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 민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 민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4대 군주이다. 노 장공의 아들이며, 공자 반, 노 희공의 동생이다. 기원전 662년 공자 경보에 의해 옹립되었으나, 2년 만에 경보에게 암살당했다. 제 환공과 맹약을 맺어 공자 계우를 귀환시켰으며, 경보에게 휘둘린 삶을 살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09년 사망 - 제 의공
    제 의공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형을 살해하고 즉위했으나 폭정과 사치로 민심을 잃어 재위 4년 만에 살해당한 폭군이다.
  • 기원전 609년 사망 - 노 문공 (21대)
    노 문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21대 군주로, 기원전 625년에 즉위하여 기원전 609년에 사망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주변 국가들과 복잡한 외교 관계를 맺고 적의 침입을 격퇴했다.
  • 노나라의 군주 - 노 환공
    노 환공은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로, 혜공의 아들이며 은공의 섭정 후 즉위하여 18년간 재위했으나 제나라 방문 중 암살당했고, 그의 아들들은 훗날 노나라 권력을 장악한 삼환의 시조가 되었다.
  • 노나라의 군주 - 노 장공
    춘추 시대 노나라의 제16대 군주인 노 장공은 제나라와의 잦은 전쟁과 외교적 활동을 펼쳤으며, 제나라 내전 개입과 제 환공과의 화평을 통해 영토를 회복하기도 했으나, 후계자 선정 실패로 정치적 혼란을 야기했다.
노 민공
기본 정보
이름노 민공
계승노의 통치자
통치 기간기원전 661년–기원전 660년
이전자반
이후노 희공
사망일기원전 660년
전체 이름성: 희(姬)
이름: 기(啟)
가문
왕조
아버지노 장공
어머니숙강 (叔姜)
시호민공 (閔公)
기타 정보
주해몇몇 자료에서는 그의 이름을 기방(啟方)으로 기록함. 사마천, 『사기』의 저자는 한 경제의 이름이 또한 기(啟)였기 때문에 휘를 피하여 개(開)라는 이름을 사용함.

2. 사적

어머니는 노 장공의 정실 부인 애강의 여동생 숙강이었으나,[1] 아버지는 서장자인 공자 반을 후계자로 정했기 때문에 정상적으로는 임금이 될 가능성이 낮았다.[2]

기원전 662년, 공자 경보가 공자 반을 시해하고 민공을 노나라 임금으로 옹립했다. 이때 공자 계우는 진나라로 달아났다.

민공 원년(기원전 661년), 제 환공과 맹약을 맺어 계우를 귀국시켰다. 이때 민공은 낭(郞) 땅까지 나가서 돌아오는 계우를 기다렸다.

계우가 돌아온 후에도 경보는 계속 노나라 임금 자리를 노리고 있었고, 민공 2년(기원전 660년), 민공의 스승 복의(卜齮)가 밭을 빼앗자 경보는 복의를 시켜 민공을 시해했다.[1]

3. 가정

4. 연표

연도사건
기원전 662년공자 경보가 공자 반을 시해하고 민공을 노후로 옹립함.[1] 이때 공자 계우는 진나라로 달아남.
기원전 661년제 환공과 맹약을 맺어 계우를 귀환시킴. 이때 민공은 낭(郞) 땅까지 나가서 돌아오는 계우를 기다림.
기원전 660년민공의 스승 복의(卜齮)가 밭을 빼앗긴 것에 원한을 품자, 경보는 복의를 시켜 민공을 시해함.[1]


5. 평가

민공은 재위 기간이 불과 2년으로, 경부에게 휘둘린 생애를 보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5. 1. 부정적 평가

민공은 장공의 아들이었지만, 차기 노공은 계우가 추대하는 서자 공자 반이 유력했기 때문에 공위 계승 대상에서 제외되어 있었다. 그러나 장공 32년(기원전 662년)에 장공이 사망한 직후 노공이 된 반을 경부가 암살하고, 경부의 추대를 받아 이듬해 민공 원년(기원전 661년)에 노공의 자리에 오른다.

그 후, 제나라로 망명했던 계우를 불러들이기 위해 제나라 환공에게 계우의 귀국을 요청하여, 성공적으로 실현시킨다. 이 때 민공이 직접 귀국 도중인 계우를 맞이하러 갔다는 점에서, 민공은 계우를 경부 이상으로 신뢰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민공 2년(기원전 660년)에 노공의 자리를 노리던 경부에 의해 암살당한다. 재위 기간은 불과 2년으로, 그야말로 경부에게 휘둘린 생애였다.

참조

[1] 서적 춘추좌씨전
[2] 서적 사기
[3] 서적 춘추좌전집해
[4] 문서 사기에서는 전한 경제의 휘를 피해 개(開)로 적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