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네덜란드어 연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덜란드어 연합은 1980년 벨기에와 네덜란드의 조약에 의해 설립된 기구로, 네덜란드어 사용 국가 및 지역 간의 문화적 협력을 증진한다. 벨기에, 네덜란드, 수리남이 정회원국이며, 카리브 네덜란드와 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은 준회원국 또는 가입 후보국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기구는 표준 네덜란드어의 정의, 철자법 및 문법 표준화, 사전 편찬, 네덜란드어 교육 지원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네덜란드어 연구소와 네덜란드어 문학예술원을 산하 기관으로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어 - 뢰번 가톨릭 대학교
    뢰번 가톨릭 대학교는 1425년에 설립되어 인문학, 법학, 교회법학, 약학의 네 개 학과로 시작한 벨기에 뢰번 시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하며 유럽의 대표적인 학술 기관으로 성장했고 두 차례의 세계 대전과 언어 갈등을 겪었으나 현재는 여러 캠퍼스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의 교육과 연구를 제공하고 있다.
  • 네덜란드어 - 플람스어
    플람스어는 벨기에 플란데런 지역에서 사용되는 네덜란드어의 다양한 형태를 지칭하며, 표준어, 방언, 중간 형태 등을 모두 포함하고, 동플람스어, 서플람스어 등 여러 하위 분류로 나뉜다.
  • 1980년 설립된 단체 - 핵전쟁 방지 국제 의사회
    핵전쟁 방지 국제 의사회(IPPNW)는 1980년 버나드 로운과 예브게니 차조프를 중심으로 설립되어 핵전쟁 위험 감소와 핵무기 폐지를 목표로 활동하는 국제적인 의사 단체로서, 핵무기의 의학적 및 환경적 영향 연구와 캠페인을 통해 핵무기 폐기 운동을 주도하며 1985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고, 핵무기 금지 조약 체결과 건강 및 안보를 위협하는 문제에 대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 1980년 설립된 단체 -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중앙회는 새마을운동조직 육성법에 따라 설립되어 건강한 공동체 문화 조성, 탄소중립 실천, 새마을운동 세계화를 목표로 새마을조직 역량 강화 및 협력체계 구축에 힘쓰는 단체이다.
  • 헤이그의 단체 - 민주66
    민주66은 1966년 네덜란드에서 설립된 중도좌파 정당으로, 급진적 민주주의와 진보적 자유주의를 이념으로 하며 개인의 자기 실현을 강조하고, 환경, 교육, 혁신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정책을 펼치며 진보적 자유주의 정당으로 자리매김하였다.
  • 헤이그의 단체 - 국제사법재판소
    국제사법재판소는 국가 간 법적 분쟁 해결 및 유엔의 자문적 의견 제공 기관으로, 유엔 헌장에 의해 설립되어 상설 국제 사법 재판소의 후신이며, 15명의 법관으로 구성되어 구속력 있는 판결과 자문적 의견을 제시한다.
네덜란드어 연합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네덜란드어 연합
네덜란드어 명칭Nederlandse Taalunie
로마자 표기Nederlandse Taalunie
약칭NTU
상징 유형로고
네덜란드어 연합 로고
네덜란드어 연합 회원국 지도 (빨간색)
본부네덜란드 헤이그
벨기에 브뤼셀
공식 언어네덜란드어(표준 네덜란드어)
사무총장크리스 반 데 포엘
설립 조약1980년 9월 9일
회원국벨기에
네덜란드
수리남
추정 인구~2500만 명
추정 인구 년도2022년
기타
공식 웹사이트네덜란드어 연합 공식 웹사이트
참고네덜란드어 세계 총람
Green Booklet

2. 역사

네덜란드어 사용 국가


네덜란드어 연합은 1980년 9월 9일 브뤼셀에서 벨기에네덜란드 간의 조약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체결된 두 국가 간의 "문화 협정"을 계승한 것이다. 이 협정은 1995년 벨기에의 연방화 이후 개정되었고,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간에 새로운 조약이 체결되었다.[1] 2003년 수리남이 연합에 가입하는 협정이 체결되었고, 2005년에 발효되었다.[2]

표준 네덜란드어(''Algemeen Nederlands'', ''AN'')는 네덜란드, 플랑드르, 수리남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이다. 네덜란드어 연합은 무엇이 ''AN''인지 정의한다. 이전에는 ''Algemeen Beschaafd Nederlands''(''ABN'', "일반 교양 네덜란드어")이라고 불렸으나, 사람들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다소 주제넘은 것으로 간주되기 시작하면서 ''Algemeen Nederlands''(''AN'')로 대체되었다.

2. 1. 설립 배경



네덜란드어 연합은 1980년 9월 9일 브뤼셀에서 벨기에네덜란드 간의 조약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두 국가 간에 체결된 "문화 협정"(단순한 언어뿐만 아니라 더 많은 것을 규율함)을 계승한 것이다. 1995년 벨기에의 연방화 이후 이 협정은 개정되었고,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간에 새로운 조약이 체결되었다.[1] 2003년 12월 12일, 네덜란드어 연합 장관위원회 의장 메디 반 데어 라안과 수리남 교육부 장관 월터 산드리만은 수리남의 연합 가입 협정에 서명했다. 이 가입은 2004년 수리남 국민의회에서 비준되었고 2005년에 발효되었다.[2]

2. 2. 설립과 발전



네덜란드어 연합은 1980년 9월 9일 브뤼셀에서 벨기에네덜란드 간의 조약으로 설립되었다.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체결된 양국 간 "문화 협정"(언어뿐만 아니라 더 많은 것을 규율)을 계승한 것이다. 이 협정은 벨기에의 연방화 이후 1995년에 개정되었고,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간에 새로운 조약이 체결되었다.[1] 2003년 12월 12일, 네덜란드어 연합 장관위원회 의장 메디 반 데어 라안과 수리남 교육부 장관 월터 산드리만은 수리남의 연합 가입 협정에 서명했다. 이 가입은 2004년 수리남 국민의회에서 비준되었고 2005년에 발효되었다.[2]

3. 회원국

네덜란드어 연합은 1980년 네덜란드벨기에 간의 조약으로 설립되었으며, 회원 자격을 확장할 수 있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이 조약은 "준회원"을 통한 다른 주권 국가의 회원 자격과 네덜란드 왕국의 다른 영토로의 확장을 허용한다.[7] 2013년 11월 27일부터는 보네르, 신트외스타티위스, 사바로 구성된 카리브 네덜란드에도 조약이 적용된다.[8]

3. 1. 정회원국

1980년 9월 9일, 네덜란드 왕국(네덜란드 또는 유럽 네덜란드)과 벨기에(플랑드르 지역 또는 Vlaamse Gemeenschap|플라망 공동체nl)의 두 국가 간 조약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2004년부터 수리남이 준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2]

탈유니의 기반은 네덜란드 왕국벨기에 왕국 간의 조약이다. 네덜란드 왕국에 대해서는 이 조약이 유럽 영토에만 적용된다.[7]

3. 2. 준회원국

2004년 수리남은 네덜란드어 연합과 "준회원 조약"을 체결했다.[2]

3. 3. 가입 후보국

네덜란드 왕국의 세 자치령인 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은 가입 후보국으로 지정되어 있다.[19]

3. 4. 특별 파트너

인도네시아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네덜란드어 연합의 "특별 파트너"이다.[9] 남아프리카 공화국과의 협력은 아프리카어에 국한되지 않고 다국어 사용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9]

4. 주요 활동

네덜란드어 연합은 네덜란드어의 표준화와 보급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주요 활동은 다음과 같다.


  • 표준 네덜란드어 정립: 네덜란드, 플랑드르, 수리남 등에서 사용되는 표준어인 'Algemeen Nederlands'(AN)를 정립한다. 이전에는 'Algemeen Beschaafd Nederlands'(ABN, 일반 교양 네덜란드어)으로 불렸으나, 비표준 방언 사용자를 차별한다는 함축을 없애기 위해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1]
  • 철자법 및 문법 표준화: 1995년 네덜란드어 철자법을 수정하였고, 특히 합성어에서 접속 접미사 '-n' 표기에 관한 변경이 있었다.[1] 연합에서 출판하는 ''Groene boekje''(녹색 소책자)는 네덜란드어의 공식 철자 및 문법 참고 자료이다.[1] 2005년판에는 논란이 된 철자 개혁이 포함되어 언론의 보이콧을 겪기도 했으며, 2006년에는 언론 자체적으로 '백색 서적'을 발표하기도 했다.[2] 현재는 두 가지 철자법이 혼용되고 있다.[2]

''Groene Boekje'' (1954)

  • 사전 편찬: 반 데일(Van Dale) 사전은 가장 권위 있는 네덜란드어 사전으로, 7~8년마다 업데이트된다. 네덜란드어 사전(Woordenboek der Nederlandsche Taal, WNT)는 1500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된 단어를 수록한 역사적인 사전으로, 1998년에 완간되었다.
  • 네덜란드어 교육 지원: 인접 지역 및 국가, 전 세계 대학교에서 네덜란드어 교육을 지원한다. 벨기에, 독일, 프랑스 등에서 수십만 명이 네덜란드어를 배우고 있으며,[3] 전 세계 140여 개 기관에서 1만 4천여 명이 네덜란드어와 네덜란드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12]

4. 1. 표준 네덜란드어 정립

표준 네덜란드어(''Algemeen Nederlands'', 종종 ''AN''으로 약칭)는 네덜란드, 플랑드르, 수리남, 네덜란드령 카리브의 학교에서 가르치고 당국이 사용하는 표준어이다. 네덜란드어 연합은 무엇이 ''AN''이고 무엇이 아닌지를 정의한다. 사람들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다소 주제넘은 것으로 간주되기 시작했기 때문에, 이전 이름인 ''Algemeen Beschaafd Nederlands''("일반 교양 네덜란드어")와 그 약칭인 ''ABN''은 ''Algemeen Nederlands''(''AN'')로 대체되었다. 따라서 비표준 방언이 교양이 없다는 함축은 제거되었다.

4. 2. 철자법 및 문법 표준화



네덜란드어 연합이 수행한 중요한 변화 중 하나는 1995년 네덜란드어 철자법의 수정이었는데, 특히 많은 합성어에서 접속 접미사 '-n'의 표기에 관한 것이었다.[1] 연합의 간행물 중에는 잘 알려진 네덜란드어 어휘집(''Woordenlijst Nederlandse taal'')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독특한 녹색 때문에 “''Groene boekje''”(“녹색 소책자”)로 알려져 있다.[1] 녹색 소책자는 네덜란드어의 공식적인 철자 및 문법 참고 자료이다.[1] 어휘집처럼 구성되어 있으며 복수형과 철자를 포함하지만 실제 단어 정의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1]

가장 최근판 녹색 소책자는 2015년 10월 13일에 출판되었다.[2] 그 내용은 2005년판과 다르지 않은데, 2005년판에는 1996년 철자 개혁의 일부가 다시 변경되어 일반적으로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한 다소 논란이 된 철자 개혁이 포함되어 있었다.[2] 2005년 12월, 네덜란드 주요 언론의 대부분이 보이콧을 선언했다.[2] 2006년 8월, 그들은 미묘하게 다른 지침서인 '백색 서적'을 자체적으로 발표했다.[2] 현재 이 두 가지 철자가 모두 사용되고 있어 때때로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하는데, '녹색' 철자는 학교와 공무원들이 사용하고, '백색' 철자는 신문, 잡지, 텔레비전 방송국에서 사용한다.[2]

반면 벨기에에서는 철자 개혁이 일반적으로 항의 없이 받아들여졌다.[2]

4. 3. 사전 편찬

반 데일(Van Dale) 사전은 네덜란드어 사전 중 가장 권위 있는 것으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크기 때문에 "두꺼운 반 데일(Dikke Van Dale)"이라고도 불리는 이 사전은 A~I, J~R, S~Z 세 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대략 7~8년마다 업데이트된다. 15판은 2015년 9월 23일에 출판되었다.

네덜란드어 사전(Woordenboek der Nederlandsche Taal, WNT)는 1500년부터 현재까지 사용된 모든 단어를 포함하는 역사적인 사전이다. 1864년에 작업이 시작되어 1998년에 완료되었으며, 43권으로 구성되어 책장에 꽂으면 약 3m의 길이가 된다. 약 40만 개의 단어를 49,255페이지에 담고 있다. 2001년에는 이전 43권에 포함되지 않은 20세기 단어들을 주로 담은 3권이 추가 출판되었다. 이 사전은 네덜란드 어휘 연구소(Instituut voor Nederlandse Lexicologie)에서 출판하며 온라인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 4. 네덜란드어 교육 지원

네덜란드어 연합은 인접 지역과 국가의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에서 네덜란드어 교육을 지원한다. 벨기에(브뤼셀과 왈로니아)에서는 35만 명,[3] 독일(니더작센주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에서는 4만 명,[3] 프랑스(노르파드칼레)에서는 8천 명[3]의 학습자가 네덜란드어를 배우고 있다.

또한 전 세계 대학교와 학교에서 네덜란드어와 네덜란드의 문화 연구를 지원한다. 약 140개 기관에서 1만 4천여 명이 네덜란드어와 네덜란드 문학을 공부하고 있다.[12]

5. 조직 구성

네덜란드어 연합은 사무총장, 장관위원회, 의회간 위원회, 네덜란드어 및 문학 위원회 등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1] [13]

5. 1. 사무총장

정책 수립 및 이행을 담당하며, 2020년 3월부터 크리스 반 데 폴(Kris Van de Poel)이 수장을 맡고 있다.[1]

5. 2. 장관위원회

네덜란드와 플랑드르의 교육 및 문화 장관들로 구성된다.[1] [13]

5. 3. 의회간 위원회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의회 의원들로 구성된다.[1]

5. 4. 네덜란드어 및 문학 위원회

네덜란드어 및 문학 위원회는 네덜란드어 및 문학 전문가들로 구성된다.[13]

6. 산하 기관

연합(Taalunie)의 주요 산하 기관은 다음과 같다.


  • '''네덜란드어 연구소(Instituut voor de Nederlandse Taal)'''
  • '''네덜란드어 문학예술원(Royal Academy of Dutch language and literature)'''

6. 1. 네덜란드어 연구소(Instituut voor de Nederlandse Taal)

네덜란드어 연구소(Instituut voor de Nederlandse Taal)는 네덜란드 라이덴에 있으며, 네덜란드어 연합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벨기에와 네덜란드 양국의 공동 연구 기관이다.[4] 과거에는 네덜란드 어휘 연구소(Instituut voor Nederlandse Lexicologie)로 불렸다.[14]

이 연구소는 『네덜란드어 사전(Woordenboek der Nederlandsche Taal)』 편찬을 담당한다.[4] 또한 『고대 네덜란드어 사전』, 『초기 중세 네덜란드어 사전』, 어원 사전 등 여러 사전과 다양한 신문, 잡지, 법률 문서를 색인한 데이터베이스를 출판한다.[4] 구어체 네덜란드어 말뭉치(Spoken Dutch Corpus)에는 표준 네덜란드어의 오디오 녹음을 포함하여 네덜란드와 플랑드르에서 사용되는 현대 네덜란드어가 수록되어 있다.[5]

6. 2. 네덜란드어 문학예술원(Royal Academy of Dutch language and literature)

네덜란드어 문학예술원(Royal Academy of Dutch language and literature)은 1886년 벨기에에서 플랑드르의 문화와 문학을 진흥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플랑드르 정부의 공식 자문 기구이며, 피터 빌렘스(Pieter Willems)가 실시한 방언 조사를 바탕으로 플랑드르, 네덜란드, 프랑스령 플랑드르의 방언 자료를 담은 ''마테리알 빌렘(Materiaal Willems)'' 데이터베이스를 발간한다.[6]

7. 비회원국 및 지역

2020년 기준으로, 넓은 의미의 네덜란드어권 국가들 중 다음은 네덜란드어 연합에 포함되지 않는다.

7. 1. 네덜란드 왕국 내 자치 지역

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은 네덜란드어 연합의 예비 회원국으로 지정되어 있다.[9] 이 세 나라는 네덜란드 왕국의 자치 지역이다.

7. 2. 구 네덜란드 식민지

7. 3. 일본과의 관계

쇄국 시대에도 데지마에 설치된 네덜란드 상관을 통해 나가사키 무역이 계속되었고, 네덜란드를 한자로 표기한 “阿蘭陀”에서 “란학”(란학자·란학 서당), “란방 의학”, “란벽” 등의 어휘가 정착되었다.

참조

[1] 문서 Willemyns 176
[2] 웹사이트 Suriname, lid van de Taalunie https://web.archive.[...] 2014-06-19
[3] 웹사이트 Nederlands internationaal http://taalunieversu[...] 2018-09-25
[4] 문서 Willemyns 125
[5] 문서 Willemyns 177–78
[6] 문서 Willemyns 178-79
[7] 웹사이트 Verdrag tussen het Koninkrijk der Nederlanden en het Koninkrijk Belgie inzake de Nederlandse Taalunie, Brussel http://wetten.overhe[...] 1980-09-09
[8] 웹사이트 Tractatenblad 2013, 253 https://zoek.officie[...] Kingdom of the Netherlands 2013-12-19
[9] 웹사이트 Wie we zijn: Drie landen, één taal http://taalunieversu[...] Nederlandse Taalunie 2013-10-30
[10] 문서 Willemyns 176
[11] 웹사이트 Suriname, lid van de Taalunie http://taalunie.org/[...] 2014-06-19
[12] 웹사이트 Nederlands internationaal http://taalunieversu[...] 2018-09-25
[13] 문서 Willemyns 176
[14] 문서 Willemyns 125
[15] 문서 Willemyns 177–78
[16] 문서 Willemyns 178-79
[17] 웹사이트 Verdrag tussen het Koninkrijk der Nederlanden en het Koninkrijk Belgie inzake de Nederlandse Taalunie, Brussel http://wetten.overhe[...] 1980-09-09
[18] 웹사이트 Tractatenblad 2013, 253 https://zoek.officie[...] Kingdom of the Netherlands 2014-12-21
[19] 웹사이트 Wie we zijn: Drie landen, één taal http://taalunieversu[...] Nederlandse Taalunie 2013-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