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난충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난충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북동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파국 영토였다가 진나라에 정복된 후, 한나라 때 안한현으로 설치되었으며, 수나라 때 남충현으로 개칭되었다. 당나라 시기 과주로 불리다가 742년에 현재의 이름인 난충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출신 인물로는 삼국지의 저자 진수와 군인 주덕 등이 있다. 난충은 쓰촨성 북부의 교통 요충지이며, 농업, 제조업, 천연 자원 등 다양한 산업이 발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촨성의 지급시 - 청두시
    중국 사천성의 성도인 청두는 삼국시대 촉나라 수도이자 당나라 시대 번영한 도시로서, 도강언, 청성산, 삼성퇴 유적, 금사 유적, 두보 초당 등 풍부한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현대에는 중국 서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한 국제적인 도시다.
  • 쓰촨성의 지급시 - 러산시
    러산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남서부에 위치한 지급시이며, 주나라 때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가주, 가정부를 거쳐 1979년 러산시로 개칭되었고, 습윤 아열대 기후를 보이며, 러산 대불과 어메이 산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난충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쓰촐 성 내 난충 시의 위치
쓰촨 성 내 난충 시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난충 시
별칭과일 도시
유형지급시
위치순칭 구
면적12479.96km²
도시 면적2527.8km²
메트로 면적2527.8km²
고도340m
시간대중국 표준시 (UTC+8)
우편 번호637000
웹사이트nanchong.gov.cn
로마자 표기Nanchong
인구 통계
총 인구 (2020년)5607565명
도시 인구1936534명
메트로 인구1936534명
GDP (2016년)CN¥ 1516억 (미화 243억 달러)
1인당 GDP (2016년)CN¥ 23881 (미화 3834 달러)
행정
당 서기류 훙젠
설립일1993년
기타
ISO 3166-2CN-SC-13

2. 역사

기원전 314년 진나라파나라가 정복되기 전까지 난충은 파나라의 영토였다. 진나라는 현재의 랑중 시에 랑중현(閬中县)을 설치하여 현재의 난충 부근을 관할했다. 한나라 건국 무렵, 순칭 구에 안한현(安漢县)이 설치되었다.[5]

안한현은 초한전쟁 당시 유방을 구한 기신을 기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한나라를 세우거나 안정시키다"라는 의미이다. 왕망이 한나라의 왕위를 찬탈했을 때 안신(安新)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서기 25년에 안한으로 다시 돌아왔다.

621년(무덕 4년), 당나라에 의해 남충현, 상여현에 과주가 설치되었다. 그 외에 랑주(랑중시), 봉주(영산현) 등이 설치되었다. 598년(개황 18년) 수나라에 의해 안한현은 남충현으로 개칭되었다.[6] 742년에 현재의 이름인 난충으로 바뀌었다. 난충의 별칭은 과주에서 유래된 과성(果城)이다. 1221년에 과주는 순경부(順慶府)로 승격했다.

1916년 이 지방의 중심이 랑중 시에서 난충으로 이전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난충 시(현재의 순칭 구)가 설치되어 난충 지역의 중심이 되었으나, 1993년 난충 지구가 폐지되었고, 지구에 속하는 현시는 새로운 지급시인 난충 시에 포함되게 되었다.

연도사건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북부 행정구 난충 전구 성립. 웨츠 현·난충 현·펑안 현·잉산 현·우성 현·시충 현·난부 현·이룽 현 발족 (8현)
1950년 5월 24일난충 현 일부가 분리, 지급시 난충 시 성립 (8현)
1952년 1월 15일시충 현 일부, 쑤이닝 전구 서훙 현 · 옌팅 현 분할 편입
난충 현·난부 현, 쑤이닝 전구 옌팅 현 일부, 시충 현 편입
펑안 현·시충 현, 검각 전구 랑중 현 일부, 난부 현 편입
난부 현 일부, 검각 전구 랑중 현 편입
난충 현·난부 현·잉산 현 일부, 펑안 현 편입
펑안 현·우성 현 일부, 난충 현 편입
펑안 현·이룽 현 일부, 잉산 현 편입
잉산 현 일부, 이룽 현 편입
난충 현 일부, 우성 현·웨츠 현 분할 편입
1952년 2월 2일쑤이닝 전구 펑시 현 일부, 난충 현 편입
쑤이닝 전구 옌팅 현 일부, 시충 현 편입
쓰촨성 동부 행정구 다주 전구 광안 현 일부, 웨츠 현 편입
쓰촨성 동부 행정구 장진 전구 허촨 현 일부, 웨츠 현·우성 현 분할 편입
1952년 2월 7일이룽 현 일부(푸싱 향 일부), 잉산 현 편입
잉산 현 일부(톈츠 향·바이린 향 일부), 이룽 현 편입
1952년 4월 18일난부 현 일부, 이룽 현 편입 (8현)
1952년 8월 7일쓰촨성 성립, 쓰촨성 난충 전구
1950년 5월 24일난충 전구 난충 현 일부 분리, 난충 시 발족 (1시)
1952년 8월 7일쓰촨 성 성립, 쓰촨 성 난충 시
1952년 12월 20일난충 시, 난충 전구 편입
1952년 8월 13일난충 현 일부, 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 편입 (8현)
1952년 9월 1일봉안현(蓬安県) 일부, 영산현(営山県)・의륭현(儀隴県) 분할 편입
무승현(武勝県) 일부, 난충현(南充県) 편입
난충현(南充県)・무승현(武勝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난충현(南充県)・서충현(西充県) 일부, 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 편입
악지현(岳池県) 일부, 무승현(武勝県) 편입
1952년 10월 17일난충현(南充県) 일부, 봉안현(蓬安県)・무승현(武勝県)・서충현(西充県) 분할 편입
악지현(岳池県) 일부, 난충현(南充県) 편입
1952년 12월 20일난충시(南充市) 편입, 난충시(南充市) 현급시 강등 (1시 8현)
1953년 1월 29일난충현(南充県) 일부, 봉안현(蓬安県) 편입 (1시 8현)
1953년 3월 10일대죽전구(大竹専区) 광안현(広安県), 광원전구(広元専区) 창계현(蒼渓県)낭중현(閬中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6월 8일남부현(南部県) 일부, 낭중현(閬中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6월 22일면양전구(綿陽専区) 왕창현(旺蒼県) 일부, 창계현(蒼渓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6월 26일남부현(南部県) 일부, 서충현(西充県)・낭중현(閬中県) 분할 편입
낭중현(閬中県) 일부, 남부현(南部県) 편입
1953년 7월 8일남부현(南部県) 일부, 수녕전구(遂寧専区) 염정현(塩亭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8월 1일의륭현(儀隴県) 일부, 달현전구(達県専区) 평창현(平昌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8월 5일남부현(南部県) 일부, 낭중현(閬中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8월 8일수녕전구(遂寧専区) 염정현(塩亭県) 일부, 서충현(西充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11월 9일강진전구(江津専区) 합천현(合川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1시 11현)
1953년 12월 29일봉안현(蓬安県)・의륭현(儀隴県) 일부, 영산현(営山県) 편입
영산현(営山県) 일부, 의륭현(儀隴県) 편입
광안현(広安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1954년 2월 15일광안현(広安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1시 11현)
1954년 5월 20일광안현(広安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1시 11현)
1954년 6월 11일의륭현(儀隴県) 일부, 영산현(営山県) 편입 (1시 11현)
1954년 9월 17일난충현(南充県) 일부, 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 편입 (1시 11현)
1954년 11월수녕전구(遂寧専区) 염정현(塩亭県) 일부, 남부현(南部県) 편입
악지현(岳池県) 일부, 강진전구(江津専区) 합천현(合川県) 편입
1955년 5월 27일난충현(南充県) 일부, 난충시(南充市) 편입 (1시 11현)
1955년 12월 15일면양전구(綿陽専区) 왕창현(旺蒼県) 일부, 창계현(蒼渓県) 편입 (1시 11현)
1955년 12월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 일부, 난충현(南充県) 편입 (1시 11현)
1956년 5월 31일창계현(蒼渓県) 일부, 면양전구(綿陽専区) 왕창현(旺蒼県) 편입 (1시 11현)
1956년 10월낭중현(閬中県) 일부, 의륭현(儀隴県) 편입 (1시 11현)
1957년 1월 29일달현전구(達県専区) 평창현(平昌県) 일부, 영산현(営山県) 편입 (1시 11현)
1957년 7월 13일악지현(岳池県)・난충시(南充市) 일부, 난충현(南充県) 편입 (1시 11현)
1957년 10월 11일낭중현(閬中県) 일부(조벽향(棗碧郷) 일부), 창계현(蒼渓県) 편입
창계현(蒼渓県) 일부(칠수향(七樹郷) 일부), 낭중현(閬中県) 편입
1957년 11월 16일낭중현(閬中県) 일부, 의륭현(儀隴県) 편입 (1시 11현)
1958년 1월 30일낭중현(閬中県) 일부(조벽향(棗碧郷) 일부), 창계현(蒼渓県) 편입
창계현(蒼渓県) 일부(칠수향(七樹郷) 일부), 낭중현(閬中県) 편입
1959년 6월 24일난충현(南充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1시 11현)
1963년 2월 14일창계현(蒼渓県) 일부, 낭중현(閬中県) 편입 (1시 11현)
1965년 7월 2일면양전구(綿陽専区) 봉계현(蓬渓県) 일부, 난충현(南充県) 편입 (1시 11현)
1968년 9월난충전구(南充専区), 난충지구(南充地区) 개칭 (1시 11현)
1973년 12월 17일면양지구(綿陽地区) 염정현(塩亭県) 일부, 남부현(南部県) 편입 (1시 11현)
1974년 11월난충시(南充市) 일부, 난충현(南充県) 편입 (1시 11현)
1975년 1월 9일의륭현(儀隴県) 일부, 달현지구(達県地区) 평창현(平昌県) 편입 (1시 11현)
1977년 4월 26일면양지구(綿陽地区) 검각현(剣閣県) 일부, 창계현(蒼渓県) 편입 (1시 11현)
1978년 1월 23일난충현(南充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1시 11현)
1978년 5월 12일남부현(南部県) 일부, 의륭현(儀隴県) 편입 (1시 11현)
1979년 4월 29일난충현(南充県) 일부, 악지현(岳池県) 편입 (1시 11현)
1979년 10월 5일광안현(広安県)・악지현(岳池県) 일부 합병, 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 발족 (1시 11현 1공농구)
1983년 3월 3일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 충칭시(重慶市) 편입 (1시 11현)
1983년 9월 9일충칭시(重慶市) 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 편입 (1시 11현 1공농구)
1984년 1월 26일낭중현(閬中県) 일부, 남부현(南部県) 편입 (1시 11현 1공농구)
1985년 2월 4일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 시제 시행, 화잉시(華鎣市) (2시 11현)
1985년 9월 9일창계현(蒼渓県), 광원시(広元市) 편입 (2시 10현)
1991년 1월 12일낭중현(閬中県) 시제 시행, 낭중시(閬中市) (3시 9현)
1993년 7월 2일난충지구(南充地区), 지급시 난충시(南充市) 승격


2. 1. 고대

난충은 기원전 314년 진나라에 정복되기 전까지 파나라의 영토였다. 진나라는 현재의 랑중 시에 랑중현(閬中县)을 설치하여 현재의 난충 부근을 관할했다. 한나라가 건국될 무렵, 순칭 구에 안한현(安漢县)이 설치되었다.[5]

안한현은 초한전쟁 당시 유방을 구한 기신을 기리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글자 그대로 "한나라를 세우거나 안정시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서기 8년, 왕망이 한나라의 왕위를 찬탈했을 때 안신(安新)으로 이름이 바뀌었지만, 서기 25년에 안한으로 다시 돌아왔다.

621년(무덕 4년), 당나라에 의해 남충현, 상여현에 과주가 설치되었다. 그 외에 랑주(랑중시), 봉주(영산현) 등이 설치되었다. 598년(개황 18년) 수나라에 의해 안한현은 남충현으로 개칭되었다.[6] 742년에 현재의 이름인 남충으로 바뀌었다. 난충의 별칭은 과주에서 유래된 과성(果城)이다. 1221년에 과주는 순경부(順慶府)로 승격했다.[6]

2. 2. 중세 ~ 근대

난충은 기원전 314년 진나라에 정복되기 전까지 파나라의 영토였다. 진나라는 현재의 랑중 시에 랑중현(閬中县)을 설치하여 현재의 난충 부근을 관할했다. 한나라가 건국될 무렵, 한 고조는 순칭 구에 안한현(安漢县)을 설치했다. 이는 초한전쟁 당시 유방을 구한 부하 무장인 기신을 기리기 위한 것이었다.[5] 안한현은 글자 그대로 "한나라를 세우다"라는 의미이다.

왕망이 한나라를 찬탈했을 때 안한현은 안신(安新)으로 개명되었으나, 서기 25년에 안한으로 다시 돌아왔다. 621년(당나라)에는 과주(果州)로, 742년에는 현재의 이름인 난충(南充)으로 바뀌었다. 난충의 별칭인 과성(果城)은 과주에서 유래되었다.[6]

1227년(보경 3년), 남송에 의해 과주는 순경부(順慶府)로 승격되었다.

598년(개황 18년), 수나라에 의해 안한현은 남충현으로 개칭되었다. 621년(무덕 4년), 당나라에 의해 남충현, 상여현에 과주가 설치되었다. 그 외에 랑주(랑중시), 봉주(영산현) 등이 설치되었다.

2. 3. 현대

1916년 이 지방의 중심이 랑중 시에서 난충으로 이전되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난충 시(현재의 순칭 구)가 설치되어 난충 지역의 중심이 되었으나, 1993년 난충 지구가 폐지되었고, 지구에 속하는 현시는 새로운 지급시인 난충 시에 포함되게 되었다.[1]

저명한 출신자로는, 역사서 『삼국지』의 저자인 진수, 홍군팔로군의 사령관이 된 주덕(이룽 현 출신) 등이 있다.[1]

연도사건
1949년 10월 1일중화인민공화국 쓰촨성 북부 행정구 난충 전구가 성립.웨츠 현·난충 현·펑안 현·잉산 현·우성 현·시충 현·난부 현·이룽 현이 발족.(8현)[1]
1950년 5월 24일난충 현의 일부가 분리되어, 지급시인 난충 시가 됨.(8현)[1]
1952년 1월 15일시충 현의 일부가 쑤이닝 전구 서훙 현 · 옌팅 현으로 분할 편입.[1]
난충 현·난부 현, 쑤이닝 전구 옌팅 현의 각 일부가 시충 현에 편입.[1]
펑안 현·시충 현, 검각 전구 랑중 현의 각 일부가 난부 현에 편입.[1]
난부 현의 일부가 검각 전구 랑중 현에 편입.[1]
난충 현·난부 현·잉산 현의 각 일부가 펑안 현에 편입.[1]
펑안 현·우성 현의 각 일부가 난충 현에 편입.[1]
펑안 현·이룽 현의 각 일부가 잉산 현에 편입.[1]
잉산 현의 일부가 이룽 현에 편입.[1]
난충 현의 일부가 우성 현·웨츠 현으로 분할 편입.[1]
1952년 2월 2일쑤이닝 전구 펑시 현의 일부가 난충 현에 편입.[1]
쑤이닝 전구 옌팅 현의 일부가 시충 현에 편입.[1]
쓰촨성 동부 행정구 다주 전구 광안 현의 일부가 웨츠 현에 편입.[1]
쓰촨성 동부 행정구 장진 전구 허촨 현의 일부가 웨츠 현·우성 현으로 분할 편입.[1]
1952년 2월 7일이룽 현의 일부(푸싱 향의 일부)가 잉산 현에 편입.[1]
잉산 현의 일부(톈츠 향·바이린 향의 각 일부)가 이룽 현에 편입.[1]
1952년 4월 18일난부 현의 일부가 이룽 현에 편입.(8현)[1]
1952년 8월 7일쓰촨성의 성립에 따라, 쓰촨성 난충 전구가 됨.[1]
1950년 5월 24일난충 전구난충 현의 일부가 분리되어, 난충 시가 발족.(1시)[1]
1952년 8월 7일쓰촨 성의 성립에 따라, 쓰촨 성 난충 시가 된다.[1]
1952년 12월 20일난충시가 난충 전구에 편입되었다.[1]
1952년 8월 13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으로 편입. (8현)[1]
1952년 9월 1일봉안현(蓬安県)의 일부가 영산현(営山県)・의륭현(儀隴県)으로 분할 편입.[1]
무승현(武勝県)의 일부가 난충현(南充県)으로 편입.[1]
난충현(南充県)・무승현(武勝県)의 각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1]
난충현(南充県)・서충현(西充県)의 각 일부가 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으로 편입.[1]
악지현(岳池県)의 일부가 무승현(武勝県)으로 편입.[1]
1952년 10월 17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봉안현(蓬安県)・무승현(武勝県)・서충현(西充県)으로 분할 편입.[1]
악지현(岳池県)의 일부가 난충현(南充県)으로 편입.[1]
1952년 12월 20일난충시(南充市)를 편입. 난충시(南充市)가 현급시로 강등. (1시 8현)[1]
1953년 1월 29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봉안현(蓬安県)으로 편입. (1시 8현)[1]
1953년 3월 10일대죽전구(大竹専区) 광안현(広安県), 광원전구(広元専区) 창계현(蒼渓県)낭중현(閬中県)을 편입. (1시 11현)[1]
1953년 6월 8일남부현(南部県)의 일부가 낭중현(閬中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3년 6월 22일면양전구(綿陽専区) 왕창현(旺蒼県)의 일부가 창계현(蒼渓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3년 6월 26일남부현(南部県)의 일부가 서충현(西充県)・낭중현(閬中県)으로 분할 편입.[1]
낭중현(閬中県)의 일부가 남부현(南部県)으로 편입.[1]
1953년 7월 8일남부현(南部県)의 일부가 수녕전구(遂寧専区) 염정현(塩亭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3년 8월 1일의륭현(儀隴県)의 일부가 달현전구(達県専区) 평창현(平昌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3년 8월 5일남부현(南部県)의 일부가 낭중현(閬中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3년 8월 8일수녕전구(遂寧専区) 염정현(塩亭県)의 일부가 서충현(西充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3년 11월 9일강진전구(江津専区) 합천현(合川県)의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3년 12월 29일봉안현(蓬安県)・의륭현(儀隴県)의 각 일부가 영산현(営山県)으로 편입.[1]
영산현(営山県)의 일부가 의륭현(儀隴県)으로 편입.[1]
광안현(広安県)의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1]
1954년 2월 15일광안현(広安県)의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4년 5월 20일광안현(広安県)의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4년 6월 11일의륭현(儀隴県)의 일부가 영산현(営山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4년 9월 17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4년 11월수녕전구(遂寧専区) 염정현(塩亭県)의 일부가 남부현(南部県)으로 편입.[1]
악지현(岳池県)의 일부가 강진전구(江津専区) 합천현(合川県)으로 편입.[1]
1955년 5월 27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난충시(南充市)로 편입. (1시 11현)[1]
1955년 12월 15일면양전구(綿陽専区) 왕창현(旺蒼県)의 일부가 창계현(蒼渓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5년 12월수녕전구(遂寧専区) 봉계현(蓬渓県)의 일부가 난충현(南充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6년 5월 31일창계현(蒼渓県)의 일부가 면양전구(綿陽専区) 왕창현(旺蒼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6년 10월낭중현(閬中県)의 일부가 의륭현(儀隴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7년 1월 29일달현전구(達県専区) 평창현(平昌県)의 일부가 영산현(営山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7년 7월 13일악지현(岳池県)・난충시(南充市)의 각 일부가 난충현(南充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7년 10월 11일낭중현(閬中県)의 일부(조벽향(棗碧郷)의 일부)가 창계현(蒼渓県)으로 편입.[1]
창계현(蒼渓県)의 일부(칠수향(七樹郷)의 일부)가 낭중현(閬中県)으로 편입.[1]
1957년 11월 16일낭중현(閬中県)의 일부가 의륭현(儀隴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58년 1월 30일낭중현(閬中県)의 일부(조벽향(棗碧郷)의 일부)가 창계현(蒼渓県)으로 편입.[1]
창계현(蒼渓県)의 일부(칠수향(七樹郷)의 일부)가 낭중현(閬中県)으로 편입.[1]
1959년 6월 24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63년 2월 14일창계현(蒼渓県)의 일부가 낭중현(閬中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65년 7월 2일면양전구(綿陽専区) 봉계현(蓬渓県)의 일부가 난충현(南充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68년 9월난충전구(南充専区)가 난충지구(南充地区)로 개칭. (1시 11현)[1]
1973년 12월 17일면양지구(綿陽地区) 염정현(塩亭県)의 일부가 남부현(南部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74년 11월난충시(南充市)의 일부가 난충현(南充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75년 1월 9일의륭현(儀隴県)의 일부가 달현지구(達県地区) 평창현(平昌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77년 4월 26일면양지구(綿陽地区) 검각현(剣閣県)의 일부가 창계현(蒼渓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78년 1월 23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78년 5월 12일남부현(南部県)의 일부가 의륭현(儀隴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79년 4월 29일난충현(南充県)의 일부가 악지현(岳池県)으로 편입. (1시 11현)[1]
1979년 10월 5일광안현(広安県)・악지현(岳池県)의 각 일부가 합병하여, 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가 발족. (1시 11현 1공농구)[1]
1983년 3월 3일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가 충칭시(重慶市)로 편입. (1시 11현)[1]
1983년 9월 9일충칭시(重慶市) 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를 편입. (1시 11현 1공농구)[1]
1984년 1월 26일낭중현(閬中県)의 일부가 남부현(南部県)으로 편입. (1시 11현 1공농구)[1]
1985년 2월 4일화운공농구(華雲工農区)가 시제를 시행하여, 화잉시(華鎣市)가 됨. (2시 11현)[1]
1985년 9월 9일창계현(蒼渓県)이 광원시(広元市)로 편입. (2시 10현)[1]
1991년 1월 12일낭중현(閬中県)이 시제를 시행하여, 낭중시(閬中市)가 됨. (3시 9현)[1]
1993년 7월 2일난충지구(南充地区)가 지급시인 난충시(南充市)로 승격.[1]


3. 지리 및 기후

난충시는 쓰촨성 북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다저우시, 서쪽은 몐양시와 쑤이닝시, 북쪽은 광위안시와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구릉 지대이다. 전체 면적의 25%가 산림으로 덮여있다. 장강의 지류인 자링강이 난충을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그 밖에 총 유역 면적이 30km2가 넘는 30개의 강이 있다.

난충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wa'')를 보이며, 쓰촨 분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일년 내내 높은 습도를 보인다. 겨울은 짧고 온화하며, 여름은 길고 덥고 습하다. 연평균 기온은 17.7°C이고 1월 평균기온은 6.6°C, 8월 평균기온은 27.8°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010mm이다. 서리는 드물고, 무상 기간은 290~320일이다.[9]

연간 강수량의 70% 이상이 5월부터 9월까지 발생한다. 월별 일조 시간은 12월 약 9%에서 8월 47%까지이며, 연간 일조 시간은 1,135시간에 불과하다. 봄(3~4월)은 가을(10~11월)보다 낮에 더 햇볕이 좋고 따뜻한 경향이 있다.

난충시 (가오핑구)의 기후(1991년~2020년 평균, 1971년~현재 극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9.4°C12.6°C17.6°C23.4°C26.9°C29.2°C32.3°C32.7°C27.2°C21.3°C16.3°C10.5°C
일 평균 기온 (°C)6.6°C9.1°C13.3°C18.5°C22.1°C24.9°C27.8°C27.6°C23.1°C17.9°C13.1°C8°C
평균 최저 기온 (°C)4.4°C6.6°C10.2°C14.8°C18.4°C21.6°C24.3°C24°C20.3°C15.7°C10.9°C6.1°C
역대 최고 기온 (°C)19.4°C23.5°C31.6°C35.2°C37.2°C36.8°C39.6°C42.8°C41.9°C34.1°C27.6°C17.4°C
역대 최저 기온 (°C)-2.8°C-0.9°C1.2°C4.9°C9.5°C14.3°C18°C17.4°C13.3°C3.5°C1.5°C-3.4°C
평균 강수량 (mm)15.5mm17.5mm38.3mm75.9mm119.4mm162.4mm175.1mm147mm121.3mm85.6mm36.6mm16mm
평균 상대 습도 (%)837974737379777481858485
평균 강수일수 (≥ 0.1 mm)9.08.39.911.413.713.912.310.013.515.210.28.4
평균 일조 시간34.647.487.8126.7129.4116.6165.6180.8100.563.251.529.3
월별 일조율 (%)11152333302839442718169



자료 출처 1: 중국 기상청[10][11] 역대 최고 기온[12]

자료 출처 2: 날씨 중국[13]

3. 1. 지리

난충시는 쓰촨성 북동부에 위치하며, 동쪽은 다저우시, 서쪽은 몐양시와 쑤이닝시, 북쪽은 광위안시와 인접해 있다.

이 지역의 대부분은 구릉 지대이다. 전체 면적의 25%가 산림으로 덮여있다. 장강의 지류인 자링강이 난충을 남북으로 가로지르고 그 밖에 총 유역 면적이 30km2가 넘는 30개의 강이 있다.

연평균 기온은 17.7°C이고 1월 평균기온은 6.6°C, 8월 평균기온은 27.8°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010mm이다.

3. 2. 기후

난충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wa'')를 보이며, 쓰촨 분지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일년 내내 높은 습도를 보인다. 겨울은 짧고 온화하며, 여름은 길고 덥고 습하다. 월별 24시간 평균 기온은 1월 6.6°C에서 7월 27.8°C 사이이며, 연평균 기온은 17.7°C이다. 서리는 드물고, 무상 기간은 290~320일이다.[9]

연간 강수량 1010mm의 70% 이상이 5월부터 9월까지 발생한다. 월별 일조 시간은 12월 약 9%에서 8월 47%까지이며, 연간 일조 시간은 1,135시간에 불과하다. 봄(3~4월)은 가을(10~11월)보다 낮에 더 햇볕이 좋고 따뜻한 경향이 있다.

난충시 (가오핑구)의 기후(1991년~2020년 평균, 1971년~현재 극값)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9.4°C12.6°C17.6°C23.4°C26.9°C29.2°C32.3°C32.7°C27.2°C21.3°C16.3°C10.5°C
일 평균 기온 (°C)6.6°C9.1°C13.3°C18.5°C22.1°C24.9°C27.8°C27.6°C23.1°C17.9°C13.1°C8°C
평균 최저 기온 (°C)4.4°C6.6°C10.2°C14.8°C18.4°C21.6°C24.3°C24°C20.3°C15.7°C10.9°C6.1°C
역대 최고 기온 (°C)19.4°C23.5°C31.6°C35.2°C37.2°C36.8°C39.6°C42.8°C41.9°C34.1°C27.6°C17.4°C
역대 최저 기온 (°C)-2.8°C-0.9°C1.2°C4.9°C9.5°C14.3°C18°C17.4°C13.3°C3.5°C1.5°C-3.4°C
평균 강수량 (mm)15.5mm17.5mm38.3mm75.9mm119.4mm162.4mm175.1mm147mm121.3mm85.6mm36.6mm16mm
평균 상대 습도 (%)837974737379777481858485
평균 강수일수 (≥ 0.1 mm)9.08.39.911.413.713.912.310.013.515.210.28.4
평균 일조 시간34.647.487.8126.7129.4116.6165.6180.8100.563.251.529.3
월별 일조율 (%)11152333302839442718169



자료 출처 1: 중국 기상청[10][11] 역대 최고 기온[12]

자료 출처 2: 날씨 중국[13]

4. 행정 구역

난충시 현급 행정구역도


난충 시는 3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5개의 현을 관할한다.

이름한자한어 병음인구 (2010년)면적 (km2)인구 밀도 (/km2)
순칭구顺庆区Shùnqìng Qū635,999545km21,167
가오핑구高坪区Gāopíng Qū585,769812km2721
자링구嘉陵区Jiālíng Qū691,4891170km2591
랑중시阆中市Lángzhōng Shì870,7081877km2464
난부현南部县Nánbù Xiàn1,275,7482305km2553
잉산현营山县Yíngshān Xiàn926,9401633km2568
펑안현蓬安县Péng'ān Xiàn702,3361334km2526
이룽현仪陇县Yílǒng Xiàn1,088,2661695km2642
시충현西充县Xīchōng Xiàn643,8181108km2581


5. 경제

난충의 경제는 농업과 제조업, 그리고 천연자원 개발이 주를 이룬다.

농업은 난충 경제의 기둥으로, 인구의 80%가 농촌에 거주하며 전통적인 농업 활동에 종사한다. 주요 농산물은 쌀, 오렌지, 누에, 돼지고기 등이며, 이들은 관련 제조업의 원재료로 사용된다.[16]

주요 제조품으로는 석유 제품, 자동차 및 부품, 기계 설비, 섬유, 건축 자재 등이 있다.[17]

난충은 석유와 천연 가스 매장량이 풍부하고, 중국 서부 최대 점판암 광산이 있다. 자링강과 그 지류의 댐들은 수력 발전 잠재력이 크다. 또한, 난충은 저렴한 이주 노동자의 주요 공급원으로서 인적 자원이 풍부하다.[18]

5. 1. 농업

난충 경제에서 농업은 기둥과 같은 역할을 한다. 난충 인구의 80%가 농촌에 살면서 전통적인 농업 활동에 종사하고 있다. 난충의 제조업 또한 농업에서 나오는 원재료를 사용한다.[16]

난충의 주요 농산물은 식량이다. 쌀, 오렌지, 누에, 돼지고기 등이 대량으로 생산되어 관련 제조업을 지원한다.[16]

5. 2. 제조업

난충시의 주요 제조품은 석유 제품, 자동차 및 부품, 기계 설비, 섬유, 건축 자재 등이다.[17]

5. 3. 천연 자원

난충에서는 많은 양의 석유와 천연 가스가 발견되었고 중국 서부의 가장 큰 점판암 광산이 있다. 자링강과 그 지류의 댐들은 전력 생산 확대의 많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난충의 가장 큰 자원은 인적 자원으로, 난충은 저가 이주 노동자의 주요 공급지 중 하나이다.[18]

6. 교통

난충의 교통은 광범위한 도로, 철도, 항공 교통망 덕분에 쓰촨성의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서 꽤 편리하다.

난충은 고대에 전통적인 운송 중심지였으나, 현대에는 자링강이 배 운항에 적합하지 않다.

6. 1. 도로

난충은 쓰촨성 북부의 교통 요지로, 318번 국도와 212번 국도가 교차한다. 청두, 광안을 연결하는 청난 고속도로와 난광 고속도로가 건설 중이다.

난충시의 주요 도로
종류번호 및 명칭비고
고속도로
후룽 고속도로
고속도로
란하이 고속도로
난우 고속도로, 난위 고속공로, 成巴高速公路|청바 고속도로중국어 겸함. 쓰촨성 구간: 간쑤성 경계 - 난충 구간 계획·건설 중, 난충 - 충칭 구간 개통.
고속도로
인쿤 고속도로
고속도로
张南高速公路|장난 고속도로중국어
고속도로
成巴高速公路|청바 고속도로중국어
成德南高速公路|청더난 고속도로중국어 겸함.
고속도로
遂西高速公路|쑤이시 고속도로중국어
고속도로
西绵高速公路|시몐 고속도로중국어
고속도로청난 고속공로, 난광 고속공로, 위난 고속공로, 랴오청 고속도로
국도
국도 212호선,
245国道|국도 245호선중국어,
305国道|국도 305호선중국어,
국도 318호선
성도
101성도,
203성도,
204성도


6. 2. 철도

다저우-청두 철도는 난충을 경유하여 청두와 다저우를 연결한다. 2015년에 개통된 충칭-란저우 철도는 란저우(간쑤성)와 충칭을 연결하여 난충을 쓰촨성 북동부의 철도 허브로 만들 것이다. 난충 기차역은 상하이, 베이징, 충칭, 우한, 청두, 선전과 같은 지역 및 국가 경제 중심지로 여객 및 화물 서비스를 제공한다.[1]

  • - 중국철로총공사
  • 중국철로 청두국 집단공사
  • * 달성선 (다저우 방면 - 南充站|난충역중국어 - 청두 방면)
  • * 란위선 (란저우 방면 - 阆中站|랑중역중국어 - 南充站|난충역중국어 - 충칭 방면)

6. 3. 항공

난충 가오핑 공항은 더 큰 비행기를 수용할 수 있으며,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선전, 쿤밍, 시안, 싼야로 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1] 1950년대에 건설된 구 난충 공항은 2003년에 폐쇄되었다.[1]

7. 인물

8. 교육

난충시에는 서남석유대학교, 중국 서부 사범대학교, 북사천 의과대학, 난충 직업 기술 대학, 서남교통대학교 희망학원 등 5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다. 이외에도 난충 문화 관광 직업 대학, 난충 영화 산업 직업 아카데미, 난충 과학 기술 직업 대학, 난충 기술자 대학이 있다.

난충시의 중등 교육은 쓰촨성 최고 수준으로 꼽힌다. 난충시 고등학교, 난충 제1중학교, 난충 제10중학교, 난충 바이타 고등학교, 랑중 중학교, 난부 중학교, 이롱 중학교 등이 유명하다.

난충시 제5중학교, 난충 제7중학교, 난충 제9중학교, 난충 시옌 중학교, 난충 가오핑 중학교 등은 잘 알려진 중학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China: Sìchuān (Prefectures, Cities, Districts and Counties) - Population Statistics, Charts and Map http://www.citypopul[...]
[2] 서적 《四川统计年鉴-2016》 中国统计出版社
[3] 웹사이트 南充市 http://www.xzqh.org/[...] XZQH 2008-05-17
[4] 웹사이트 南充市第七次全国人口普查公报-南充市人民政府 https://www.nanchong[...] 2024-06-21
[5] 웹사이트 南充市地情 https://www.scdfz.or[...]
[6] 웹사이트 建制沿革-南充市人民政府 https://www.nanchong[...] 2024-06-21
[7] 웹사이트 市情概览-南充市人民政府 https://www.nanchong[...] 2024-06-21
[8] 웹사이트 自然资源-南充市人民政府 https://www.nanchong[...] 2024-06-21
[9] 웹사이트 南充城市介绍 http://www.weather.c[...]
[10]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4-14
[11] 웹사이트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4-14
[12] 웹사이트 Extreme Temperatures Around the World http://www.mherrera.[...] 2024-11-20
[13] 웹사이트 南充 - 气象数据 -中国天气网 http://www.weather.c[...] Weather China 2022-11-26
[14] 웹사이트 2022年南充市国民经济和社会发展统计公报-南充市人民政府 https://www.nanchong[...] 2024-06-21
[15] 웹사이트 走进顺庆_顺庆区人民政府 https://www.shunqing[...] 2024-06-21
[16] 웹사이트 南充农业信息网 http://www.ncagri.go[...] 2009-01-17
[17] 웹사이트 南充市公众信息网 http://www.nanchong.[...] 2009-01-17
[18] 웹사이트 南充市人民政府 http://www.nanchong.[...] Nanchong.gov.cn 2022-03-23
[19] 문서 四川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20] 문서 川北医学院 HP(中文) https://www.nsmc.edu[...]
[21] 문서 西华师范大学 HP(中文) https://www.cwnu.edu[...]
[22] 문서 西南交通大学希望学院 HP(中文) http://www.swjtuhc.c[...]
[23] 문서 中国語名:閬中古城 在中国日本国大使館 HP https://www.chongqin[...]
[24] 문서 川北医学院附属医院 HP(中文) http://www.hospital-[...]
[25]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3-04-14
[26] 웹인용 中国气象数据网 https://experience.a[...] 중국기상국 2023-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