넨니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넨니우스는 전통적으로 830년경에 《브리튼인의 역사》(Historia Brittonum)를 저술한 것으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이 책은 픽트족, 스코트족의 기원, 성 게르마누스, 보르티게른에 대한 내용과 앵글로-색슨족의 침략 관련 사건들을 담고 있다. 《브리튼인의 역사》는 아서 왕 전설에 영향을 미쳐 아서 왕의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넨니우스가 브리튼족의 과거를 기록하려는 시도로 쓰였지만, 역사적 정확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 넨니우스는 엘워도구스의 제자로, 9세기 초 웨일스에서 활동했으며, 그의 생애와 저작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서왕 문학 작가 - 월터 스콧
월터 스콧은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소설가로, 소아마비 장애를 극복하고 스코틀랜드 민속과 전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역사 소설 장르를 개척하여 19세기 문학계와 스코틀랜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말년에 재정적 파탄과 아내의 죽음을 겪었다. - 아서왕 문학 작가 - 에드먼드 스펜서
에드먼드 스펜서는 르네상스 시대 영국의 시인으로, 《요정 여왕》 등의 영향력 있는 작품을 남겼으며, 고풍스러운 어투와 독창적인 운율 형식을 사용하여 사랑, 아름다움, 도덕, 정치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었으나, 《아일랜드의 현재 상태에 대한 견해》는 논쟁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넨니우스 | |
---|---|
개요 | |
이름 | 네니우스 |
출신 | 웨일스 |
직업 | 수도사 |
활동 시기 | 9세기 |
저서 | 브리튼인의 역사 |
브리튼인의 역사 | |
라틴어 제목 | Historia Brittonum |
저자 | 네니우스 (추정) |
집필 시기 | 9세기 초 |
내용 | 브리튼 섬의 역사 (전설 및 역사적 기록 혼합) 로마 점령 이전부터 7세기까지 아서 왕 관련 초기 기록 포함 |
중요성 | 아서 왕 전설 연구의 중요한 자료 중세 초기 브리튼 섬 역사에 대한 이해를 돕는 자료 |
특징 | 다양한 자료를 짜깁기한 형태 연대기적 오류 및 모순 존재 민족주의적 관점 반영 |
2. 《브리튼인의 역사》 저술
넨니우스는 전통적으로 830년경에 ''브리튼인의 역사''를 저술한 것으로 여겨진다.[7] ''브리튼인의 역사''는 여러 출처를 엮은 것으로 보이며, 일부 전문가들은 길다스의 ''브리타니아의 멸망과 정복에 관하여''에 크게 기반했다고 말한다.[9] 다른 출처로는 '성 게르마누스의 생애'와 여러 왕족 계보가 포함되었다.[10]
현존하는 ''브리튼인의 역사''의 필사본은 여러 유실된 판본에서 수정된 것으로 보인다. ''서문''과 ''변명''에 포함된 정보가 서로 다르며, 12세기에 필사된 판본에서만 발견되는 ''변명''의 확장된 형태가 ''서문''에 포함되어 있어, 전문가들은 문서의 후기 버전이 수정되었을 것이라고 믿는다.[11] 가장 널리 알려진 판본은 ''서문''과 ''변명''을 포함하여 76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작품은 1071년경 기올라 코에민에 의해 아일랜드어로 번역되었으며, 저자의 이름인 넨니우스를 포함하는 최초의 ''브리튼인의 역사'' 사례이다.[12][13]
2. 1. 《브리튼인의 역사》의 내용과 영향
넨니우스는 전통적으로 830년경에 ''브리튼인의 역사''(Historia Brittonum)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이 책은 픽트 족, 스코트족의 전설적인 기원을 담고 있으며, 앵글로-색슨족의 7세기 침략과 관련된 사건들을 노섬브리아 문서에서 제공받아 기록했다.[8] 특히 아서 왕 전설에 중요한 기여를 하여 아서 왕의 역사적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3]''브리튼인의 역사''는 여러 출처를 엮은 것으로 보이는데, 넨니우스가 이름을 밝힌 것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것이 브리튼족에 대한 최초의 편집된 역사가 아니며, 약 3세기 전에 쓰여진 길다스의 ''De Excidio et Conquestu Britanniae''에 크게 기반했다고 주장한다.[9] 다른 출처로는 '성 게르마누스의 생애'와 여러 왕족 계보가 포함되었다.[10]
원래 브리튼족의 정당한 과거를 기록하려는 시도로 쓰여진 ''브리튼인의 역사''는 전설과 미신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14] 역사적 정확성은 의심스럽지만, 이 문서는 넨니우스의 출처와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10] 넨니우스는 브리튼족의 역사를 로마인과 켈트족까지 추적하려는 시도를 여러 번 한다.[14] 넨니우스의 글에는 브리튼족을 정당화하고 전설을 통해 과거를 미화하려는 민족적 자부심이 담겨 있다.[16]
''브리튼인의 역사''는 나중에 제프리 오브 몬머스와 같은 중세 작가들이 아서 왕의 초기 웨일스 연대기와 낭만적인 역사 중 하나인 Historia Regum Britanniae|브리타니아 열왕사la를 쓰는 데 기반이 되었다.[3][17] 그러나 넨니우스는 아서 왕을 왕이라고 언급하지 않고, 그를 전투에서 브리튼족의 왕들을 이끄는 "Dux Bellorum", 즉 군사 지도자라고 부른다.
2. 2. 《브리튼인의 역사》의 역사적 정확성 논란
''Historia Brittonum''(브리튼인의 역사)의 역사적 정확성은 의심스럽지만, 이 문서는 내부적으로 일관성이 있으며 넨니우스가 참고한 자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10] 일부 역사가들은 ''Historia Brittonum''이 9세기 브리튼족이 자신과 과거를 어떻게 바라보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15]넨니우스는 브리튼족의 역사를 로마인과 켈트족까지 추적하려는 시도를 여러 번 한다.[14] 여기에는 유적, 랜드마크 및 넨니우스가 기록할 가치가 있다고 여기는 영국의 다른 측면이 포함된다. 넨니우스의 물리적 랜드마크와 유적에 대한 설명은 신비로운 해석을 취하는데, 이는 그가 기독교 수도사임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특징이다. 넨니우스의 글에는 브리튼족을 정당화하고 전설을 통해 과거를 미화하려는 민족적 자부심이 담겨 있다.[16]
넨니우스가 전설을 강조하는 한 예는 아서 왕과 그의 12번의 전투에 대한 설명에서 나타난다. ''Historia Brittonum''은 나중에 제프리 오브 몬머스와 같은 중세 작가들이 아서 왕의 초기 웨일스 연대기와 낭만적인 역사 중 하나인 Historia Regum Britanniae|브리타니아 열왕사la를 쓰는 데 기반이 되었다.[3][17] 그러나 넨니우스는 아서 왕을 왕이라고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그를 전투에서 브리튼족의 왕들을 이끄는 "Dux Bellorum", 즉 군사 지도자라고 부른다.
3. 생애와 저작에 대한 논쟁
넨니우스가 《브리튼인의 역사》를 집필한 목적과 방법은 12세기 필사본의 서문에 소개되어 있다. 다른 모든 필사본의 서문은 비록 부수적으로 포함되었지만, 이 첫 번째 서문과 매우 유사하여 윌리엄 뉴웰은 이를 복사본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서문은 분명히 논문의 완성된 텍스트를 앞에 두고 누군가에 의해 준비되었다. 그것은 12세기 필사본에 포함된 부기 형태로 처음 나타난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이 장은 주저 없이 위조된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라고 하였다.[18] 그는 짐머의 주장에 반박하며 "우수한" 아일랜드어 번역을 담당한 아일랜드인이 자신의 손길을 더했을 수 있으며, 12세기에 《역사》의 라틴어 버전이 있었다면 번역되지 않고 해당 언어로 복제되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데이비드 N. 덤빌은 특히 서문의 필사본 전통과 특성으로 볼 때 넨니우스가 《브리튼인의 역사》의 저자라는 주장을 뒷받침할 증거가 부족하다고 주장한다. 짐머에 대한 반박에서 그는 베울란이라는 장소에 관한 아일랜드어 번역의 텍스트적 불일치를 인용하며, "우리는 [《역사》의] 9세기 저자의 이름을 알지 못한다는 것을 인정해야 한다"고 결론짓는다.[19]
역사학자 데이비드 덤빌은 넨니우스가 《브리튼인의 역사》의 저자라는 기록은 11세기의 사본을 근거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다른 사본에 비해 후기에 기록된 것이며, 넨니우스가 살았다고 여겨지는 시대보다 200년이나 뒤의 시대이다. 그러나 다른 많은 역사가들은 여전히 《브리튼인의 역사》의 저자를 넨니우스 혹은 "가짜 넨니우스"로 여기고 있다.
4. 관련 역사가 및 저자
- 길다스 – 6세기에 남서부 브리튼에서 살았던 역사가이다. 브리타니아의 멸망과 정복에 관하여를 저술하여 기독교 브리튼의 역사에 초점을 맞추었다.[20]
- 비드 – 넨니우스보다 약 반세기 전 노섬브리아에서 살았던 역사가이다. 앵글로색슨족의 교회 역사(731년 또는 732년 완성)를 저술하여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597년 선교부터 시작되는 앵글로색슨 교회의 역사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 윌리엄 오브 말름즈베리 – 12세기 초 잉글랜드의 역사가이다. 앵글로색슨 및 앵글로-노르만 전통을 모두 수집하여 브리튼의 역사를 기록하였고, 지형과 고대 기념물을 역사적 자료로 활용하였다.
- 제프리 게이머 – 12세기 노르만 역사가로, L'Estoire des Engleis(앵글로인의 이야기)를 저술했다. 이 작품은 잉글랜드에서 쓰인 최초의 로망스 문학이다.
5. 넨니우스의 인물상
엘워도구스의 제자로 알려져 있다. 그의 스승인 엘워도구스는 그위네드의 주교 엘포드로 여겨진다. 엘포드는 768년 웨일스의 켈트 기독교 교회에 가톨릭 방식에 따라 부활절을 거행하도록 권고한 인물이며, 캄브리아 연대기에는 809년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
6. 다른 가능성
9세기의 웨일스 필사본에는 "넴니비우스"(Nemnivius)라는 인물이 언급된다. 넴니비우스는 색슨족 학자가 브리튼족은 자신들만의 문자가 없다고 비난하자 문자를 만들어 반박했다고 전해진다. 이 필사본에 남아있는 넴니비우스가 고안한 문자는 노라 채드윅에 따르면 고대 영어 또는 룬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그녀는 "확실히 그가 고안한 문자로 쓰인 단어에서, 때때로 색슨어 단어에 실제로 정통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일부에서는 넨니우스와 넴니비우스가 동일 인물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넴니우스의 존재 자체가 불분명하고, 이 시대의 웨일스와 잉글랜드 역사가 매우 불완전하여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는 의견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Nennius: The History of the Britons, in Six Old English Chronicles"
http://www.fordham.e[...]
1847
[2]
웹사이트
British History Club Sources
http://www.britishhi[...]
[3]
서적
Arthurian Writer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8-04-14
[4]
간행물
Nennius
[5]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6]
서적
Nennius.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Smith, Elder & Co.
[7]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8]
서적
Dark Age Britain: Some Sources of History
Archon Books
[9]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10]
서적
Anglo Saxon England
Oxford UP
[11]
서적
Nennius.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Smith, Elder & Co.
[12]
서적
Nennius.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Smith, Elder & Co.
[13]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14]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15]
서적
Dark Age Britain: Some Sources of History
Archon Books
[16]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17]
서적
Dark Age Britain: Some Sources of History
Archon Books
[18]
논문
"Doubts Concerning the British History Attributed to Nennius"
[19]
서적
Histories and Pseudo-histories of the Insular Middle Ages
Variorum
[20]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21]
서적
Arthurian Writers: A Biographical Encyclopedia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18-04-14
[22]
간행물
Nennius
[23]
서적
Historical Writing in England
Cornell 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