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암각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농암각자(聾巖刻字)는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에 있는 각자로,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3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의미와 내용:농암각자는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조 작가인 농암 이현보(李賢輔, 1467~1555)의 정자 옛 터를 기념하기 위해 새긴 글자입니다. 4개의 바위 면에 '농암선생정대구장(聾巖先生亭臺舊庄)'이라는 8자가 두 자씩 음각되어 있습니다. '농암 선생이 정자를 지었던 옛 자리'라는 뜻입니다.
역사:
- 원래 이현보의 정자인 애일당(愛日堂) 터(분천리)의 자연 암석에 새겨져 있었습니다.
- 애일당은 이현보가 부모를 봉양하기 위해 지은 건물입니다.
- 일제강점기 도로 개설로 인해 애일당이 이전되면서 옛 자리를 기념하기 위해 각자가 새겨졌습니다.
- 1976년 안동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처하자 글자 부분을 절단하여 현재의 위치(도산면 가송리)로 옮겨 보존하고 있습니다.
특징:
- 글씨는 해서체(楷書體)이며, 한 글자의 길이가 약 75㎝ 정도로 매우 큽니다. 안동 지역의 음각 글씨로는 가장 큽니다.
- 글씨가 새겨진 바위는 주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습니다.
현재 위치:농암각자는 현재 농암 종택 애일당 앞 강변(안동시 도산면 가송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농암각자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문화재 정보 | |
이름 | 농암각자 |
로마자 표기 | Nongamgakja |
국가 | 경상북도 |
유형 | 유형문화재 |
지정 번호 | 43 |
지정일 | 1973년 8월 31일 |
주소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분천리 산11-17 |
관리 | 이*** |
수량 | 일괄 |
문화재청 ID | 21,00430000,37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