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방납작꼬리도마뱀붙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방납작꼬리도마뱀붙이는 마다가스카르에 고유한 도마뱀붙이류로, 꼬리가 납작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학명은 'Uroplatus sikorae'이며, 독일의 동물학자 오스카어 뵈트거가 처음 기술했지만, 그가 사망한 지 3년 후에 발표되었다. 이 도마뱀붙이는 위장색을 띠며, 주변 환경에 맞춰 피부색을 바꿀 수 있으며, 야행성, 수목성 생활을 한다. 곤충류, 절지동물, 소형 파충류 등을 먹으며, 사육 시에는 곤충을 먹이고 번식이 가능하다. 서식지 파괴와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남획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으며, CITES 부속서 II로 보호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카어 뵈트거가 명명한 분류군 - 금가루낮도마뱀붙이
금가루낮도마뱀붙이는 짧고 넓적한 머리와 작은 눈, 좁은 주둥이, 가늘고 긴 꼬리를 가진 6.5cm까지 자라는 도마뱀붙이의 일종으로, 몸은 회색, 갈색, 황갈색을 띠며 반점이 있고 발가락에 빨판이 있다. - 오스카어 뵈트거가 명명한 분류군 - 올리브낮도마뱀붙이
올리브낮도마뱀붙이는 밤에 활동하며 곤충, 작은 도마뱀, 식물을 섭취하는 야행성 도마뱀붙이이다. - 납작꼬리도마뱀붙이속 - 사마이트납작꼬리도마뱀붙이
마다가스카르 동부에 서식하는 야행성 도마뱀붙이류인 사마이트납작꼬리도마뱀붙이는 뛰어난 위장술로 포식자를 피하며, 다른 납작꼬리도마뱀붙이들과 함께 단일계통적 복합체를 이루고 곤충, 절지동물, 육지 달팽이를 섭취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납작꼬리도마뱀붙이속 - 사탄잎꼬리도마뱀붙이
사탄잎꼬리도마뱀붙이는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으로 잎이나 나무껍질처럼 위장하는 야행성 도마뱀붙이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멸종 위협에 직면하여 국제 거래 규제 및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913년 기재된 파충류 - 동쪽검은머리비늘발도마뱀
동쪽검은머리비늘발도마뱀은 호주 동부에 분포하는 야행성 도마뱀으로, 꼬리를 자르는 능력이 있으며 절지동물을 사냥하고 맹금류 등에게 포식당하며 멸종위기종으로 보존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913년 기재된 파충류 - 코모르낮도마뱀붙이
코모르낮도마뱀붙이는 코모로 제도의 그랑드코모르 섬 고지대에 서식하며, 올리브 녹색 몸에 적갈색과 검은색 줄무늬가 있고 곤충, 무척추동물, 과일 등을 섭취하며 살아있는 식물과 대나무 줄기가 있는 환경에서 사육하는 소형 도마뱀붙이이다.
남방납작꼬리도마뱀붙이 | |
---|---|
지도 정보 | |
분류 | |
학명 | Uroplatus sikorae |
명명자 | Boettger, 1913 |
이명 | Uroplates sikorae Boettger, 1913 Uroplatus fimbriatus sikorae — Mertens, 1933 Uroplatus sikorae — Glaw & Vences, 1994 |
한국어 이름 | ヤマビタイヘラオヤモリ (Yamabitaiheraoyamori), ヤマビタイヘラオヤモリ |
영어 이름 | Mossy leaf-tail gecko |
보전 상태 | |
IUCN | [[파일:Status_iucn3.1-LC.svg|link=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72820/6924215|22x20px]] 낮은 위험 (LC) |
IUCN 참고 |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72820/6924215 |
사이테스 | 2 |
사이테스 참고 | http://www.koreacbdchm.kr/cites/selectCitesView.do?citesNo=5541&popMenu=popup |
형태 | |
![]() | |
![]() | |
분포 | |
![]() |
2. 어원
속명 ''Uroplatus''는 "꼬리"를 뜻하는 그리스어 "ourá" (οὐρά) 와 "납작한"을 뜻하는 "platys" (πλατύς)를 라틴어화한 것이다.[15] 종명 ''sikorae''는 마다가스카르를 탐험한 오스트리아 출신의 화석 수집가이자 탐험가인 Franz Sikora (Forschungsreisender)|프란츠 시코라de의 성을 라틴어화한 것이다.[3]
이 종은 독일의 동물학자 오스카어 뵈트거(:en:Oskar Boettger)가 최초로 기술하였지만, 그가 죽은 지 3년이 지나서야 발표되었다.[16] ''U. sikorae'' 의 전체 복합체는 분류 개정을 필요로 하며, 새로운 종들을 포함하게 될지도 모른다.[17]
남방납작꼬리는 마다가스카르 고유종으로,[21] 마다가스카르 동부, 중부 열대우림의 일차림(:en:Old growth forest)과 이차림(:en:Secondary forest)에 서식한다.[1][9] 산지의 숲에 서식한다.
남방납작꼬리도마뱀붙이는 꼬리까지 15cm에서 20cm에 달한다. 눈은 크고 눈꺼풀이 없으며, 동공은 타원형이고 공막은 노란색이어서 야행성 습성에 적합하다. 다른 납작꼬리도마뱀붙이류처럼 꼬리가 위아래로 납작하다. 남방납작꼬리는 위장색을 띠며, 회갈색에서 검은색, 녹갈색 바탕에, 나무껍질과 그 위에 서식하는 지의류, 이끼를 닮은 다양한 무늬를 띤다.[22][23]
남방납작꼬리는 야행성, 수목성(:en:arboreal) 동물이다. 이 도마뱀붙이류는 나무 위에 살면서 타고난 위장색에 의존한다.[21] 햇볕이 내리쬘 때는 대부분의 시간을 나무줄기에 수직으로 매달려서 머리를 아래로 하고 휴식하며, 밤에는 먹이를 찾아 떠난다.[24] 주변 환경에 맞춰 피부 색깔을 바꿀 수 있으며, 휴식을 취할 때 가장자리를 알아보기 어렵게 해주는 옆구리덮개(dermal flap)가 돋아나있다.
남방납작꼬리는 흔히 사육되는 종은 아니며, 보통 두세 마리 번식쌍으로 묶어 함께 사육한다. 귀뚜라미나 나방 따위의 적당한 크기의 다양한 곤충을 섭취하며, 주기만 한다면 달팽이도 먹는다. 사육시에 성공적으로 교미가 이루어진다면 30일마다 산란하여 90일 후에 부화할 것이다.
마다가스카르의 탈산림화와 서식지 파괴, 애완동물 거래를 위한 남획은 남방납작꼬리도마뱀붙이에게 주요한 위협이다.[25] 세계 자연 기금(WWF)은 납작꼬리도마뱀붙이속의 모든 종들을 불법 야생동물 교역으로 고통받는 "10대 긴급 수배종 목록"에 등재했는데, 이 녀석들이 "국제적인 애완동물 교역 과정에서 남획되고 팔려나가는 게 위험한 수준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 녀석들은 CITES 부속서 II로 보호받고 있다.[25][12]
[1]
간행물
"''Uroplatus sikorae''"
2022-12-11
3. 분류
납작꼬리도마뱀붙이속은 마다가스카르에 고유한 14 종을 포함한다. 사마이트납작꼬리는 2007년까지 남방납작꼬리의 아종으로 여겨졌지만, 남방납작꼬리의 짙은 구강점막 색깔과는 달리 밝은 색을 띠었기 때문에 종으로 승격하였다.[18] 이후의 출판은 별개의 종으로 서술하였으며, 분자학적으로도 별개라는 게 입증되었다.[19] 하지만 좀 더 이후의 대부분의 납작꼬리도마뱀붙이속의 분류에 대한 평가에 따르면,[19] 구강점막의 색깔은 두 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될 수 없다는 게 밝혀졌는데, 점막 색깔이 밝은 남방납작꼬리 개체가 존재하기 때문이다.[19] 오늘날 둘을 형태적으로 구분하는 것은 어려운 상태다.
계통학적으로 ''U. sikorae''는 ''U. fimbriatus, U. giganteus, U. henkeli'', ''U. sameiti''와 함께 단형 복합체를 이룬다.[20] 이 복합체는 하나의 큰 종을 이룬다.[19][20]
1990년에는 아종인 ''Uroplatus sikorae sameiti''가 뵈메와 이비쉬에 의해 기술되었다.
4. 분포와 서식지
5. 형태
남방납작꼬리는 옆부분에 머리에서 꼬리까지 일렬로 피부가 삐죽삐죽하게 늘어나있는데, 이를 옆구리덮개(dermal flap)라고 부르며, 낮에 나무줄기 위에서 쉴 때 그림자를 흩어버려 가장자리를 알아보기 어렵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주변 환경에 맞춰 피부색을 살짝이지만 바꿀 수도 있다.[11][10]
6. 생태와 행동
산지의 숲에 서식하며, 낮에는 사지를 벌려 나무 가지나 줄기에 밀착하여 움직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식성은 동물성으로 곤충류, 절지동물, 소형 파충류, 복족류 등을 먹는다. 번식 형태는 난생으로, 한 번에 2개씩의 알을 여러 번에 걸쳐 땅에 낳는다.
7. 사육
마다가스카르에서는 악마의 사자로 여겨져 혐오받고 있다.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사육 하에서의 번식 사례도 있으며, 소수이지만 번식 개체도 유통된다.
해발이 높은 숲에 서식하며 다습한 환경을 좋아하므로, 일본의 경우 여름에는 고온, 겨울에는 건조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2005년에 속 단위로 CITES 부속서 II에 기재되어 마다가스카르로부터의 생물 수출이 감소 경향에 있으므로, 유통량은 앞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8. 위협 요인 및 보존 상태
마다가스카르에서는 악마의 사자로 여겨져 혐오받고 있다. 애완동물로 사육되기도 하며, 일본에도 수입되고 있다. 사육 하에서의 번식 사례도 있으며, 소수이지만 번식 개체도 유통된다. 2005년에 속 단위로 CITES 부속서 II에 기재되어 마다가스카르로부터의 생물 수출이 감소 경향에 있으므로, 유통량은 앞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참조
[2]
문서
[3]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Reptilien und Amphibien von Madagascar, den Inseln und dem Festland Ostafrikas''"
E. Schweizerbart'sche Verlagsbuchhandlung, Nägele & Dr. Sproesser
[5]
서적
A Field Guide to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Madagascar
Vences & Glaw Verlags
2018-12
[6]
논문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small numbers of occurrence records: a test case using cryptic geckos in Madagascar
[7]
논문
An overview of Madagascar's leaf tailed geckos (genus ''Uroplatus''): species boundaries, candidate species, and review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based on molecular data
[8]
논문
A phylogeny of the enigmatic Madagascan geckos of the genus ''Uroplatus''
[9]
서적
Madagascar Wildlife: A Visitor's Guide
Bradt Travel Guides
[10]
웹사이트
A Naturalist's Paradise
http://discovermagaz[...]
Discover Magazine
2005-03-31
[11]
서적
Lizards: Windows to the Evolution of Diversi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2]
웹사이트
Inclusion of ''Uroplatus spp.'' in Appendix II
http://www.cites.org[...]
CITES
2008-11-02
[13]
웹사이트
IUCN Red List
http://www.iucnredli[...]
2012-02-16
[14]
문서
"''Uroplatus sikorae'' Boettger, 1913 이끼나뭇잎도마뱀부치"
[15]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https://books.googl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6]
간행물
"''Reptilien und Amphibien von Madagascar, den Inseln und dem Festland Ostafrikas''"
[17]
서적
A Field Guide to the Amphibians and Reptiles of Madagascar
Vences & Glaw Verlags
2018-12
[18]
논문
Predicting species distributions from small numbers of occurrence records: a test case using cryptic geckos in Madagascar
[19]
논문
An overview of Madagascar's leaf tailed geckos (genus ''Uroplatus''): species boundaries, candidate species, and review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based on molecular data
[20]
논문
A phylogeny of the enigmatic Madagascan geckos of the genus ''Uroplatus''
[21]
서적
Madagascar Wildlife: A Visitor's Guide
https://archive.org/[...]
Bradt Travel Guides
[22]
서적
Lizards: Windows to the Evolution of D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웹인용
A Naturalist's Paradise
http://discovermagaz[...]
Discover Magazine
2008-10-31
[24]
서적
Lizards: Windows to the Evolution of D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5]
웹인용
Inclusion of ''Uroplatus spp.'' in Appendix II
http://www.cites.org[...]
CITES
2008-11-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