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셀리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보셀리차는 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주에 위치한 도시이다. 1774년부터 1877년까지 오스트리아 제국, 몰다비아 공국(후에 루마니아), 러시아 제국 사이의 삼각 지점에 위치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루마니아를 거쳐 1940년 소련에 합병되었다가 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의 도시가 되었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우크라이나인, 몰도바인, 루마니아인, 러시아인 등이 거주하며, 우크라이나 도시 지역 중 몰도바인 비율이 가장 높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르니우치주의 도시 - 호틴
호틴은 드네스트르 강변의 우크라이나 도시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호틴 요새를 중심으로 몰다비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 등 여러 세력의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건축 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 체르니우치주 - 바투린
바투린은 우크라이나 체르니히우주에 위치한 도시로, 코사크 헤트만국의 수도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러시아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고, 이후 재건되어 현재는 역사 및 문화 유적지로 "헤트만 수도" 기념 단지가 조성되었다. - 체르니우치주 - 호틴
호틴은 드네스트르 강변의 우크라이나 도시로, 여러 국가의 지배를 받으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호틴 요새를 중심으로 몰다비아,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오스만 제국, 러시아 제국 등 여러 세력의 격전지였으며,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역사적 건축 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이르핀
우크라이나 키이우주 부차구에 위치한 이르핀은 1899년 철도 건설 중 형성되어 이르핀 강에서 이름이 유래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과 2022년 러시아의 침공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현재는 산업, 농업, 휴양 시설과 대학교가 있는 도시이다. - 우크라이나의 도시 - 하르키우
하르키우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주요 도시이자 하르키우주의 중심지로서, 코사크 요새에서 시작하여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공업 및 군수 산업 중심지를 거쳐 현재는 우크라이나의 산업, 과학, 문화 중심지이자 저항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했다.
노보셀리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노보셀리차 |
로마자 표기 | Novoselytsia (노보셀리차) |
기타 이름 | (우크라이나어) (노우아술리처, 루마니아어) (이디시어) (독일어) |
별칭 | (정보 없음) |
위치 | 우크라이나 체르니우치주 |
도시 종류 | 도시 |
표어 | (정보 없음)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우크라이나 |
주 | 체르니우치주 |
라이온 | 체르니우치 라이온 |
흐로마다 | 노보셀리차 도시 흐로마다 |
정부 형태 | (정보 없음) |
지도자 직함 | (정보 없음) |
지도자 이름 | (정보 없음) |
역사 | |
최초 언급 | 1456년 |
도시 지위 획득 | 1940년 |
지리 | |
면적 (총) | 6.47 제곱킬로미터 |
고도 | (정보 없음) |
인구 통계 | |
인구 (2022년) | 7399명 |
인구 밀도 | (정보 없음) |
시간대 | |
시간대 | EET (+2) |
하계 시간대 | EEST (+3)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60300-06 |
지역 번호 | +380-3733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역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1775년~1918년), 소련 시대(1940년~1991년), 우크라이나 독립(1991년) 이후 시대를 기준으로 역사적 개요는 다음과 같다.
- 1775년부터 1918년까지 부코비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일부였다.[2]
- 1774년부터 1877년까지 노보셀리차는 오스트리아 제국, 몰다비아 공국(루마니아), 러시아 제국 사이의 삼각점에 위치했다.
- 1893년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지방 사이에 기차 연결이 개통되었다.[3]
-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부코비나는 루마니아에 편입되었다.
- 1940년 부코비나 북부가 소련에 합병되었다.[2]
- 1991년 우크라이나가 독립하면서 우크라이나의 영토가 되었다.
- 2020년 7월 18일까지 노보셀리차는 노보셀리차 라이온의 행정 중심지였다. 이후 우크라이나 행정 개혁으로 체르니우치 라이온으로 이관되었다.[4][5]
- 최소 2020년까지 이 도시에는 루마니아어 신문인 쿠반툴 아데바룰이 있었다.[6]
2. 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1775년 ~ 1918년)

1775년부터 1918년까지 부코비나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행정 구역이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오스트리아령) 지방이었다.[2] 1774년부터 1877년까지 노보셀리차는 오스트리아 제국(부코비나 공국), 몰다비아 공국 (후에 루마니아), 러시아 제국 (베사라비아 현) 사이의 삼각점에 위치해 있었다. 정착지의 더 큰 부분은 러시아 제국에 속했고 작은 부분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속했다.
1866년 보야니의 2차 세관이 폐쇄된 후, 노보셀리차는 러시아 베사라비아와 오스트리아 부코비나 사이의 유일한 국경 지점이 되었다. 1893년 러시아와 오스트리아 지방 간의 기차 연결이 개통되면서 노보셀리차는 두 제국 간의 네 번째 기차 연결 지점이기도 했다.[3]
2. 2. 루마니아 왕국 시대 (1918년 ~ 1940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부코비나는 루마니아에 편입되었다.[2]2. 3. 소련 시대 (1940년 ~ 1991년)
1940년 부코비나 북부가 소련에 합병되었다.[2]2. 4. 우크라이나 독립 이후 (1991년 ~ 현재)
2020년 7월 18일까지 노보셀리차는 노보셀리차 라이온의 행정 중심지였다. 같은 해 7월 우크라이나의 행정 개혁으로 체르니우치주의 라이온 수가 3개로 줄면서 노보셀리차 라이온은 폐지되었다. 노보셀리차 라이온 지역은 체르니우치 라이온과 드니스트로우스키 라이온으로 분할되었으며, 노보셀리차는 체르니우치 라이온으로 이관되었다.[4][5]최소 2020년까지 이 도시에는 루마니아어 신문인 쿠반툴 아데바룰이 있었다.[6]
3. 인구
1989년 1월 인구는 8,384명이었고,[17][18] 2013년 1월에는 7,774명이었다.[19]
3. 1. 민족 구성
구분 | 1989년[13] | 2001년[9] | 2001년 원어별[7][8] |
---|---|---|---|
우크라이나인 | - | 54.37% | 54.9% (우크라이나어) |
몰도바인 | 39.01% | 35.82% | - |
루마니아인 | 1.53% | 1.63% | 34.5% (루마니아어) |
러시아인 | - | 6.84% | 10.1% (러시아어) |
노보셀리차는 우크라이나 도시 지역 중 자칭 몰도바인의 비율이 가장 높다.[10][11] 1989년에서 2001년 사이에 몰도바인 비율은 감소했고, 루마니아인 비율은 증가했다. 노보셀리차는 우크라이나에서 몰도바인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이지만, 몰도바인이 절대다수인 도시는 없다.[14] 또한, 헤르차 다음으로 루마니아어를 사용하는 인구 비율이 두 번째로 높은 도시이다.[15][16] 대부분의 몰도바인이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타타르부나리와 달리, 노보셀리차의 자칭 몰도바인과 루마니아인 대부분은 2001년에 루마니아어를 사용했다.[12]
3. 2. 언어 분포
2001년 원어별 인구 분포는 다음과 같았다.[7][8]
2001년 인구는 민족적으로 54.37%가 우크라이나인, 35.82%가 몰도바인, 1.63%가 루마니아인, 6.84%가 러시아인으로 구성되었다.[9] 노보셀리차는 우크라이나 도시 지역 중 몰도바인 비율이 가장 높은 도시였다.[10][11] 베사라비아 남부의 다른 도시들과는 달리, 노보셀리차의 몰도바인과 루마니아인 대부분은 2001년에 루마니아어를 사용했다.[12] 또한 헤르차 다음으로 루마니아어를 사용하는 인구 비율이 두 번째로 높은 도시이기도 하다.[15][16]
4. 저명한 출신 인물
- 볼프 베르그라저, 프랑스 체스 마스터
- 니콜라에 보시에-코드레아누, 몰도바 민주 공화국 정치인
- 이에레미아 체칸, 루마니아 사제이자 극우 정치인
- 테탸나 필로뉴크, 우크라이나 육상 선수
- 벤자민 찰스 그룬버그, 미국 생물학 교육자 및 작가
- 아바 P. 레르너, 미국 경제학자
- 알렉산더 코줄린, 독일 쇼맨이자 피아니스트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Новоселицкая городская громада
https://gromada.info[...]
Портал об'єднаних громад України
[2]
서적
Die postalischen Abstempelungen auf den österreichischen Postwertzeichen-Ausgaben 1867, 1883 und 1890
1967
[3]
논문
"Noua-Suliță - Triplex Confinium. Experiențe transfrontaliere la periferiile imperiale (1869–1914),” in ''Ipostaze istorice ale mișcărilor de populație și modele identitare etnolingvistice actuale''
Editura Academiei Române
2019
[4]
뉴스
Про утворення та ліквідацію районів. Постанова Верховної Ради України № 807-ІХ.
http://www.golos.com[...]
2020-10-03
[5]
웹사이트
Нові райони: карти + склад
https://www.minregio[...]
Міністерство розвитку громад та територій України
2020-07-17
[6]
서적
Romanii din Ucraina - intre trecut si viitor
Cernauti
2005
[7]
웹사이트
Рідні мови в об'єднаних територіальних громадах України
https://socialdata.o[...]
[8]
웹사이트
Мовний склад міст
https://datatowel.in[...]
[9]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ethnicity/nationality data by localities
http://pop-stat.mash[...]
[10]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ethnicity/nationality data by localities
http://pop-stat.mash[...]
[11]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language data by localities
https://socialdata.o[...]
[12]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ethnicity/nationality data by localities
http://pop-stat.mash[...]
[13]
서적
Romanii din Ucraina - intre trecut si viitor
Cernauti
2005
[14]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ethnicity/nationality data by localities
http://pop-stat.mash[...]
[15]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language data by cities
https://datatowel.in[...]
[16]
웹사이트
The Ukrainian census of 2001, language data by localities
https://socialdata.o[...]
[17]
웹사이트
Всесоюзн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1989 г. Численность городского населения союзных республик, их территориальных единиц, городских поселений и городских районов по полу
http://demoscope.ru/[...]
[18]
사전
Новоселица
"Совет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1991
[19]
웹사이트
Чисельність наявного населення України на 1 січня 2013 року. Державна служба статистики України. Київ, 2013. стор.108
https://web.archive.[...]
2019-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