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납빛따오기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납빛따오기속(Theristicus)은 1832년 독일의 박물학자 요한 게오르크 바글러가 검은얼굴따오기를 모식종으로 하여 세운 속이다.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 "수확의"를 뜻하는 'theristikos'에서 유래했다. 이 속에는 납빛따오기, 담황목따오기, 검은얼굴따오기, 안데스따오기 4종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따오기아과 - 적갈색따오기속
    적갈색따오기속은 따오기과의 한 속으로, 유리따오기, 흰뺨따오기, 푸나따오기 등의 현존하는 세 종과 †아나스타무스 렉스 등의 멸종된 화석 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 세계 및 유럽에서 발견되었다.
  • 따오기아과 - 아메리카따오기속
    아메리카따오기속은 따오기과에 속하며 미국흰따오기와 진홍따오기 두 종을 포함하고, 해안 습지에서 서식하며 물고기, 개구리 등을 먹고, 흰색 또는 진홍색 깃털과 긴 부리를 가진 조류이다.
납빛따오기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검은얼굴따오기.
학명Theristicus
명명자Wagler, 1832
모식종Tantalus melanopis
모식종 명명자Gmelin, 1789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조강
사다새목
저어새과
아과따오기아과
납빛따오기속(Theristicus)

2. 분류

납빛따오기속(''Theristicus'')은 요한 게오르크 바글러가 1832년에 검은얼굴따오기를 모식종으로 하여 세운 속이다.[1][2]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 ''theristikos''(수확의)에서 유래했다.[3]

2. 1. 하위 종

}

|-

| 담황목따오기 || ''Theristicus caudatus'' || -- || 남아메리카 북부 및 중부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가이아나, 브라질 등) || LC|영어

|-

| 검은목젖따오기 || ''Theristicus melanopis'' || -- || 아르헨티나 중부 및 칠레 || LC|영어

|-

| 안데스따오기 || ''Theristicus branickii'' || -- || 남아메리카 서부 || NT|영어

|}

납빛따오기속에는 위와 같이 4종이 포함되어 있다.[4]

참조

[1] 논문 Neue Sippen und Gattungen der Säugthiere und Vögel https://biodiversity[...]
[2]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biodiversity[...] Museum of Comparative Zoology
[3] 서적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https://archive.org/[...] Christopher Helm
[4] 웹사이트 Ibis, spoonbills, herons, Hamerkop, Shoebill, pelican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이름학명이미지분포 지역IUCN 등급
납빛따오기Theristicus caerulescens--브라질 남서부, 파라과이,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북동부, 볼리비아 북부 및 동부{{lang|en|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