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우체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원우체국은 1896년에 설치되었으며, 2000년 집배광역화를 통해 남원시 주천면, 사매면, 대산면, 이백면, 덕과면 우편구역을 통합했다. 2014년 우편구역을 고시했으며, 산내우체국 등 일부 우체국은 점심시간 휴무를 시행하고 있다. 관할 우체국 목록과 폐지된 우체국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원시 소재의 관공서 - 서부지방산림청
서부지방산림청은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경상남도 일부, 제주특별자치도의 산림을 관할하는 산림청 소속 기관으로, 1967년 안동영림서로 설치되어 개편을 거쳐 2006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산림재해안전과, 산림경영과, 기획운영팀과 여러 국유림관리소를 소속 기관으로 두고 있다. - 남원시 소재의 관공서 - 민속국악원
민속국악원은 1992년 남원시에 개원하여 창극단, 기악단, 무용단으로 구성된 예술단을 운영하며 국악 공연, 교육, 자료 전시 등의 활동을 하는 국악 기관이다. - 전북특별자치도 소재의 우체국 - 고창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일원을 관할하는 고창우체국은 2002년 우편구역 광역화, 2014년 우편구역 변경을 거쳐 고창군 내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관할하며 일부는 점심시간 휴무를 시행한다. - 전북특별자치도 소재의 우체국 - 군산우체국
군산우체국은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에 위치하여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며, 1899년 옥구우체사로 시작해 군산우편국으로 승격, 한국전쟁 중 이전 등의 역사를 거쳐 현재 군산시 내 여러 우체국과 우편취급국을 관할한다. - 우정사업본부 - 국제우편물류센터
국제우편물류센터는 국제 우편물류를 담당하는 기관으로, 1955년 서울국제우체국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는 인천국제공항 화물터미널A동에 위치하고 있다. - 우정사업본부 - 서울우편집중국
서울특별시의 우편물을 집중 처리하던 서울우편집중국은 특정 구역의 우편물 취급 기능이 중지되었다.
남원우체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우체국 |
관할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
위치 |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광한북로 66(하정동 189-3) |
홈페이지 | 남원우체국 홈페이지 |
2. 연혁
- 1896년: 우체국 설치[1]
- 2000년 12월 4일: 집배광역화를 위해 남원시 주천면, 사매면, 대산면, 이백면, 덕과면 우편구역을 남원우체국으로 통합[1]
-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 고시[2]
- 2016년 6월 30일: 남원덕과우체국 별정우체국 지정 해지 및 폐국[3]
- 2016년 9월 1일: 남원주천출장소, 남원수지우체국, 남원송동우체국, 남원아영우체국 점심시간 휴무 시행[4]
- 2017년 3월 1일: 남원산내우체국, 남원대강우체국 점심시간 휴무 시행[5]
- 2017년 8월 14일: 우체국사 신축을 위해 남원산내우체국을 남원시 산내면 대정길 111에서 산내면 천왕봉로 574 임시 청사로 이전[6]
2. 1. 개괄
1896년 우체국이 설치되었다.[1] 2000년 12월 4일 남원시 주천면, 사매면, 대산면, 이백면, 덕과면 우편구역을 남원우체국으로 통합하는 집배광역화가 시행되었다.[1] 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이 다음과 같이 고시되었다.[2]배달국 | 배달구역 | 구역번호 |
---|---|---|
남원우체국 | 남원시 동지역, 대산면 · 덕과면 · 보절면 · 사매면 · 산동면 · 이백면 · 주생면 · 주천면 (단, 주천면 고기리 · 덕치리는 남원운봉우체국에서 배달) | 55700 ~ 55710 55721 ~ 55783 55794 ~ 55803 |
남원운봉우체국 | 운봉읍 · 산내면 · 아영면 · 인월면 · 주천면 고기리 · 덕치리 | 55711 ~ 55720 55804 ~ 55805 |
남원금지우체국 | 금지면 · 대강면 · 송동면 · 수지면 | 55784 ~ 55793 |
2016년 6월 30일 남원덕과우체국 별정우체국 지정이 해지되고 폐국되었다.[3] 2016년 9월 1일 남원주천출장소, 남원수지우체국, 남원송동우체국, 남원아영우체국에서 점심시간 휴무가 시행되었다.[4] 2017년 3월 1일 남원산내우체국, 남원대강우체국에서도 점심시간 휴무가 시행되었다.[5] 2017년 8월 14일 남원산내우체국이 우체국사 신축을 위해 남원시 산내면 대정길 111에서 산내면 천왕봉로 574 임시 청사로 이전하였다.[6]
2. 2. 상세 내용
1896년에 우체국이 설치되었다.[1] 2000년 12월 4일, 집배광역화를 위해 남원시 주천면, 사매면, 대산면, 이백면, 덕과면 우편구역을 남원우체국으로 통합하였다.[1]2014년 1월 1일, 우편구역을 다음과 같이 고시하였다.[2]
배달국 | 배달구역 | 구역번호 |
---|---|---|
남원우체국 | 남원시 동지역, 대산면 · 덕과면 · 보절면 · 사매면 · 산동면 · 이백면 · 주생면 · 주천면 (단, 주천면 고기리 · 덕치리는 남원운봉우체국에서 배달) | 55700 ~ 55710 55721 ~ 55783 55794 ~ 55803 |
남원운봉우체국 | 운봉읍 · 산내면 · 아영면 · 인월면 · 주천면 고기리 · 덕치리 | 55711 ~ 55720 55804 ~ 55805 |
남원금지우체국 | 금지면 · 대강면 · 송동면 · 수지면 | 55784 ~ 55793 |
점심시간 휴무
2016년 6월 30일, 남원덕과우체국 별정우체국 지정이 해지되고 폐국되었다.[3] 2016년 9월 1일, 남원주천출장소, 남원수지우체국, 남원송동우체국, 남원아영우체국에서 점심시간 휴무가 시행되었다.[4] 2017년 3월 1일, 남원산내우체국, 남원대강우체국에서 점심시간 휴무가 시행되었다.[5] 2017년 8월 14일, 우체국사 신축을 위해 남원산내우체국을 남원시 산내면 대정길 111에서 산내면 천왕봉로 574 임시 청사로 이전하였다.[6]
3. 관할 우체국
남원대산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산면 운교2길 16 별정우체국 남원도통동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춘향로 15 (도통동) 남원보절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보절면 보산로 927 남원사매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사매면 덕오로 99 별정우체국 남원산내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천왕봉로 574 점심시간 휴무
2017년 8월 14일 이전남원산동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동면 요천로 2912 남원송동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송동면 송기안길 29-16 별정우체국
점심시간 휴무남원수지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수지면 고주로 623 별정우체국
점심시간 휴무남원아영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아영면 아백로 343 별정우체국
점심시간 휴무남원옹정우편취급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금지면 요천로 541 남원운봉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운봉읍 운성로 27 남원이백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이백면 이백로 484 별정우체국 남원인월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인월면 인월장터로 29 남원주생우체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생면 요천로 817 남원주천출장소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주천면 외평2길 25 점심시간 휴무 남원향교우편취급국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붕맛1길 35 (향교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