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에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에르인은 남수단과 에티오피아 서부에 거주하는 민족으로, 반유목 생활을 하며 소를 중심으로 사회와 문화를 형성했다. 역사적으로 딩카족에서 분리되어 독자적인 집단으로 발전했으며, 2차 수단 내전 등 분쟁에 휩싸이며 딩카족과 갈등을 겪었다. 누에르족에게 소는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하며, 결혼, 가족, 사회 구조 등 삶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누에르어(톡나트어)를 사용하며, 전통 종교와 기독교 신앙을 혼합하여 믿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수단의 민족 - 아촐리족
    아촐리족은 우간다 북부와 남수단 국경 일대에 거주하며 아촐리어를 사용하는 나일족 계통의 민족으로, 추장국 중심 사회를 이루었으나 신의 저항군 반란으로 피해를 입었고 현재 화해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남수단의 민족 - 바까라족
    바까라족은 수단, 차드 등 사헬 지역에 거주하는 아랍계 유목 민족으로, 17세기 와다이에서 풀라족과 아랍인의 만남으로 문화가 형성되었으며, 수단의 마흐디 반란 참여 및 다르푸르 분쟁 연루 등 정치적 불안정과 갈등 속에서 분쟁의 주체이자 피해자로 존재한다.
  • 나일족 - 아촐리족
    아촐리족은 우간다 북부와 남수단 국경 일대에 거주하며 아촐리어를 사용하는 나일족 계통의 민족으로, 추장국 중심 사회를 이루었으나 신의 저항군 반란으로 피해를 입었고 현재 화해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나일족 - 루오인
    루오족은 케냐 서부 빅토리아 호수 동쪽 분지에 거주하며 수단 남부에서 기원한 닐로트 계통의 민족으로, 케냐 이주 후 식민 시대와 봉기를 겪었으며 정치, 사회, 예술 분야에서 활약하며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했다.
  • 수단의 민족 - 누비아인
    누비아인은 이집트 남부와 수단 북부의 나일강 중류 유역에 거주하며 고대 이집트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독자적인 왕국과 문화를 건설한 여러 민족 집단을 아우르는 명칭으로, 강력한 왕조 건설, 기독교 수용, 이슬람화, 현대의 여러 사건들을 거치며 현재 이집트와 수단에 거주하며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 수단의 민족 - 베자족
    베자족은 수단, 에리트레아, 이집트 동부의 동부 사막 지역에 주로 거주하는 쿠시어족 유목민으로, 고대에는 블렘미족으로 불렸으며 기독교를 믿다 이슬람화되었고, 여러 씨족으로 나뉘어 일부는 아랍화되었으며, 자치를 요구하며 베자 의회를 결성하기도 했고, 베자어를 사용한다.
누에르인

2. 역사

누에르족은 반유목 생활을 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인구 집계가 정확하지 않았다. 이들은 가족의 연장자만 세는 문화를 가지고 있었으며, 소의 수를 세는 것이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고 믿어 가진 것보다 적은 수의 자녀를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다. 누에르족은 남수단에서 최서단의 아프리카 뿔 반도 민족이다.

누에르족과 남수단의 가장 큰 민족 집단인 딩카족 간의 갈등 기원에 대한 다양한 설명이 있다. 인류학자 피터 J. 뉴커머는 누에르족과 딩카족이 실제로 유사하며, 수백 년간의 인구 증가가 확장을 낳았고, 결국 습격과 전쟁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10]

2. 1. 기원과 이동

누에르족은 원래 딩카족의 일부였으나, 게지라에서 남쪽으로 이동하여 "크웨르 콩"이라고 불리는 남코르도판의 황량한 건조 지대에 정착했다. 수 세기에 걸친 고립과 루오족의 영향으로 딩카족과는 다른 독자적인 민족 집단으로 발전했다.[8]

1700년대 후반 바가라의 등장과 그들의 노예 습격으로 인해 누에르족은 남코르도판에서 현재의 벤티우 지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8] 1850년경, 노예 습격, 홍수, 인구 과잉이 겹치면서 누에르족은 벤티우에서 동쪽으로 이동하여 에티오피아 서부 변두리까지 진출했다. 이 과정에서 딩카족, 아누악족, 부룬족 등 다른 민족들을 몰아내거나 흡수했다.[8]

19세기 대영 제국의 식민지 확장은 딩카족과 아누악족에 대한 누에르족의 공격적인 영토 확장을 크게 멈추게 했다.[9]

2. 2. 식민지 시대

19세기 이 지역에서 대영 제국의 식민지 확장은 딩카족과 아누악족에 대한 누에르족의 공격적인 영토 확장을 멈추게 했다.[9]

2. 3. 남수단 독립과 내전

제2차 수단 내전(1983년~2005년) 동안 누에르족은 딩카족 등과 함께 약 250만 명의 남부 주민이 살해되고, 수백만 명이 거주지를 잃는 큰 피해를 입었다. 누에르족과 딩카족 아이들 약 2만 명은 내전으로 인해 고아가 되어 수단의 로스트 보이즈로 불리는 난민 집단이 되었다.[20]

2006년, 누에르족은 무장 해제에 가장 강력하게 저항한 부족 중 하나였다. 누에르 백군은 무기 반납을 거부하고 수단 인민 해방군(SPLA)과 충돌했다. 백군은 2006년 중반에 진압되었지만,[11] 2011년, 무를족(2011–2012년 남수단 부족 충돌 참조), 딩카족, UNMISS와 싸우기 위해 백군으로 자칭하는 후속 조직이 결성되었다.[12]

2013년 12월, 남수단 쿠데타 미수 사건(2013년)이 발생하여 딩카족과의 사이에서 무력 충돌 및 주민 살해가 발생했다.[20]

3. 문화

누에르족은 반유목 생활 방식을 가지고 있어 역사적으로 인구 집계가 어려웠다. 이들은 가족의 연장자만 세는 문화를 가지고 있으며, 소의 수를 세는 것이 불행을 초래할 수 있다고 믿어 실제보다 적은 수의 자녀를 보고하는 경향이 있었다. 누에르족은 남수단 최서단에 위치한 아프리카 뿔 반도 민족이다.

누에르족은 , 염소, 등의 방목과 잡곡류 재배를 통해 생활하며, 우기에는 둑과 같은 고지대에 정착 마을을 형성한다.

3. 1. 사회 구조

누에르족 사회에서 는 경제적 가치를 가지며, 교환과 양도를 통해 사회 관계가 구축된다. 마을은 특정 출신 집단을 중심으로 하는 혈연관계로 구성되며, 가족은 부계 클랜의 일부다처제를 취한다.[5] 민족 전체의 정치적 통일은 없으며, 문화적 공유를 이루는 지역적인 부족 간의 통일이 이루어진다. 부족 간의 전투와 항쟁이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조절하는 사제직이 발달했다. 보복적 살해를 좋게 여기지 않는 경우에는 사제직에 의해 내부 조절이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이러한 배상 수단으로도 소가 사용된다.

누에르족에게 부모와 형제는 '마르'(mar, 혈족) 친족으로 여겨지지 않고, 그들을 친족이라고 부르지도 않는다. 그들에게는 '골'(gol)이 훨씬 더 친밀하고 중요한 존재로 여겨진다.[13] 누에르 사회에는 친족 범주가 있으며, 이러한 범주는 그들에 대한 지불에 따라 달라진다. 결혼과 같은 특정한 공식적인 행사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측 사이의 균형이 인정된다.[13]

E. E. 에반스-프리처드는 민족지적 관찰을 통해 친족 관계의 역할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친족 의무에는 친족과 이웃의 자녀를 돌보는 것이 포함된다." 또한 그는 "지역 사회 구성원을 연결하는 친족 관계의 네트워크는 소에 관해 언급되는 족외혼 규칙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라고 썼다.[13]

누에르족은 소를 얼마나 많이 생산할 수 있는지에 따라 그 가치를 평가하며, 이는 그들의 문화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가능하다면 그들은 과도한 우유를 치즈로 만든다. 그러나 한 가족의 가축 떼가 가족에게 필요한 양의 우유를 생산할 수 없다면, 그들은 다른 사람들에게 의존하여 필요한 것을 얻는다. 누에르 사회는 기본적으로 서로를 보살피는 사회로, 예를 들어 에반스-프리처드는 "한 가구가 잉여분을 가지고 있으면 이웃과 나눈다. 부를 축적하는 것은 목표가 아니다. 많은 소를 소유한 사람은 부러움을 살 수 있지만, 많은 가축을 소유한다고 해서 특별한 특권이나 대우를 받지는 못한다."라고 언급했다.[13]

누에르족은 생물학적 아버지인 '제니터'(genitor)와 사회적 아버지인 '페이터'(pater)를 명확하게 구분하는 가족 형태를 취한다. 결혼 시 지참금으로 소를 여성의 친족에게 보낸 사람은 여성의 남편으로서 그녀가 낳는 모든 아이(설령 사후에 타인의 정자로 수정된 것이 분명한 아이라도)의 아버지 권리를 얻는다. 이 아버지의 권리는 남성에 국한되지 않고, 지참금을 낼 수 있다면 여성도 아버지로서 아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죽은 사람의 이름으로 지참금을 보내고 태어난 아이를 죽은 사람의 자식으로 삼는 경우도 있다.

3. 2. 결혼과 가족

누에르족은 소를 신부 지참금으로 사용하여 결혼하며, 이는 자녀가 남편의 혈통에 속하는 것을 보장한다. 누에르족은 '유령 결혼' 제도를 가지고 있는데, 남성이 사망한 후에도 그의 형제나 친척이 그의 이름으로 신부값을 지불하고 결혼하여 자녀를 낳을 수 있으며, 이 자녀는 사망한 남성의 자녀로 간주된다.[5] 이때 아내의 부계에 넘겨진 소는 그 부계의 남자아이들이 결혼할 수 있게 하여 아내의 부계 혈통이 계속 이어지도록 한다. 불임 여성도 자신의 아내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남성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는 법적, 문화적으로 그녀의 자녀가 된다.

누에르인, 1906년


누에르인에게 부모와 형제는 '마르'(혈족) 친족으로 여겨지지 않고, 훨씬 더 친밀하고 중요한 '골'로 여겨진다. 누에르 사회에는 친족 범주가 있으며, 이는 그들에 대한 지불에 따라 달라진다. 결혼과 같은 특정 공식적인 행사에서는 어머니와 아버지 측 사이의 균형이 인정된다.[13]

누에르 소녀는 보통 17세 또는 18세에 결혼한다. 어린 소녀가 어릴 때 약혼하는 경우, 결혼식과 성혼 의식은 연기된다. 여성은 일반적으로 아이를 낳을 수 있을 만큼 성숙해지면 첫 아이를 낳는다. 소녀가 소를 가진 남자와 결혼하는 한, 자유롭게 남편을 선택할 수 있지만 부모가 배우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13]

누에르족은 제니터(생물학적 아버지)와 페이터(사회적 아버지)를 명확하게 구분한다. 결혼 시 지참금으로 소를 여성의 친족에게 보낸 사람이 여성의 남편이자 모든 아이의 아버지 권리를 얻는다. 여성도 지참금을 낼 수 있다면 아버지로서 아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죽은 사람의 명의로 지참금을 보내고 태어난 아이를 죽은 사람의 자식으로 삼는 경우도 있다.

3. 3. 소의 중요성

누에르족에게 소는 단순한 가축이 아니라, 그들의 삶과 밀접하게 연결된 중요한 존재이다. 소는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 가치를 지니며, 누에르족의 생활 전반에 걸쳐 깊숙이 관여한다.
경제적 가치: 누에르족은 소의 모든 부분을 활용한다. 소의 젖은 주요 식량 자원이며, 남은 젖은 치즈로 가공한다. 소의 가죽으로는 드럼, 러그, 의류, 창, 방패, 용기 등 다양한 생활용품을 만든다. 소의 분뇨는 잘게 썰어 말린 후, 용기를 만들거나 치약, 구강 청정제로 사용하며, 태워서 해충을 쫓는 데에도 사용한다.
사회적 가치: 소는 결혼 지참금으로 사용되어, 남편의 가문에서 아내의 가문으로 전달된다. 이러한 소의 교환은 자녀가 남편의 가문에 속하는 것을 보장하며, 가문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5] 또한, 누에르족 사회에서 소는 분쟁 해결을 위한 배상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종교적 가치: 누에르족은 소를 신성하게 여기며, 소를 도살할 때는 의식, 춤, 노래를 통해 그 영혼을 기린다.[5] 그들은 자연적인 이유로 죽은 소만 먹으며, 단순히 고기를 얻기 위해 소를 죽이는 것은 금기시된다.

이처럼 소는 누에르족에게 단순한 재산을 넘어, 그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영국의 인류학자 E. E. 에반스-프리처드는 "소는 누에르족의 제도, 언어, 통과의례, 정치, 경제, 그리고 충성을 관통하는 실이다."라고 언급하며 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5]

3. 4. 성인식

누에르족은 성인이 되는 과정의 일부로 얼굴에 문신을 받는데, 이를 '가르(gaar)'라고 부른다. 누에르족의 반흔 문양은 하위 집단마다 다르다. 남성의 경우, 가장 일반적인 성인식 문양은 면도칼로 이마에 가로로 6개의 평행선을 긋는 것이다. 이 선은 코 위에서 굴곡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점 문양도 흔하며, 특히 불 누에르족과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난다.[16]

일부 누에르족은 다른 민족 집단에 동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동화된 후 할례를 시작했다. 누에르족은 역사적으로 할례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근친상간을 한 사람들에게 때때로 할례를 하기도 한다.[17]

3. 5. 음식

누에르족은 소고기, 염소고기, 소젖, 망고, 수수 등을 먹는다.[17] 수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리된다. 곱게 간 수수를 삶아 둥글게 만든 'ko̱p', 갈아서 가볍게 둥글려 굳힌 죽 형태인 'walwal', 크고 납작한 팬케이크 모양의 빵인 인제라(Yɔtyɔt) 등으로 먹는다.[17] 이들의 주식은 수수이며,[16] 죽이나 맥주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16]

3. 6. 난민 문제

1990년대 초, 약 25,000명의 아프리카 난민이 사우스다코타, 테네시, 미네소타 등 미국의 여러 지역으로 제3국 재정착되었다. 특히 1990년부터 1997년까지 36개 주에서 4,288명의 수단 난민이 재정착했는데, 텍사스에 가장 많은 17%의 수단 난민이 재정착했다.

미국에 있는 누에르 난민과 아프리카에 있는 누에르 난민은 서로에 대한 사회적 의무를 계속 준수하고 있다. 그들은 편지에서부터 새롭고 기술적으로 진보된 통신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단을 사용하여 아프리카에 있는 가족과 계속 연결을 유지한다. 미국에 있는 누에르족은 가족의 미국 이주 과정을 돕기 위해 서류 작업을 지원한다. 또한, 미국에 있는 누에르족은 아프리카에 있는 가족에게 돈을 보내 가족의 의무를 지킨다.

4. 종교

E. E. 에반스-프리처드는 누에르족의 종교와 우주론에 대해 연구했다.

누에르족은 창조주인 "Kuoth Nhial"(천국의 신)을 믿으며, 신이 비, 번개, 천둥을 통해 나타난다고 믿는다. 무지개는 신의 목걸이로 여겨지며, 태양, 달 등도 신의 현현으로 간주된다.

가장 강력한 하위 영은 공중의 영들이며, 전쟁의 영인 WiW와 같은 씨족 창과 관련된 영들도 존재한다. 누에르족은 사람이 죽으면 육체, 생명, 영혼이 분리된다고 믿는다. 육체는 땅에 묻히고, 숨결이나 생명은 신에게 돌아간다. 영혼은 그림자나 반사된 모습으로 남아 희생된 황소와 함께 유령의 세계로 간다.

1940년대부터 선교사들의 활동으로 창세기가 1954년에 번역되어 출판되었고, 1968년에는 신약 성서 전체가 출판되었다. 1970년대까지 약 200개의 누에르 교회들이 세워졌다. 그러나 누에르족의 약 1%만이 기독교인이라고 알려져 있다.

누에르족은 대지의 신 콰스(Kuoth영어)를 숭배하며, 가축 희생이나 제사를 통해 신에게 경의를 표한다.

5. 언어

누에르족은 나일사하라어족에 속하는 누에르어 또는 톡나트어를 사용한다. 서나일어군(영어)에 속하며, 동수단어군(Dinka–Nuer)의 하나이다.

6. 분쟁

누에르족은 딩카족과 목초지와 가축을 둘러싸고 오랜 기간 갈등을 겪어왔다. 인류학자 피터 J. 뉴커머는 누에르족과 딩카족이 실제로 유사하며, 수백 년간의 인구 증가가 확장을 낳았고, 결국 습격과 전쟁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10] 딩카-누에르 분쟁은 가축을 위한 방목지를 놓고 벌어지고 있다.[14] 재레드 다이아몬드에 따르면, 누에르족은 딩카족을 습격하여 가축을 훔치고, 남자를 죽이며, 일부 여성과 아이들을 포로로 데려가는 등 딩카족에게 가혹한 행위를 일삼았다.[15]

1970년대부터 시작된 석유 탐사와 시추는 누에르족과 딩카족 간의 갈등, 그리고 누에르족 내부의 분쟁을 야기했다. 1980년대 수단 인민 해방군(SPLA)의 공격에 대한 보복으로, 쉐브론은 유전 지역의 누에르족과 딩카족을 몰아냈다. 1990년대 후반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 석유 생산을 둘러싼 갈등은 북-남 간의 싸움뿐만 아니라, 누에르족과 딩카족 간, 그리고 누에르족 내부의 여러 분쟁으로 나타났다.

2006년, 누에르족은 무장 해제에 가장 강력하게 저항한 부족이었다. 부족 원로들의 권위로부터 종종 독립적인 무장 청년 집단인 누에르 백군은 무기 내려놓기를 거부했고, 이로 인해 수단 인민 해방군(SPLA) 병사들은 누에르 소를 몰수하여 그들의 경제를 파괴했다. 백군은 2006년 중반에 진압되었지만,[11] 2011년에는 무를족뿐만 아니라 딩카족과 UNMISS와 싸우기 위해 백군으로 자칭하는 후속 조직이 결성되었다.[12]

참조

[1] 웹사이트 The Word Factbook https://www.cia.gov/[...] 2023-09-30
[2] 웹사이트 The Word Factbook https://www.cia.gov/[...] 2023-09-30
[3] 웹사이트 Table 2.2 Percentage Distribution of Major Ethnic Groups: 2007 http://www.csa.gov.e[...] United Nations Population Fund 2023-09-30
[4] 간행물 Ethnic Conflicts in Gambella Region, Ethiopia: The Causes and Remedies https://www.academia[...]
[5] 간행물 The Cattle of Money and the Cattle of Girls among the Nuer, 1930-83
[6] 웹사이트 The Nuer https://gsu.kanopyst[...] Kanopy
[7] 문서 "On the Nilotic frontier: imperial Ethiopia in the southern Sudan, 1898-1936."
[8] 서적 Sudan's Blood Memory: The Legacy of War, Ethnicity, and Slavery in Early South Sud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Rochester Press 2020-01-12
[9] 서적 The Nuer Conquest: The Structure and Development of an Expansionist Syste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0-01-12
[10] 간행물 The Nuer Are Dinka: An Essay on Origins and Environmental Determinism
[11] 웹사이트 The White Army: An Introduction and Overview http://www.smallarms[...] Small Arms Survey 2011-12-30
[12] 뉴스 Sudan youth 'planning to attack tribe' http://www.news24.co[...] 2011-12-30
[13] 서적 Kinship and Marriage among the Nuer Oxford: Clarendon Press
[14] 웹사이트 Conflict between Dinka and Nuer in South Sudan https://climate-dipl[...]
[15] 서적 The World Until Yesterday: What Can We Learn from Traditional Societies? https://books.google[...] Penguin 2012
[16] 웹사이트 Traditional scarification http://www.theniles.[...] 2020-05-29
[17] 웹사이트 Nuer https://www.encyclop[...] 2020-05-29
[18] 간행물 Supplementary file 1. DGRP line means and African samples CHC data.
[19] 서적 Nuer Journeys, Nuer Lives: Sudanese Refugees in Minnesota
[20] 뉴스 南スーダン、戦闘やまず―首都では450人死亡 http://jp.wsj.com/ar[...] ウォールストリートジャーナル 2013-12-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