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일리추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일리추에는 뚜렷한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동물로, 수컷은 암컷보다 크고 뿔을 가진다. 수컷은 흑갈색 또는 황갈색 털과 흰색 '두건' 무늬를 가지며, 암컷은 황금빛 갈색 털을 가지고 뿔이 없다. 나일리추에는 주로 풀과 수생 식물을 먹으며,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활동한다. 나일리추에는 암컷과 새끼, 독신 수컷, 영역을 가진 수컷으로 이루어진 사회 집단을 형성한다. 나일리추에는 남수단과 에티오피아의 고유종으로, 얕은 물 근처의 범람원에서 서식하며, 국제 자연 보전 연맹에 의해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개체 수 감소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5년 기재된 포유류 - 시리아야생당나귀
시리아야생당나귀는 서아시아에 서식했던 멸종된 야생 당나귀 아종으로, 무분별한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1920년대에 멸종되었으며, 멸종 후 유전자 보존 및 생태적 역할 복원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855년 기재된 포유류 - 덤불쥐
덤불쥐는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멕시코 남부에 걸쳐 분포하며, 작은 귀와 긴 꼬리, 누르스름한 갈색 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야행성 설치류로, 도토리, 절지동물, 열매, 씨앗 등을 먹고 다양한 포식자의 먹이가 된다. - 수단의 포유류 - 북부흰코뿔소
북부흰코뿔소는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멸종 위기에 놓인 아프리카 코뿔소의 아종으로, 마지막 수컷의 죽음 이후 인공번식, 대리모 출산, 냉동 세포 복원 연구를 통해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수단의 포유류 - 물영양
물영양은 소과에 속하는 아프리카 포유류로, 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고 수컷은 뿔을 가지며, 무리 생활을 하며 초식 생활을 하고, 서식지 감소와 밀렵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이다. - 에티오피아의 포유류 - 그레비얼룩말
그레비얼룩말은 쥘 그레비 대통령의 이름을 딴 야생 말 중 가장 큰 종으로, 가늘고 촘촘한 줄무늬와 흰색 배가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전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에티오피아의 포유류 - 게레눅
게레눅은 동아프리카 건조 지역에 사는 영양으로, 긴 목과 다리, 뒷다리 서기 행동으로 "기린 가젤"이라고도 불리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보전 노력이 필요하다.
나일리추에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학명 | Kobus megaceros |
명명자 | (Fitzinger, 1855) |
이명 | Onotragus megaceros Kobus maria |
보전 상태 | |
IUCN 적색 목록 | 위기 (EN) 참조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우제목/경우제목 |
과 | 소과 |
아과 | 영양아과 |
족 | 리드벅족 |
속 | 물영양속 |
종 | 나일리추에 (K. megaceros) |
2. 외형
나일리추에는 성적 이형성을 뚜렷하게 나타낸다. 수컷과 암컷은 몸길이, 어깨높이, 몸무게가 서로 다르며, 털 색깔과 뿔의 유무에서도 차이를 보인다. 수컷에게만 뿔이 있으며, 뿔의 생김새는 성장하면서 변화한다.
2. 1. 털과 뿔
나일리추에는 털이 덥수룩하며, 암수 모두 뺨에 긴 털이 있고, 수컷은 목에 더 긴 털이 있다. 암컷과 새끼는 황금빛 갈색 털을 가지고 있지만, 어린 수컷은 2~3세가 되면 짙은 갈색으로 변한다. 성체 수컷은 흑갈색에서 황갈색을 띠며, 어깨 위에 흰색 '두건' 무늬와 눈 위에 흰색 반점이 있다.[16][17] 성체 수컷의 뿔은 길이가 50cm에서 87cm이며 밑부분이 강하게 융기되어 있고 끝이 구부러져 있다.[17]2. 2. 크기 및 수명
수컷은 평균 몸길이가 165cm이고 어깨높이는 100cm~105cm, 몸무게는 90kg~120kg이다. 암컷은 평균 몸길이가 135cm이고 어깨높이는 80cm~85cm, 몸무게는 60kg~90kg이다. 나일리추에의 평균 수명은 10~11.5년이며, 드물게는 19년까지 산다.[14]3. 생태
나일리추에는 시각적 신호와 발성을 통해 서로 소통한다. 암컷은 이동할 때 두꺼비 같은 울음소리를 낸다.[15] 수컷은 싸울 때 머리를 숙이고 뿔을 사용하여 서로를 밀어낸다. 한 수컷이 다른 수컷보다 현저히 작은 경우, 더 큰 수컷 옆에 나란히 위치하여 밀어낼 수 있는데, 이는 더 큰 수컷이 모든 힘을 쏟아 밀어내는 것을 방지한다.[2]
천적으로는 인간, 사자, 악어, 치타, 들개, 하이에나, 표범이 있다.[14] 이들은 방해를 받으면 물로 도망가지만, 암컷은 주로 발길질을 통해 작은 포식자로부터 새끼를 보호한다. 한 살이 된 나일리추에는 종종 쇠파리에 감염되어 건강이 나빠지거나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다.[14]
3. 1. 사회 집단
나일리추에는 박명박모성 동물로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활동한다. 이들은 최대 50마리의 암컷과 한 마리의 수컷으로 구성된 무리로 모이거나 더 작은 수컷 무리로 모인다.[14] 나일리추에의 무리는 세 가지 사회 집단으로 나뉜다.[14]사회 집단 |
---|
암컷과 새끼 |
독신 수컷 |
영역을 가진 우두머리 수컷 |
영역을 가진 수컷은 때때로 독신 수컷이 자신의 영토에 들어와 영역 내의 암컷과 교미하지 않도록 감시한다.[14]
3. 2. 활동 시간
나일리추에는 이른 아침과 늦은 오후에 주로 활동하는 박명박모성 동물이다. 이들은 최대 50마리의 암컷과 한 마리의 수컷으로 구성된 무리로 모이거나, 더 작은 수컷 무리로 모인다.[14]4. 먹이
나일리추에는 즙이 많은 풀과 수초를 먹는다.[15][2] 우기에는 야생 벼를 선호하며, 건기에는 늪지 풀의 섭취량이 증가한다.[15] 얕은 물에서 풀을 뜯거나, 더 깊은 물에서 수영하며 수생 식물을 먹기도 한다.[15][2] 나무와 덤불의 어린 잎을 먹기 위해 뒷다리로 일어서기도 한다.[15][2]
5. 번식
암수 모두 2세에 성적 성숙에 도달한다.[4] 짝짓기는 연중 발생하지만 2월에서 5월 사이에 가장 활발하다.[5][6]
5. 1. 짝짓기 행동
암수 모두 두 살이 되면 성적으로 성숙해진다.[17] 짝짓기는 일년 내내 이루어지지만 2월에서 5월 사이에 정점에 달한다. 짝짓기 철이 되면 어린 수컷은 뿔을 땅에 구부려 찌르는 행동을 보인다. 수컷은 물 속에서 뿔을 맞대고 싸워 우위를 결정하며, 이 과정은 짧고 폭력적이다. 우두머리 수컷이 암컷과 교미한다. 수컷은 머리를 땅에 대고 목과 뺨에 있는 털에 소변으로 냄새를 남기고, 암컷의 이마와 엉덩이에 문지르는 독특한 표시 행동을 한다.[14][18]5. 2. 임신과 출산
임신 기간은 평균 7~9개월이며, 그 후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의 무게는 약 4.5to(-)이다.[14][5] 암컷은 새끼를 낳은 지 약 한 달 후에 다시 발정을 경험한다. 새끼는 태어난 후 2~3주 동안 빽빽한 초목 속에 숨겨져 어미가 젖을 먹인다. 5~6개월에 젖을 떼고 몇 달 후에는 독립하여 무리에 합류할 준비가 된다.[14][5]5. 3. 새끼 양육
임신 기간은 평균 7~9개월이며, 그 후 한 마리의 새끼가 태어난다. 새끼의 무게는 약 4.5to(-)이다. 새끼는 태어난 직후 2~3주 동안 울창한 초목 속에 숨어서 어미의 젖을 먹는다. 생후 5~6개월에 젖을 떼고 몇 달이 지나면 독립하여 무리에 합류할 준비가 된다.[5]6. 분포 및 서식지
나일리추에는 남수단과 에티오피아의 고유종이다. 주로 수심 10cm~40cm의 얕은 물 근처, 더 깊은 늪과 접해 있는 범람원에 서식한다.[19]
6. 1. 주요 서식지
나일리추에는 일반적으로 물 깊이가 10cm~40cm인 더 깊은 늪과 접해 있는 얕은 물 근처의 범람원에서 자생한다.[19] 남수단과 에티오피아의 고유종으로, 남수단에서는 개체 수의 대다수가 수드에 서식하며 소수는 에티오피아 국경 근처의 마차르 지역에 살고 있다. 에티오피아에서는 남서부의 감벨라 국립공원에 서식하지만 인간의 정착과 그로 인한 서식지의 황폐화로 그 수가 매우 적다.[20]6. 2. 위협 요인
나일리추에의 서식지는 내전, 인간의 이주 및 재정착, 총기로 인한 공격 및 사냥 증가로 심각한 영향을 받았다.[20] 계절적 이동조차 서식 범위 안팎의 많은 소 개체군으로 인해 제한되고 있다. 그러나 수드 늪지에 위치한 나일리추에의 개체 수는 이 기간 동안 어느 정도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21]7. 보존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나일리추에를 위기 종으로 분류했다.[19][7] 1980년대와 1960년대에 개체수 조사가 있었으며, 2007년에는 개체 수가 급격히 감소한 것이 확인되었다.[19][7] 주요 서식지는 남수단과 에티오피아이며, 여러 보호 구역이 지정되어 있다.[20]
7. 1. 개체 수 현황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나일리추에를 위기 종으로 분류했다.[19][7] 1983년 항공 조사에서는 총 개체 수가 30,000~40,000마리로 추산되었으며, 이 중 95%가 수드에 집중되어 있었고 나머지는 수단과 에티오피아 사이에 분포했다.[19][7] 2007년 수드 지역 개체 수는 4,291마리로 1983년 조사에 비해 급감했다.[19][7]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개체도 늘어나고 있다.[20][8]
7. 2. 보호 구역
남수단에서 나일리추에 개체군은 세 곳의 보호 구역에서 서식한다. 바흐 엘 제라프 강을 따라 9700km2 이상 뻗어 있는 제라프 동물보호구역, 바흐 엘 가자르 강 북쪽의 480km2 이상 뻗어 있는 파니캉 게임 리저브, 바흐 엘 자벨 강을 따라 620km2 이상 뻗어 있는 삼베 국립 공원이 그곳이다. 나일리추에는 이 지역들을 드나들며, 에티오피아에서는 가벨라 국립 공원에서 서식한다. 한 연구에서는 이 종의 현지 내 및 현지 외 보전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명했다.[20]참조
[1]
간행물
"Kobus megaceros"
2017
[2]
웹사이트
Nile lechwe
https://web.archive.[...]
ARKive
2011-10-31
[3]
서적
Ungulate Taxonomy
https://books.google[...]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Nile lechwe (Kobus megaceros)
http://www.ultimateu[...]
UltimateUngulate
[5]
웹사이트
"Kobus megaceros"
http://animaldiversi[...]
Animal Diversity Web
[6]
논문
A peculiar behaviour of the dominant males of Nile lechwes (''Kobus megaceros'', Bovidae Reduncinae): urination on the neck
1993-09-01
[7]
논문
Development studies in the Jonglei canal area: Final report
1983
[8]
논문
General issues in the conservation biology of Nile Lechwe (''Kobus megaceros'') and preliminary guidelines for an action plan
1998
[9]
서적
African Antelope Database 1998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1999
[10]
논문
SECTION 2: COUNTRY REPORTS
1988
[11]
논문
The wildlife of Ethiopia
1968
[12]
간행물
"Kobus megaceros"
2017
[13]
간행물
"Kobus megaceros"
2017
[14]
저널
Congenital Urethral Agenesis in a Nile Lechwe (Kobus megaceros)
http://dx.doi.org/10[...]
1984
[15]
서적
CHARGE 10.
http://dx.doi.org/10[...]
Thomas Telford Publishing
2011-01
[16]
서적
Ungulate taxonomy
J.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
[17]
서적
Kobus leche leche (Red lechwe) ♂ Kobus megaceros (Nile lechwe) ♀
http://dx.doi.org/10[...]
Springer New York
1977
[18]
저널
A peculiar behaviour of the dominant males of Nile lechwes ( Kobus megaceros , Bovidae Reduncinae): urination on the neck
http://www.tandfonli[...]
1993-09
[19]
저널
Development of a prototype lignin concentration sensor. Final report. Draft
http://dx.doi.org/10[...]
1994-11-01
[20]
저널
The Nile lechwe Kobus megaceros: PVA factors and guidelines to captive management
http://dx.doi.org/10[...]
1992-01
[21]
서적
African antelope database 1998
https://archive.org/[...]
IUCN
1999
[22]
저널
Notes on the Antelopes and Zebra of Northern Rhodesia and Portuguese East Africa
http://dx.doi.org/10[...]
1926-08
[23]
저널
The Wildlife of Ethiopia
https://www.cambridg[...]
1968-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