekhmn (만 명의 지도자)라는 칭호를 받는다. 다가 경주(2세마 경주)에서 꼴찌를 한 말은 바얀 호도드/bayan khodoodmn ("배부른"이라는 뜻)라고 불리며, 다음 해에 우승하기를 기원하는 노래가 불린다.[12]

3. 3. 양궁
몽골 활도 참조양궁 경기에는 남녀 모두 참가할 수 있다. 10명의 팀으로 진행되며, 각 궁수는 4개의 화살을 받으며, 팀은 33개의 "수르(surs)"를 맞춰야 한다. 남자는 75미터, 여자는 65미터 거리에서 화살을 쏜다. 전통적으로 궁수들은 경기 동안 자국의 전통 의상(델, ''Deel'')을 입는다. 모든 궁수들은 팔꿈치까지 가죽 팔찌를 착용하여, 델의 소매가 사격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몽골 양궁은 수십 개의 "수르"를 표적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각 "수르"는 작게 엮거나 나무로 만든 원통이다. 이들은 서로 쌓여 높이 약 20.32cm, 너비 약 1.52m의 벽을 형성한다. 화살로 벽에서 "수르"를 맞추면 명중으로 간주되며, 중앙에서 "수르"를 맞추면 더 많은 점수를 얻는다. 궁수가 표적을 맞추면 심판은 "우하(uuhai)"라고 외치는데, 이는 "만세"를 의미한다. 각 명중 후, 관계자는 손상된 벽을 수리하고 다음 시도를 준비한다. 경기 우승자에게는 "국가 명사수"와 "국가 명사수"라는 칭호가 수여된다.
4. 기타 행사 및 문화
4. 1. 샤가이
4. 2. 전통 공연
4. 3. 음식
5. 한국과의 관계
6. 갤러리
7. 상
우수한 성적을 거둔 선수에게는 징거(景嘎, 징가)라는 검은색을 제외한 오색의 띠 비단으로 장식된 목걸이를 착용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irag: Mongolia's Popular Milk Beverage
https://www.cheese.c[...]
2018-02-22
[2]
웹사이트
Khuushuur
http://www.mongolfoo[...]
2018-02-22
[3]
웹사이트
The Biyelgee – Mongolian Folk Dance or Modern Dance Form?
https://dancehistory[...]
2018-02-22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5]
웹사이트
Rare Images of the People's Revolution
https://www.tolgoilo[...]
2019-08-10
[6]
웹사이트
Г.Махбариад: Цол өгөөд л байсан, би ч аваад л байсан. Цэргийнхний 16 жилд авдаг цолыг би таван жилд зүүсэн
https://www.n24.mn/a[...]
2021-06-07
[7]
웹사이트
История Улан-Батора: Мавзолей Сухэ-Батора и центральная площадь
https://asiarussia.r[...]
[8]
웹사이트
Фильм Праздник в народной Монголии.. (1961)
https://www.net-film[...]
2021-06-07
[9]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Facts On File, Ink
[10]
웹사이트
What's Wrong With Mongolia's Naadam Festival?
https://thediplomat.[...]
2021-10-31
[11]
간행물
The Maulers of Mongolia
https://books.google[...]
Black Belt
1969-07
[12]
웹사이트
Naadam Festival
http://www.csen.org/[...]
The Center for the Study
2008-04-16
[13]
웹사이트
The Naadam Archery Competition
https://www.atarn.or[...]
[14]
뉴스
Naadam on sand kicks off in China's Inner Mongolia
http://www.xinhuanet[...]
Xinhua Net
[15]
뉴스
フルンボイル・ナーダム
http://m.northnews.c[...]
[16]
웹사이트
中川農林水産大臣の来訪
https://www.mn.emb-j[...]
在モンゴル日本国大使館
[17]
웹사이트
皇太子殿下のモンゴル御訪問
https://www.mn.emb-j[...]
在モンゴル日本国大使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