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낚시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낚시찌는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음을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낚시 도구이다.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1496년 줄리아나 버너스의 저서에 찌 사용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한다. 낚시찌는 다양한 형태와 기능으로 발전해 왔으며, 막대찌, 와글러, 둥근찌, 고추찌, 중통찌, 전기찌 등 여러 종류가 있다. 낚시꾼들은 낚시 환경, 미끼 종류 등을 고려하여 낚시찌를 선택한다. 낚시찌는 폼, 발사 나무, 코르크,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료로 제작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어로 장비 - 작살
    작살은 뾰족한 촉을 가진 사냥 도구로,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고래잡이와 우주 탐사 등 다방면으로 사용된다.
  • 어로 장비 - 잠수복
    잠수복은 수중 활동 시 체온 유지와 안전을 위해 착용하는 의류로, 네오프렌 소재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며, 보온성과 유연성은 네오프렌 두께, 소재, 봉제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낚시찌
낚시찌
다양한 낚시찌
다양한 낚시찌
개요
종류고정찌
반고정찌
유동찌
재료나무
코르크
플라스틱
갈대
공작 깃털
스티로폼
용도어종 식별
수심 측정
입질 파악
특징
부력 조절찌맞춤을 통해 부력 조절 가능
시인성낚시꾼이 쉽게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제작
형태막대형
구형
기타 다양한 형태 존재
낚시 방법
찌낚시찌를 사용하여 수심을 맞추고 입질을 기다리는 낚시 방법
대상 어종붕어
잉어

기타 다양한 어종
추가 정보
관련 용어찌맞춤
수심
입질
부력

2. 역사

낚시찌의 사용은 고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최초의 기록은 15세기 줄리아나 버너스의 저서에 등장한다. 누가 낚시찌를 처음 사용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기록이 있기 훨씬 이전부터 사람들은 나뭇가지, 새 깃털, 말린 잎 등을 입질 감지기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서양에서는 1496년 줄리아나 버너스가 쓴 《낚싯대를 사용한 낚시에 관하여》(Treatyse of fysshynge wyth an Angle)라는 서적에 낚시찌를 이용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한다.[15] 한국에서는 헤이안 시대 초기 나가노현 난궁 유적에서 경석에 구멍을 뚫어 실을 통과시키는 구조의 낚시찌가 출토되었다.[14]

2. 1. 서양의 낚시찌 역사

줄리아나 버너스가 1496년에 쓴 《낚싯대를 사용한 낚시에 관하여》(Treatyse of fysshynge wyth an Angle)라는 서적에 낚시찌를 이용한 최초의 기록이 등장한다.[15] 물고기가 미끼를 물었음을 알리기 위해 처음 누가 찌를 사용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기록되기 훨씬 전부터 사람들은 나뭇가지, 새 깃털, 말린 잎 등을 입질 감지기로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찌 사용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줄리아나 버너스가 저술한 "Treatyse of fysshynge wyth an Angle"이라는 책에 등장한다.[2]

땅에 닿지 않는 모든 종류의 줄은 찌를 가져야 하며, 움직이는 바닥줄은 찌를 가져야 하고, 누워있는 바닥줄은 찌를 가져야 한다.영어

코르크 낚시찌


초기에는 코르크에 구멍을 뚫어 줄을 통과시키고 깃털로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1653년에 처음 출판된 아이작 월턴의 고전 "The Compleat Angler"와 1577년 텍스트를 제럴드 이디스 벤틀리가 편집한 "the Arte of Angling"과 같은 책들은 낚시와 찌 사용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을 제공했다.

1800년경 이전에는 낚시꾼들이 직접 찌를 만들었고,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이 이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3] 낚시가 더 인기를 얻으면서, 회사들은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스타일의 찌를 만들기 시작했다. 1921년까지 Wadhams와 같은 회사들은 적어도 250개의 셀룰로이드 찌를 카탈로그에 포함시켰다.[4]

그 이후, 낚시 찌는 실용적이고 이론적인 많은 변화를 거쳤다. 피터 드레난(드레난 인터내셔널),[5] 케네스 미들턴(미디 태클)과 같은 영국의 낚시꾼들과 시카고의 전 세계 챔피언 믹 틸(틸 플로트)과 같은 미국의 낚시꾼들은[6] 낚시 찌를 설계하고 판매하는 대규모 회사를 설립했다. 이 영국 회사들은 이반 마크스, 베니 애셔스트, 빌리 레인과 같은 메이저 리그 낚시꾼들의 지원을 받았다.

2. 2. 한국의 낚시찌 역사

나가노현 난궁 유적 (헤이안 시대 초기)에서 경석에 구멍을 뚫어 실을 통과시키는 구조의 낚시찌가 출토되었다.[14]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세우는 찌'가 등장하여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 이전에는 '눕히는 찌'가 사용되었다. '세우는 찌'를 보급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스가와라 토라지로(초대 마이조스케)가 있다. 그는 교토에서 이발소와 신나이부시 스승을 겸하며 낚시찌를 만들었으나, 평생 본업으로 삼지는 않았다. 그의 차남 스가와라 요이치(2대 마이조스케)는 고등소학교 졸업 후 여러 직업을 거쳐 부친 사망 후인 쇼와 6년(1931년), 26세에 낚시찌 장인이 되었다. 2대 마이조스케의 낚시찌는 개성 있는 형태와 연마 마감 등 본격적인 옻칠로 간사이와 간토에서 주목받았다. 마키에 등을 시술한 작품이나 십이지를 소재로 한 세트 등 예술 작품이라 할 만한 낚시찌도 제작하여, 현재 고가로 거래되는 경우가 많다.

3. 디자인 및 기능

전형적인 낚시찌는 물보다 비중이 낮아 물 표면에 뜰 수 있는 부력을 가진 몸체로 구성된다. 멀리서도 쉽게 볼 수 있도록 상단에는 밝은 색상의 막대가 있고, 하단에는 낚싯바늘을 매달 수 있는 부착물이 있다. 때로는 바람과 파도에 낚시찌가 수직으로 서 있도록 돕기 위해 하단에 작은 평형추를 두기도 한다.

낚시찌는 낚시꾼이 바닥 낚시나 원투 낚시와 달리 미끼의 위치를 보면서 해안이나 보트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미끼를 던질 수 있게 해준다. 낚시꾼은 조류의 세기(있는 경우), 풍속, 사용하고 있는 낚시 미끼의 크기, 미끼를 드리우고 싶은 깊이 및 미끼를 던질 거리를 고려하여 적절한 낚시찌를 선택한다.[1] 일반적으로 낚시찌와 낚싯바늘 사이의 낚싯줄에는 작은 추를 부착하여 낚시찌가 물속에서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밝은 색상의 작은 팁만 보이도록 한다. 낚시찌의 나머지 부분은 일반적으로 물고기에게 최대한 눈에 띄지 않도록 무광의 중성적인 색상으로 마감한다. 각 낚시찌 스타일은 느린 강이나 빠른 강, 바람이 부는 곳이나 잔잔한 물, 운하와 같은 좁은 물과 같은 특정 유형의 조건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낚시찌

4. 종류

낚시찌는 형태, 재료, 기능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찌는 , 발사 나무, 코르크, 플라스틱, 사탕수수[7] 또는 새나 호저의 깃털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 수 있다.

4. 1. 형태에 따른 분류


  • 막대찌 (Stick Float): 가늘고 긴 막대 모양의 낚시찌이다. 윗부분은 가볍고 부력이 있는 발사 나무로, 아랫부분은 무거운 사탕수수, 경목,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찌는 항상 윗부분과 아랫부분 모두 낚싯줄에 연결된다.[9] 입질에 민감하지만, 물살이 빠른 곳에서는 입질 파악이 어려워 물살이 약한 곳에서 주로 사용된다. 붕어 낚시에서는 고가의 막대찌(棒浮き)가 사용되기도 한다.
  • 원추형 찌 (Waggler Float): 찌 아래쪽에만 낚싯줄을 연결하는 형태이다.[10] 스트레이트(straight)형과 바디(bodied)형 두 가지가 있으며, 인서트(insert, 안테나)가 있거나 없을 수 있다. 공작 깃털, 발사 나무, 등나무, 플라스틱, 갈대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 둥근찌 (Bubble Float): 작고 속이 빈 공 모양으로, 부력이 크고 안정적이다. 물을 채워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인 찌를 던질 수 없는 곳, 예를 들어 갈대 가장자리나 수면 식물이 무성한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엉킴 없이 해당 지역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 고추찌 (唐辛子浮き): 막대찌와 둥근찌의 중간 형태로, 고추 모양을 닮았다. 주로 나무로 만들어진다.
  • 중통찌 (Centrepin Float): 낚싯줄이 찌 몸통을 통과하는 형태이다. 원추형, 도토리형, 역원추형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갯바위 낚시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찌 자체를 물에 띄워 입질을 파악하는 것뿐만 아니라, 부력 이상의 추를 달아 찌를 밑밥과 같은 속도로 가라앉히는 낚시 방법에도 사용된다. 수중찌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는데, 수중찌는 마이너스 부력(가만히 두면 가라앉음)을 가지고 있어 윗물은 멈춰 있는데 아랫물이 흐르는 경우 등에 사용된다.
  • Avon 찌: 상단에 몸체가 있는 일자형 찌로, 영국 에이번 강의 빠른 물 흐름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다.[8] 초기에는 까마귀 깃털에 코르크 몸체를 밀어 넣은 형태가 많았다. 낚싯줄의 상단과 하단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 Dink 찌: 어두운 폼 원통형 몸체와 밝은 코르크 원통으로 구성되며, 스토퍼 없이 낚싯줄을 감아 고정한다. 낚싯줄이 상단을 통과하여 원통을 감싸고 하단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낚싯줄 감싸짐이 플로트를 제자리에 고정시킨다.
  • Popper 찌: 흔히 '포핑 코크'라고 불리며, 로드 액션을 통해 수면에서 먹이를 먹는 대형 물고기를 흉내 내도록 설계되었다. 물속에서 잡아당길 때 딸깍거리는 소리를 내거나, 오목한 상단을 이용하여 깊은 '''''컥컥거리는''''' 소리를 내어 표면에서 먹이를 먹는 대형 포식성 물고기의 소리를 모방한다. 흔들 때 수면에서 뛰어오르는 미끼 물고기를 흉내 내도록 펠릿을 내부에 가진 것도 있다.
  • Quill 찌: 새의 깃털 퀼로 만든 찌로, 초기 찌 형태 중 하나이다. 신세계가 열리면서 아프리카산 고슴도치 퀼이 표준이 되었다. 스틱 플로트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된다.
  • Self-cocking 찌: 물속에서 낚싯줄에 좁쌀 봉돌이나 추를 사용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똑바로 설 수 있도록 무게가 실려 있다.
  • 방향 조절 찌: 끌어당길 때 활공하거나 한쪽으로 움직여 방향을 바꿀 수 있다.[11]

방향 조절이 가능한 낚시찌

4. 2. 기능에 따른 분류

전기찌는 발광 기능이 있어 야간 낚시에 사용된다. 찌 용도로 개발된 가늘고 긴 리튬 1차 전지를 사용하며, 콩알 전구 또는 LED 등으로 찌가 발광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야간 낚시에서 어둠 속에서도 찌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5. 재료

낚시찌는 폼, 발사 나무, 코르크, 플라스틱, 사탕수수[7], 새나 호저의 깃털, 나무, 유리,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 수 있다.[12]

참조

[1] 서적 Float fishing: tackle and techniques for still and running water Cassell
[2] 웹사이트 Treatyse of fysshynge wyth an Angle http://www.luminariu[...] 2013-07-13
[3] 웹사이트 Traditional cork floats http://www.floatfish[...] 2013-07-13
[4] 서적 The Float Medlar Press
[5] 웹사이트 Drennan tackle history http://www.drennanta[...] 2013-07-13
[6] 뉴스 Repatriated Chicagoan Floats Euro-fishing Ideas https://www.chicagot[...] 1995-04-23
[7] 서적 Floristic Plants of the World Sarup & Sons
[8] 웹사이트 Avon floats http://www.drennanta[...] 2013-07-13
[9] 웹사이트 Stick floats http://www.drennanta[...] 2013-07-13
[10] 웹사이트 Waggler floats http://www.wagglerfl[...] 2013-07-13
[11] 간행물 "Planing float with lateral motion control" https://patents.goog[...]
[12] 웹사이트 うき 2022-08-09
[13] 웹사이트 浮き釣り 2022-08-09
[14] 문서 『篠ノ井の歴史と風土』 篠ノ井歴史の会
[15] 웹인용 Treatyse of fysshynge wyth an Angle http://www.luminariu[...] 2013-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