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송 도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송 도종은 남송 제6대 황제로, 이종의 후사로 지명되어 1264년 즉위했다. 그는 주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고, 가사도에게 국정을 위임하여 사실상 괴뢰 황제와 같았다. 몽골의 침략으로 국세가 위협받는 상황에서도 사치스러운 생활을 하며, 1273년 양양 함락 이후 남송은 멸망의 위기에 놓였다. 1274년 3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조현(공종)이 즉위했다. 도종은 멸망을 늦추거나 막을 수 있었던 마지막 황제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송나라의 황제 - 조홍은
조홍은 뛰어난 기마궁술 실력으로 후당 장종 치하에서 무관으로 활동했으며, 이존욱을 지원하고 두씨 부인과 결혼하여 북송의 황실 조광윤 등을 낳았다. - 송나라의 황제 - 조윤양
조윤양은 북송 태종의 손자이자 진종의 양자로, 인종의 뒤를 이어 황위를 계승한 영종의 아버지로서 복왕으로 추존되었으나 묘호는 받지 못한 종실이자 관료이다. - 1240년 출생 - 치마부에
치마부에는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초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활동하며 비잔틴 미술의 영향을 받아 서양 회화의 중세에서 르네상스 시기 전환에 기여했고, 조토 디 본도네의 스승으로 알려져 있다. - 1240년 출생 - 교황 베네딕토 11세
도미니코회 총장 출신으로 제194대 교황에 오른 베네딕토 11세는 짧은 재임 기간 동안 보니파시오 8세의 파문 철회, 프랑스와 잉글랜드 휴전 중재, 새 추기경 임명, 성경 주석 집필 등의 활동을 펼쳤으며 사후 복자로 시복되었다. - 남송의 황제 - 남송 고종
고종은 금나라의 침략으로 북송이 멸망한 후 남송을 건국하고 군사력 강화와 문화 발전에 힘썼으며, 금나라와의 화평을 추구하다가 양위한 남송의 초대 황제이다. - 남송의 황제 - 남송 효종
남송 효종은 북송 태조의 후손으로 고종의 양자가 되어 남송의 제2대 황제가 되었으며, 정치 개혁과 경제 안정, 금나라와의 화의를 통해 남송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나 만년에는 광종과의 불화로 어려움을 겪었다.
남송 도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조맹기 (趙孟啟) (1240–1251) 조자 (趙孜) (1251–1253) 조기 (趙禥) (1253–1274) |
묘호 | 도종(度宗) |
시호 | 단문명무경효황제(端文明武景孝皇帝) |
생년월일 | 1240년 5월 2일 |
출생지 | 송나라 소흥 |
사망일 | 1274년 8월 12일 |
사망지 | 송나라 임안 (현재의 중국 저장성 항저우) |
능묘 | 영소릉 (永紹陵, 현재의 소흥, 저장) |
![]() | |
재위 정보 | |
군주 | 송나라 황제 |
재위 기간 | 1264년 11월 16일 – 1274년 8월 12일 |
즉위 | 1264년 11월 16일 |
이전 군주 | 송 이종 |
다음 군주 | 송 공제 |
연호 | 함순(咸淳; 1265–1274) |
가계 | |
왕조 | 송나라 (남송) |
부친 | 조여예(趙與芮) |
모친 | 황정희(黃定喜) |
배우자 | 전씨 부인 (1261–1274) 양씨 부인 (1274) |
자녀 | 송 단종 송 공제 조병 신안 장의 공주 진정 공주 공주 |
2. 생애
이종의 동생인 영왕(榮王) 조여예의 아들로, 처음 이름은 조맹계(趙孟啟)였다. 이종은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253년에 조맹계를 후사로 들여 충왕(忠王)에 봉했다. 이후 조기(趙禥)로 이름을 바꾸었는데, 조자(趙孜)라는 이름을 받았다는 설도 있다. 1260년에 태자가 되었고, 1264년에 이종이 사망하자 황제 자리에 올랐다.[6]
도종은 주색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아 조정 기강이 무너지고 국방도 위태로워졌다. 가사도는 몽골을 격퇴하고 도종을 황제로 세우는 데 공을 세워 태사(太師)로 임명되었다. 이후 가사도는 국정을 장악하여 사실상 도종은 가사도의 꼭두각시 황제가 되었다. 가사도는 교묘한 정치 수완과 공전법 등 농정 개혁으로 15년간 정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몽골 제국에서 아리크부케를 물리치고 권력을 잡은 쿠빌라이가 다시 남송을 침공하기 시작했다. 남송은 국력을 총동원하여 양양과 번성을 방어했지만, 1268년부터 1273년까지 5년간의 포위전 끝에 함락되었다(양양 공방전). 이로써 남송은 더 이상 상황을 반전시킬 힘을 잃게 되었다.[6]
1274년 35세로 붕어했는데, 사인은 주색(酒色)에 의한 뇌출혈로 여겨진다. 그 후 아들 조현(공제)이 즉위했다.
2. 1. 초기 생애와 즉위 과정
이종의 동생 영왕(榮王) 조여예의 아들로, 초명은 조맹계(趙孟啟)이다.[1][2][3] 1240년(가희 4년) 소흥에서 태어났다.이종에게는 뒤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253년(보우(寶祐) 원년), 후사로 들어가 충왕(忠王)에 봉해졌다. 이어 조기(趙禥)로 개명했는데, 조자(趙孜)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는 설도 있다. 1260년(경정(景定) 원년) 6월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주자학에 기울어져 있던 이종은 후계자 양육에 각별한 신경을 썼고, 도종 역시 엄격한 유교적 교육을 받았다. 1264년(경정 5년) 10월, 이종의 붕어(崩御)로 제6대 황제로서 즉위했다.[5]
어머니가 낙태를 시도했음에도 불구하고(자신의 사회적 지위가 낮다고 생각했기에),[1][2][3] 도종은 1224년에 태어났으며 훗날 송나라 황위 계승자로 지명되었다. 어머니가 낙태 시도로 복용한 약물은 그의 지능, 언어(7세가 될 때까지 말을 하지 못했다고 전해짐), 손과 발의 발달을 저해하여 사용이 서투르게 만드는 등 여러 면에서 영향을 미쳤다.[1][2][4] 그는 유루이의 외아들이었다. 숙부인 조윤처럼, 그는 소흥에서 살았다. 도종은 1253년 그의 백부인 이종 자오윤(趙昀)에 의해 발견되었는데, 그는 아들이 없어 후계자가 없었기 때문에 도종을 양자로 삼고 1260년 황태자로 지명했다.
2. 2. 재위 기간
이종의 동생 영왕(榮王) 조여예(趙與芮)의 아들로, 초명은 조맹계(趙孟啟)이다. 이종에게는 뒤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253년 후사로 들어가 충왕(忠王)에 봉해졌다. 이어 조기(趙禥)로 개명했는데, 조자(趙孜)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다는 설도 있다. 1260년 태자가 되었고, 1264년 이종이 죽자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6]도종은 주색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았고, 이로 인해 조정의 기강이 무너지고 국방 또한 위태로워졌다.
가사도는 몽골을 격퇴하고 도종을 황제로 세우는 데 공을 세워 태사(太師)로 임명되었다. 이후 가사도는 국정을 장악하여 사실상 도종은 가사도의 꼭두각시 황제가 되었다. 가사도는 교묘한 정치 수완과 공전법 등 농정 개혁을 통해 15년간 정권을 장악했다.
그러나 몽골 제국에서 아리크부케를 물리치고 권력을 잡은 쿠빌라이가 다시 남송을 침공하기 시작했다. 남송은 국력을 총동원하여 양양과 번성을 방어했지만, 1268년부터 1273년까지 5년간의 포위전 끝에 함락되었다(양양 공방전). 이로써 남송은 더 이상 상황을 반전시킬 힘을 잃게 되었다.[6] 도종의 치세는 반란, 전쟁, 궁정 내 부패로 얼룩졌다. 많은 관리들이 재상 가사도의 부패를 고발했지만, 도종은 가사도를 "스승"으로 칭하며 신뢰했다. 심지어 가사도가 사임하려 하자 도종은 눈물을 흘리며 무릎을 꿇고 가사도에게 관직에 남아달라고 간청했다고 한다.
도종은 국정과 군사 문제를 모두 가사도에게 맡기고 자신은 술과 여자에 빠져 사치스러운 생활을 했다. 관리들에게 나라의 문제점을 솔직하게 말하라고 했지만, 이는 형식적인 것에 불과했고 곧 자신의 임무를 완전히 소홀히 했다. 더욱이 도종은 성적 욕구가 매우 강했다. 송나라 법에 따르면 황제와 성관계를 맺은 여성은 매일 아침 황제에게 존경을 표해야 했는데, 한때 도종에게 아침마다 경의를 표하는 여성이 30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도종은 가장 총애하는 여성 4명에게 관직 문서를 하사하기도 했다.
몽골은 수십 년 동안 남송의 국경을 침략했고, 마침내 중국 전체를 정복하려 했다. 그러나 도종은 이 문제를 무시하고 향락에 빠져 지냈다. 도종은 샹양시가 몽골군에게 포위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가사도에게 사실 여부를 물었으나, 가사도는 "그런 소식은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라고 답했다. 도종은 "궁녀가 내게 말했소"라고 대답했다.[6]
루원환은 양양 방어를 위해 긴급 증원을 요청하는 사자를 도종에게 보냈다. 사자는 몽골 요새를 통과하여 황제에게 도달했지만, 트레뷰셋의 위력을 들은 황제는 양양이 함락될 것으로 보고 증원을 보내지 않았다. 1274년 벌어진 양양 전투에서 몽골군은 남송의 마지막 거점을 점령하고 파괴했다. 양양 함락 소식은 가사도에 의해 도종에게 의도적으로 숨겨졌다.[6]
도종 즉위 후 실권은 이종 치세 때부터 외척이었던 승상(丞相) 가사도가 장악했고, 도종 역시 나이가 어려 가사도의 전횡을 막지 못했다. 북방에서는 몽골 제국의 전면적인 공세에 직면하여 국력이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1273년에는 남송의 중요 방어 거점이었던 양양이 원군에게 함락되어 남송의 멸망이 확실해졌다.
1274년 35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사인은 주색(酒色)으로 인한 뇌출혈로 여겨진다. 사후 아들 조현(공제)이 즉위했다.
2. 3. 최후
이종의 동생 영왕(榮王) 조여예(趙與芮)의 아들 도종은, 이종에게 뒤를 이을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1264년 이종이 죽자 황제의 자리에 올랐다.황제의 죽음에 대한 보고는 논란이 있다. 일부에서는 도종이 과음으로 죽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역사가 리처드 L. 데이비스(Richard L. Davis)와 다른 자료들은, 도종이 궁궐 의사의 심각한 과실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고 주장한다.[7][8][2] 그의 뒤는 여섯 번째 아들인 조현 (공종)이 이었는데, 그는 당시 겨우 네 살이었다. 도종은 엄밀히 말해 송나라의 마지막 황제는 아니었지만, 역사가들은 그를 왕조의 멸망을 현저히 늦추거나 심지어 막을 수 있었던 마지막 송 황제로 본다. 왜냐하면 공종은 6살의 나이로 2년 후에 강제로 퇴위했기 때문이다. 그의 통치는 재상 가사도의 처형으로 끝났지만, 몽골족이 다가오면서 송나라의 멸망은 불가피했다.
1274년 35세로 붕어했는데, 사인은 주색(酒色)에 의한 뇌출혈로 여겨진다. 그 후 아들 조현(공제)이 즉위했다. 도종은 1275년 1월 영소릉(永紹陵)에 묻혔다.[9]
3. 가족
도종의 가족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성명 | 비고 |
---|---|---|
조부 | 영문공왕(榮文恭王) 조희로(趙希瓐) | |
조모 | 영왕자헌부인(榮王慈憲夫人) 전씨(全氏) | |
부친 | 영왕(榮王) 조여예 | |
모친 | 제국부인(齊國夫人) 황씨(黄氏) | |
양부 | 이종 안효황제(安孝皇帝) 조윤 | 혈연상 백부 |
양모 | 황후(皇后) 사도청 |
도종은 여러 명의 부인을 두었으며, 그 중 황후 전씨는 사촌 관계였다.[10] 자녀로는 아들 7명과 딸 4명이 있었으나, 자세한 내용은 각각 황후, 후궁, 황자, 황녀 항목에서 다룬다.
3. 1. 황후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재위년도 | 생몰년도 | 국구(장인/장모) | 비고 |
---|---|---|---|---|---|---|
황후(皇后) | 전씨(全氏)[10] | 1267년 ~ 1274년 | 1241년 ~ 1309년 | 전소손(全昭孫)[11] | 사촌 | |
숙비(淑妃) | 인자성절황후 (仁慈聖節皇后)[12] | 양씨(楊氏)[13] | (추존) | 1244년 ~ 1279년 | 양찬(楊纘)[14] |
- 정실: 황후 전씨 - 전소손(도종의 조모 자헌부인 전씨의 종제)의 딸
- 측실: 숙비 양씨 - 양찬의 딸이자, 양량절의 여동생
- 측실: 귀빈 호씨 - 호현조의 딸
- 측실: 수용 유씨 - 유여규의 자매
- 측실: 소의 왕청혜
3. 2. 후궁
봉호 | 시호 | 이름(성씨) | 별칭 | 생몰년도 | 비고 |
---|---|---|---|---|---|
귀빈(貴嬪) | 호씨(胡氏) | ||||
수용(修容) | 유씨(兪氏) | 순안군부인(順安郡夫人) |
도종은 여색에 절제가 없는 호색가였다. 송나라의 관례에 따르면, 황제와 관계를 맺은 후궁은 다음 날 궁문에 참례해야 했으며, 관리들은 날짜와 인명을 기록했다. 도종 즉위 초 어느 날, 궁문에 참례하는 여성의 수가 30명을 넘었다.
3. 3. 황자
순번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1 | 광왕(廣王) | 충선(冲善) | 조작(趙焯) | 1262년 ~ 1263년 | 자국공(資國公) 광국공(廣國公) | 요절 | |
2 | 조서(趙舒) | 1264년 | 황후 전씨 | 요절 | |||
3 | 익국공(益國公) | 충온(冲定) | 조헌(趙憲) | 1268년 ~ 1270년 | 수용 유씨 | 요절 | |
4 | 기왕(岐王) | 충정(冲靖) | 조굉(趙鍠) | 1268년 ~ 1270년? | 숙비 양씨 | 요절 | |
5 | 익왕(益王) | 조시(趙昰) | 1269년 ~ 1278년 | 숙비 양씨 | 건국공(建國公) 길왕(吉王) | 단종 | |
6 | 가국공(嘉國公) | 조현(趙顯) | 1271년 ~ 1323년 | 황후 전씨 | 공제 | ||
7 | 위왕(衛王) | 조병(趙昺) | 1272년 ~ 1279년 | 수용 유씨 | 건국공(建國公) 신왕(信王) 광왕(廣王) | 소제 |
3. 4. 황녀
순서 |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비고 |
---|---|---|---|---|---|---|
1 | 신안공주 | 장의(莊懿) | 조졸함. | |||
2 | 정정공주 | 조광의(趙光懿) | 수용 유씨 | |||
3 | 공주 | 숙비 양씨 | 조졸함. | |||
4 | 진국공주 | 숙비 양씨 |
4. 도종 대 남송 재상
이종이 후사 없이 사망하자 황제가 된 도종은 주색에 빠져 정사를 돌보지 않았고, 조정의 기강은 날로 쇠퇴했으며 변방의 상황도 위급해졌다.[2] 가사도는 몽골군을 격퇴하고 도종을 황제로 세우는 데 공을 세워 태사(太師)로 임명되었고, 이후 국정을 장악하여 사실상 도종은 가사도의 괴뢰 황제나 다름없었다.[3]
가사도는 교묘한 정치 수완과 공전법 등 농정 개혁을 통해 15년간 정권을 장악했다.[4] 그러나 쿠빌라이가 이끄는 몽골 제국이 남송의 주요 방어 거점이었던 양양(襄陽)과 번성(樊城)을 1268년부터 1273년까지 5년간의 포위전 끝에 함락시키면서(양양 공방전) 남송은 멸망의 길로 접어들게 되었다.[4]
도종 대 남송의 재상들은 다음과 같다.
순서 | 이름 | 재임 기간 | 칭호 | 자(字) | 봉호 | 시호 |
---|---|---|---|---|---|---|
1 | 가사도 | 1264년 ~ 1274년 | 우승상(右丞相)→평장군국중사(平章軍國重事) | 사헌(師憲) | - | - |
2 | 정원봉 | 1267년 | 우승상(右丞相) | 신보(申甫) | 길국공(吉國公) | 문청(文淸) |
3 | 엽몽정 | 1267년 ~ 1269년 | 우승상(右丞相) | 진지(鎭之) | 신국공(信國公) | - |
4 | 강만리 | 1269년 ~ 1270년 | 좌승상(左丞相) | 자원(子遠) | 익국공(益國公) | 문충(文忠) |
5 | 마정란 | 1269년 ~ 1272년 | 우승상(右丞相) | 상중(翔仲) | - | - |
참조
[1]
서적
Celestial Women: Imperial Wives and Concubines in China from Song to Qing
https://books.google[...]
2016-04-21
[2]
웹사이트
Troubles in Paradise: the Shrinking Royal Family in the Southern Song
https://www.npm.gov.[...]
[3]
서적
Songren Yishi Huibian - Ch. 3
[4]
서적
Wind Against the Mountain: The Crisis of Politics and Culture in Thirteenth-century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 Asia Center
1996
[5]
서적
History of Song
[6]
서적
Sons of heaven: stories of Chinese emperors through the ages
https://books.google[...]
Foreign Languages Press
2000
[7]
서적
Songren Yishi Huibian - Ch. 3
[8]
문서
[9]
문서
[10]
문서
영가군부인(永嘉郡夫人)/황태자비(皇太子妃)/황태후(皇太后)
[11]
문서
[12]
문서
후대의 사시
[13]
문서
황태비(皇太妃)
[14]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