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래기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놀래기목은 경골어류의 한 목으로, 6과 235속 2,274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과로는 놀래기과, 시클리드과, 자리돔과, 망상어과, 오닥스과, 파랑비늘돔과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전 세계의 다양한 해역과 담수역에 분포한다. 놀래기목 어류는 크기, 체색, 식성, 번식 형태 등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이며, 특히 하인두골이 유합되어 단일 하인두악을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 종은 식용 또는 관상어로 이용되며, 성전환과 같은 독특한 생태적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놀래기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아강 | 신기아강 Neopterygii |
상목 | 극기상목 Acanthopterygii |
목 | 스즈키목 Perciformes |
아목 | 베라아목 (Labroidei) |
학명 | Labriformes |
생태 정보 | |
![]() | |
하위 분류 |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과 | 놀래기과 (Labridae) 오닥스과 (Odacidae) |
2. 하위 분류
놀래기목의 주요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과거 놀래기목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다른 목이나 분류군으로 재분류된 과들은 다음과 같다.
- 키클라과 (Cichlidae) - 현재 오발렌타리아류의 키클라목으로 분류된다.
- 망상어과 (Embiotocidae) - 현재 오발렌타리아류의 미분류 목으로 분류된다.
- 자리돔과 (Pomacentridae) - 현재 오발렌타리아류의 미분류 목으로 분류된다.
또한, 파랑비늘돔과 (Scaridae)는 과거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연구 결과에 따라 놀래기과에 통합되었다.
2. 1. 키클라과 (Cichlidae)
키클라과 (Cichlidae)는 최근 오발렌타리아류의 키클라목으로 분류된다.2. 2. 망상어과 (Embiotocidae)
망상어과는 과거 놀래기목으로 분류되었으나, 최근 연구에 따라 오발렌타리아류의 미분류 목으로 재분류되었다.2. 3. 자리돔과 (Pomacentridae)
자리돔과 (Pomacentridae)는 최근 오발렌타리아류의 미분류 목으로 분류된다.2. 4. 놀래기과 (Labridae)
놀래기과 (Labridae)는 놀래기목을 구성하는 과 중 하나이다. 최근의 분류 체계에서는 이전까지 별도의 과로 분류되었던 파랑비늘돔과 (Scaridae)를 놀래기과에 포함하여 분류하기도 한다.2. 5. 오닥스과 (Odacidae)
오닥스과 (Odacidae)는 놀래기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분류군의 하나이다.2. 6. 파랑비늘돔과 (Scaridae)
파랑비늘돔과(Scaridae)는 최근 놀래기과에 포함하여 분류한다.3. 계통 분류
다음은 2017년 베탕쿠르(Betancur-R) 등[9]과 2018년 휴스(Hughes)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10]
베탕쿠르(Betancur-R) et al., 2017 | 휴스(Hughes) et al., 2018 |
---|---|
참조
[1]
서적
魚の名前
東京書籍
[2]
서적
新版 魚の分類の図鑑
[3]
서적
Fishes of the World Fourth Edition
[4]
웹사이트
スズメダイ科魚類の高次分類群に対応する標準和名
https://www.jstage.j[...]
古𣘺 龍星, 本村 浩之
2022-11-19
[5]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among damselfishes (Teleostei: Pomacentridae) as determined by mitochondrial DNA data
[6]
서적
日本の海水魚
[7]
서적
Fishes of the World
John Wiley & Sons
[8]
서적
Textbook of Special Zoology, Volume II, Part 2: Fish
Gustav Fischer Verlag Jena
[9]
웹인용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7-00-00 #날짜 형식이 부족하여 00-00-00으로 처리
[10]
논문
Comprehensive phylogeny of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based on transcriptomic and genomic da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