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도서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산도서관은 일제강점기인 1922년 10월 5일 '경성부립도서관'으로 개관한 대한민국 최초의 공립 공공도서관이다. 명동에서 소공동으로 이전 후, 해방 이후 서울시립 남대문도서관으로 불리다가 1963년 후암동으로 이전했다. 1988년 상설문화전시실 개실, 1998년 장애인열람실 개관, 2001년 디지털자료실 확충 등의 변화를 거쳤으며, 2015년 3층에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을 개관했다. 현재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사회의 문화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2년 설립된 도서관 - 알바니아 국립도서관
알바니아 국립도서관은 1920년에 설립되어 알바니아의 기록된 문화 유산을 수집, 보존하고 공개하는 주요 기관으로, 110만 권이 넘는 장서를 소장하며 국제 도서관 협회 연맹 회원으로 활동하고 국립 서지 발행 및 도서관 네트워크 발전에 기여한다. - 1922년 설립된 도서관 - 인천광역시미추홀도서관
인천광역시미추홀도서관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위치하며, 월요일, 공휴일, 임시 휴관일에 휴관하고, 도서관 홈페이지 및 열람실에서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 열람 및 학습 공간을 제공하는 도서관이다. - 1964년 완공된 건축물 - 예당저수지
예당저수지는 예산군과 당진시에 걸쳐있는 저수지로,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며 낚시터와 수상 스포츠 시설, 예당호 출렁다리 등의 관광 명소이다. - 1964년 완공된 건축물 - 교토 타워
교토역 북쪽에 위치한 교토 타워는 1964년 완공된 131m 높이의 전망 타워로, 독특한 강철 링 구조와 360도 파노라마 전망을 제공하며 현재는 교토의 랜드마크이자 복합 시설로 운영되고 있다. - 서울특별시교육청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특별시의 공립 종합대학교인 서울시립대학교는 경성공립농업학교로 시작하여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도시과학 특성화 대학으로서 도시 관련 학문 분야에 강점을 가지고 서울특별시의 지원으로 낮은 등록금과 높은 장학금 수혜율을 유지하고 대한민국 최초로 반값 등록금을 시행하였다. - 서울특별시교육청 -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
서울특별시서부교육지원청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마포구, 은평구의 초등학교와 중학교를 관할하며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 창의성 및 감수성 함양을 지원하는 교육을 제공한다.
남산도서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도서관 |
이름 | 남산도서관 |
한글 명칭 | 서울특별시립남산도서관 |
한자 명칭 | 서울特別市立南山圖書館 |
로마자 표기 | Seoul teukbyeol Sinip Namsan doseogwa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Sŏul t'ŭkpyŏl Sinip Namsan tosŏkwan |
약칭 한글 명칭 | 남산도서관 |
약칭 한자 명칭 | 南山圖書館 |
약칭 로마자 표기 | Namsan doseogwan |
약칭 매큔-라이샤워 표기 | Namsan tosŏkwan |
![]() | |
상세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소월로 109 (후암동 30-84) |
설립 주체 | 경성부 |
운영 기관 | 서울특별시교육청 |
운영 방식 | 직접 운영 |
구성 | 본관 |
개관 | 1922년 10월 5일 |
장서 수 | 도서자료 44만여 권, 비도서자료 1.1만여 점 |
공식 웹사이트 | 남산도서관 공식 웹사이트 |
2. 연혁
일제강점기 최초의 공립 공공도서관으로 1922년 5월 13일에 공사에 착수하여 10월 5일 '경성부립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중구 명동2가 25에서 개관하였다.[6][7] 구 한성병원의 건물을 개수했고 2층 건물에 60개 열람석을 갖추었다. 1층에는 아동열람실을 두었고, 2층에 사무소를 두었다. 유일한 공공도서관으로 방문객의 수와 서지의 수가 늘어났고, 상업거리에 있어 도서관으로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에 따라 1927년 5월 24일에 중구 소공동 115 당시 대관정으로 이전했고[8] 이듬해에는 3층 건물을 신축했다. 보유한 서적은 초기(1923년) 약 8천 권에서 1932년에는 3만여 권으로 늘어났다.[9]
해방 이후 서울시립 '''남대문도서관'''이라 불렸다. 1963년 7월 새 도서관을 건축하고자 매각되기 전까지 계속 운영되었다. 후암동에 세워진 현재 건물은 설계도안 현상모집을 거친 뒤 이해성(1928-2008)의 안이 선택되었으며, 좌석은 남대문도서관 600여 석에서 1,500석으로 늘고 5층 건물에 시청각 교실, 강당 등 부대시설을 갖추었다.[10] 400여평의 옥상에는 스카이라운지도 조성되었다. 남산도서관 인근에 '애국선열 조상 건립위원회'에 의해 1970년대 초까지 동상이 세워졌다.
1988년에 상설문화전시실이 개실되었으며, 1998년 1월에는 장애인열람실이 열렸다. 2001년에 디지털자료실이 확충되었다. 2002년에는 구조안전진단 실시 결과에 따라 철골기둥을 보강하였다.
2015년 7월 27일부로 남산도서관은 도서관 3층에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을 개관하였다.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은 한국고전부터 시, 평론, 소설, 수필 등 3만여 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489.36m2이다.
2.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최초의 공립 공공도서관으로 1922년 10월 5일 중구 명동2가 25에서 '경성부립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개관하였다.[6][7] 구 한성병원의 건물을 개수했고 2층 건물에 60개 열람석을 갖추었다. 1층에는 아동열람실, 2층에 사무소를 두었다. 유일한 공공도서관으로 방문객과 서지 수가 늘어났고, 상업거리에 있어 도서관으로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에 따라 1927년 5월 24일에 중구 소공동 115(당시 대관정)으로 이전했고[8] 이듬해에는 3층 건물을 신축했다. 보유 서적은 1923년 약 8천 권에서 1932년에는 3만여 권으로 늘어났다.[9]2. 2. 해방 이후
해방 이후 서울시립 '''남대문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0] 1963년 7월까지 중구 소공동에서 운영되다가, 새 도서관 건축을 위해 건물이 매각되었다.[10] 현 위치인 용산구 후암동에 새 건물을 신축하여 이전하였다. 새 건물은 설계도안 현상모집을 거쳐 이해성(1928-2008)의 안이 채택되었다.[10] 좌석 수는 기존 600여 석에서 1,500석으로 증가하였고, 5층 건물에 시청각 교실, 강당 등 부대시설을 갖추었다.[10] 400여 평의 옥상에는 스카이라운지도 조성되었다. 1970년대 초까지 남산도서관 인근에 '애국선열 조상 건립위원회'에 의해 동상이 세워졌다.1988년에 상설문화전시실이 개실되었으며, 1998년 1월에는 장애인열람실이 열렸다. 2001년에 디지털자료실이 확충되었다. 2002년에는 구조안전진단 실시 결과에 따라 철골기둥을 보강하였다.
2. 3. 현대
1988년에 상설문화전시실이 개실되었으며, 1998년 1월에는 장애인열람실이 열렸다. 2001년에 디지털자료실이 확충되었다. 2002년에는 구조안전진단 실시 결과에 따라 철골기둥을 보강하였다.2015년 7월 27일 남산도서관은 3층에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을 개관하였다. 한국문학 전문자료관은 한국 고전부터 현대 문학까지 시, 평론, 소설, 수필 등 3만여 권의 도서를 소장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489.36m2이다.
3. 시설
3. 1. 한국문학 전문자료관
3. 2. 기타 시설
4. 프로그램
남산도서관은 일반적인 도서관 서비스 외에도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11] 다문화 가정 자녀를 위한 다문화 코너를 운영하며, 시민들을 위한 인문학 강좌, 작가와의 만남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지역 사회의 문화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다른 일반 도서관과는 달리, 어린이 도서관, 어린이실, 청소년실은 운영하지 않는다.[11]
참조
[1]
웹사이트
Namsan Public Library, Korea's first public library
http://english.seoul[...]
2022-07-17
[2]
웹사이트
Welcoming remarks
http://www.namsanlib[...]
The Namsan Public Library
2008-06-28
[3]
웹사이트
The Mecca of literature, Namsan public library
http://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2015-08-13
[4]
웹사이트
서울시 도서관 길잡이
http://lib.seoul.go.[...]
[5]
웹인용
남산도서관 도서관안내:인사말
http://www.namsanlib[...]
2008-11-11
[6]
텍스트
[7]
뉴스인용
대규모의 도서관 오늘부터 역사
매일신보
1922-05-13
[8]
뉴스
京城圖書館移轉, 長谷川町 大觀亭으로
동아일보
1927-05-18
[9]
웹사이트
경성부립도서관(京城府立圖書館)
http://seoul600.seou[...]
[10]
뉴스
南山(남산)에서 起工式올리고 現代化될 市立圖書舘
경향신문
1963-11-27
[11]
뉴스
서울교육청 남산도서관, 남산 중턱 '문학의 요람'…독서치료도 자랑거리
한국경제
2015-08-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