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이 주관하는 국제 축구 대회이다. 1993년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SAARC 골든컵으로 시작되어 격년으로 개최되며,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가 참가한다. 인도가 9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아프가니스탄은 2015년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가입을 위해 탈퇴했다. 2001년 대회는 FIFA 징계로 연기되었고, 2018년 대회는 방글라데시에서,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로 인해 연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2015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15년 인도에서 열린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1993년부터 시작된 남아시아 지역의 축구 대회로,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등 7개 팀이 참가하여 인도 우승, 선일 체트리가 최우수 선수와 최다 득점자를 기록했다.
  •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2018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2018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방글라데시 다카에서 열렸으며 몰디브가 우승을 차지했다.
  • 199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
    세계 쇼트 코스 수영 선수권 대회는 1993년부터 2년마다 열리는 국제 수영 대회로, 50m 쇼트 코스에서 다양한 국가 선수들이 참가하여 총 46개 세부 종목에서 경쟁하며, 미국이 역대 메달 집계 1위, 대한민국은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 1993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차이나 오픈 (테니스)
    차이나 오픈은 1993년 시작된 테니스 토너먼트 대회로, 남자 단식 위주로 진행되다가 중단 후 재개,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으로 장소를 옮겨 ATP 투어 500과 WTA 프리미어 토너먼트로 승격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되기도 했다.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기본 정보
원본 SAFF 챔피언십 트로피
주최SAFF
창설1993년 (SAARC 골드컵으로 시작)
참가 팀 수





지역남아시아
현재 챔피언(2023년)
최다 우승팀(9회 우승)
현재 대회2023 SAFF 챔피언십
웹사이트saffederation.org
대회 정보
1993년1993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 골드컵
1995년1995 남아시아 골드컵
1997년1997 남아시아 축구 연맹 골드컵
1999년1999 남아시아 축구 연맹 골드컵
2003년2003 남아시아 축구 연맹 골드컵
2005년2005 남아시아 축구 연맹 골드컵
2008년2008 SAFF 챔피언십
2009년2009 SAFF 챔피언십
2011년2011 SAFF 챔피언십
2013년2013 SAFF 챔피언십
2015년2015 SAFF 챔피언십
2018년2018 SAFF 챔피언십
2021년2021 SAFF 챔피언십
2023년2023 SAFF 챔피언십

2. 역사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선수권 대회는 1993년 파키스탄 라호르에서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SAARC) 골든컵'''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1]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남아시아 지역의 축구 발전을 위한 주요 대회로 자리 잡았다. 이 대회는 2년마다 개최된다.[1]

현재 방글라데시, 부탄, 인도, 몰디브, 네팔, 파키스탄, 스리랑카가 참가하고 있다.[1] 인도는 이 대회에서 9번 우승하여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국가이다.[1] 아프가니스탄은 2005년에 SAFF에 합류했으나, 2015년에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CAFA) 창립 회원으로 가입하면서 탈퇴했다.[1] 2018년 대회는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되었다.[2]

2. 1. 주요 사건

2001년 SAFF 챔피언십은 방글라데시 축구 연맹이 FIFA로부터 정지 처분을 받아 2001년 10월/11월에서 2002년 1월/2월로 처음 연기되었고, 결국 2003년에 대회가 열렸다.[2]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2021년 10월로 두 차례 연기되었다.[3]

3. 참가국

현재 남아시아 축구 연맹(SAFF) 회원국과 이전 회원국, 초청팀의 참가 기록은 다음과 같다.


1993

1995

1997

1999

2003

2005


2008

2009

2011

2013

2015

2018

2021

2023
총계
align="left" |×준결승조별 리그준우승우승준우승조별 리그준결승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준결승13
align="left" |SAFF에 속하지 않음조별 리그조별 리그준결승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9
2우승준우승우승우승3위우승준우승우승우승준우승우승준우승우승14
align="left" |××준우승3위준우승준결승우승준우승준결승준결승준결승우승조별 리그조별 리그12
align="left" |3위준결승조별 리그4위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준결승준결승조별 리그준결승준우승조별 리그14
align="left" |4위조별 리그3위조별 리그4위준결승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준결승DQ조별 리그12
align="left" |준우승우승4위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준결승준결승조별 리그조별 리그준결승조별 리그조별 리그DQ13
이전 참가 팀
3SAFF에 속하지 않음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조별 리그준우승우승준우승CAFA 소속7
초청팀
4×준우승1
4×준결승1


  • '''우승''' – 우승
  • '''준우승''' – 준우승
  • '''3위''' – 3위
  • '''4위''' – 4위
  • '''준결승''' – 준결승1
  • '''조별 리그''' – 조별 리그
  • '''DQ''' – FIFA/AFC/SAFF에 의해 실격/정지됨.
  • '''Q''' – 다음 대회 진출
  •  — 개최국
  • × – 불참
  • '''×''' – 대회 시작 전 기권
  • — SAFF에 속하지 않음


'''각주'''

# 1995년에는 3위 결정전이 치러지지 않았으며, 2003년 이후로는 치러지지 않음.

# 인도 U-23팀 포함.

# 2015년 SAFF를 탈퇴하고 CAFA에 가입.

# WAFF에서 초청된 초청팀.

4. 역대 대회 결과

인도가 총 9번으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했으며, 몰디브가 2번, 스리랑카, 방글라데시, 아프가니스탄이 각각 1번씩 우승을 차지했다.

연도/회차개최국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93년 (제1회) 파키스탄리그전리그전
1995년 (제2회) 스리랑카1 - 0& (공동 3위)
1997년 (제3회) 네팔5 - 11 - 0
1999년 (제4회) 인도2 - 02 - 0
2003년 (제5회) 방글라데시1 - 1
(PSO 5 - 3)
2 - 1
2005년 (제6회) 파키스탄2 - 0& (공동 3위)
2008년 (제7회) 몰디브
스리랑카
1 - 0& (공동 3위)
2009년 (제8회) 방글라데시0 - 0
(PSO 3 - 1)
& (공동 3위)
2011년 (제9회) 인도4 - 0& (공동 3위)
2013년 (제10회) 네팔2 - 0& (공동 3위)
2015년 (제11회) 인도2 - 1
(a.e.t.)
& (공동 3위)
2018년 (제12회) 방글라데시2 - 1& (공동 3위)
2021년 (제13회) 몰디브3 - 0&
2023년 (제14회) 인도1 - 1
(PSO 5 - 4)
&


4. 1. 1993년 대회 (제1회)

1993년 파키스탄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5] 이 대회는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인도가 우승을 차지했다.[5] 스리랑카는 준우승을, 네팔파키스탄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6]


4. 2. 1995년 대회 (제2회)

1995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스리랑카에서 개최된 두 번째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에서는 스리랑카가 결승전에서 인도를 1-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7] 네팔방글라데시는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우승결과준우승3위
스리랑카1 - 0인도네팔, 방글라데시


4. 3. 1997년 대회 (제3회)

1997년 대회는 네팔에서 개최되었으며, 제3회 대회였다. 이 대회에서는 인도가 결승전에서 몰디브를 5-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파키스탄스리랑카를 1-0으로 이기고 3위를 차지했다.

우승결승전 결과준우승
인도5 - 1몰디브
3위3·4위전 결과4위
파키스탄1 - 0스리랑카


4. 4. 1999년 대회 (제4회)

1999년 대회는 인도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도가 결승전에서 방글라데시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7] 몰디브는 3·4위전에서 네팔을 2-0으로 이기고 3위를 기록했다.[7]


4. 5. 2003년 대회 (제5회)

2003년 대회는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되었다. 방글라데시가 결승전에서 몰디브승부차기 끝에 5-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5] 3, 4위전에서는 인도파키스탄을 2-1로 꺾었다.

우승결승전 결과준우승
방글라데시1 - 1
(PSO 5 - 3)
몰디브



3위3, 4위전 결과4위
인도2 - 1파키스탄


4. 6. 2005년 대회 (제6회)

2005년 대회는 파키스탄에서 개최되었다. 인도가 결승전에서 방글라데시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몰디브파키스탄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우승결승전 결과준우승
인도2 - 0방글라데시
준결승 탈락 (공동 3위)
몰디브파키스탄


4. 7. 2008년 대회 (제7회)

2008년 대회는 SAFF 챔피언십의 7번째 대회로, 몰디브스리랑카에서 공동 개최되었다. 몰디브는 결승전에서 인도를 1-0으로 꺾고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5] 이 대회에서는 부탄스리랑카가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우승결과준우승
몰디브1 - 0인도


4. 8. 2009년 대회 (제8회)

2009년 대회는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되었으며, 인도가 결승전에서 몰디브를 승부차기 끝에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5] 방글라데시스리랑카는 준결승전에서 탈락하여 공동 3위를 기록했다.

4. 9. 2011년 대회 (제9회)

2011년 대회는 인도에서 개최되었다. 인도가 결승전에서 아프가니스탄을 4-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회에서는 몰디브네팔이 공동 3위를 기록하였다.

우승결승전 결과준우승
인도4 - 0아프가니스탄
준결승 탈락 (공동 3위)
몰디브네팔


4. 10. 2013년 대회 (제10회)

2013년 대회는 네팔에서 개최되었다. 아프가니스탄이 결승전에서 인도를 2-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5] 네팔몰디브는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우승결승전 결과준우승
아프가니스탄2 - 0인도


4. 11. 2015년 대회 (제11회)

2015년 대회(제11회)인도에서 개최되었다. 인도가 결승전에서 아프가니스탄을 연장전 끝에 2 – 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8] 몰디브스리랑카는 공동 3위를 기록하였다.

우승결과준우승
인도2 - 1
(a.e.t.)
아프가니스탄
준결승 탈락 (3·4위 결정전 없음)
몰디브스리랑카


4. 12. 2018년 대회 (제12회)

2018 SAFF Championship영어은 2018년 9월 4일부터 9월 15일까지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몰디브인도를 2-1로 꺾고 두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8] 3, 4위전은 별도로 없었으며, 네팔파키스탄이 공동 3위를 기록했다.

개최국우승점수준우승
방글라데시몰디브2 - 1인도
공동 3위: 네팔, 파키스탄


4. 13. 2021년 대회 (제13회)

2021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는 인도네팔을 꺾고 우승을 차지한 대회이다.[8] 결승전에서 인도는 네팔을 3-0으로 이겼다.[8]

개최년도개최국우승결과준우승준결승 탈락국 (3·4위 결정전 없음)
132021년 몰디브인도3 - 0네팔몰디브방글라데시


4. 14. 2023년 대회 (제14회)

The 14th SAFF Championship영어은 2023년에 인도에서 개최된 대회로, 인도쿠웨이트승부차기 끝에 5 - 4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8]

개최년도개최국우승결과준우승준결승 탈락국 (3·4위 결정전 없음)
142023년 인도인도1 - 1 연장전
(PK 5 - 4)
쿠웨이트방글라데시레바논


5. 국가별 통산 성적

다음은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의 국가별 통산 성적이다.


  • 순위 기준: 승점 > 진출 횟수 > 최고 성적 > 골득실 > 다득점 > 승자승.
  • 2018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까지의 결과를 포함한다.


순위국가진출 횟수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최고 성적
1인도12회50321089234+58106우승 (7)
2몰디브10회432211109144+4777우승 (2)
3방글라데시11회381510134338+555우승 (1)
4스리랑카12회37136184660-1445우승 (1)
5파키스탄11회36128163242-10443위 (3)
6아프가니스탄7회27124114842+640우승 (1)
7네팔12회38116214456-12393위 (5)
8부탄8회2411221393-8043위 (1)



Portrait of Hamidullah Karimi
2013년 SAFF 챔피언십 우승 후 트로피를 들고 있는 아프가니스탄의 하미드 카리미


순위출전국·지역우승 횟수준우승 횟수4강 진출 횟수총계
1인도 (IND)94114
2몰디브 (MDV)23510
3방글라데시 (BAN)1247
4아프가니스탄 (AFG)1203
5스리랑카 (SRI)1146
6네팔 (NEP)0167
7쿠웨이트 (KUW)0101
8파키스탄 (PAK)0055
9부탄 (BHU)0011
9레바논 (LIB)0011


  • 데이터는 2023년 대회 종료 시점 기준.
  • '''굵은 글씨'''는 우승 경험이 있는 국가·지역이며, '''굵은 숫자'''는 최다 기록.

6. 기록

몰디브의 알리 아슈파크는 2013년 대회에서 10골을 넣어 단일 대회 최다 득점을 기록했다.


연도선수골 수
1993 I. M. 비자얀3
1995 모하메드 아마눌라3
1997 I. M. 비자얀6
1999 바이춘 부티아3
미자누르 라흐만 돈
모하메드 윌단
나레시 조시
2003 사르프라즈 라술4
2005 알리 아슈파크3
이브라힘 파질
아흐메드 타릭
2008 하레즈 하빕4
2009 에나물 하크4
아흐메드 타릭
찬나 에디리 반다나게
2011 수닐 셰트리7
2013 알리 아슈파크10
2015 카이바르 아마니4
2018 만비르 싱3
하산 바시르
2021 수닐 셰트리5
2023 수닐 셰트리5



수닐 셰트리의 아프가니스탄과의 경기 태클 장면.
수닐 셰트리의 2011 SAFF 챔피언십 경기


SAFF 챔피언십 10골 이상 득점 선수
순위국가선수득점
1수닐 셰트리23
알리 아슈파크
3바이춘 부티아12
4이브라힘 파질10
아메드 타릭



회수국가우승 년도
9회1993, 1997, 1999, 2005, 2009, 2011, 2015, 2021, 2023
2회2008, 2018
1회1995
2003
2013


참조

[1] 웹사이트 From SAARC Gold Cup to SAFF Championship http://givemegoal.co[...] 2013-08-03
[2] 웹사이트 Infos at goalnepal.com http://www.goalnepal[...]
[3] 뉴스 We Will Try Our Best To Host SAFF 2021 Matches In Pokhara https://www.goalnepa[...] 2021-07-27
[4] 웹사이트 SAFF Championship 2021: Everything you need to know https://www.goal.com[...] 2021-09-09
[5] 문서 リーグ戦方式で順位を決定。
[6] 문서 リーグ戦方式で順位を決定。
[7] 문서 3位決定戦を行なわず。
[8] 문서 大会期間は2016年1月3日まで。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