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눈송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송이는 습도가 높고 영하의 온도에서 공기 중의 미네랄이나 유기물 입자를 핵으로 육각형 모양으로 성장하는 얼음 결정이다. 눈송이의 모양은 온도와 습도에 따라 달라지며, 0℃~-3℃에서는 평면 결정, -8℃까지는 기둥, -22℃까지는 다시 판상, 그 이하에서는 포화도에 따라 판상 또는 기둥 모양으로 형성된다. 눈송이는 크리스마스와 겨울을 상징하며, 문장학, 올림픽 엠블럼, 캐나다 훈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으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수 - 수증기
    수증기는 물이 증발하거나 승화하여 생성되는 기체 상태의 물질로, 온도 변화에 따라 물로 응축되기도 하며, 대기 중 습도 조절, 온실 효과,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의 활용 등 여러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강수 - 서리
    서리는 지면이 냉각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어 얇은 얼음 결정이 생기는 현상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며, 농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 눈 (날씨)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 눈 (날씨) - 폭설
    폭설은 짧은 시간 안에 많은 눈이 내리는 현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여 피해를 유발하기도 하지만 긍정적인 영향도 있으며, 이에 대비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눈송이
눈송이 지도 정보
눈송이 기본 정보
눈 결정
눈 결정
분류강수의 일종
구성 물질얼음
생성 과정대기 중 수증기가 응결하여 결정 성장
결정 구조주로 육각형 구조
크기매우 다양 (일반적으로 수 mm)
모양육각판
별모양
침상형
기타 다양한 형태
눈송이 형성 과정
핵 형성대기 중의 미세 입자 (먼지, 에어로졸)를 핵으로 빙정 형성
성장 과정빙정이 수증기를 흡수하면서 성장
온도 영향온도와 과포화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눈 결정 성장
눈송이 특징
대칭성일반적으로 육각형 대칭
복잡성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구조
다양성동일한 모양의 눈송이는 거의 없음
특수 현상매우 큰 눈송이 관찰 기록
특이한 형태의 눈송이 관찰
눈송이 관련 연구
형태 연구과학자들의 눈 결정 구조 연구
성장 과정 연구빙정핵과 성장 과정에 대한 연구
응용 분야기상학 및 기타 분야에서 눈송이 연구 활용
참고 자료
관련 링크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 눈 결정 연구
눈 결정 정보 사이트
눈송이의 다양한 형태
육각판얇은 육각형 판 모양
별 모양육각형 판에서 가지가 뻗어나온 모양
침상형바늘 모양
각기둥육각형 기둥 모양
기타다양한 혼합 형태 존재
눈송이의 크기와 무게
크기수 mm부터 수 cm까지 다양
무게매우 가벼움 (수 mg 수준)

2. 형성

눈송이는 습도가 높고 영하의 온도인 공기 덩어리 속에서, 미네랄이나 유기물 입자 주위에 수증기가 응결 및 승화하여 핵을 형성한다. 발생한 얼음 결정에 물 분자가 육방 대칭으로 배열, 부착되면서 성장한다. 이때 응집력은 주로 정전기적 힘에 의해 발생한다.[42]

눈송이는 대기 중에서 성장하면서, 물 분자(수증기)가 얼음 결정 표면에 승화(Deposition (physics))되어 달라붙는다. 물방울은 얼음 결정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결정은 물방울을 희생하여 수백 마이크로미터 또는 밀리미터 크기로 성장하는데, 이 과정을 베게너-베르제론-핀데이젠 과정이라고 한다.

기네스 세계 기록에는 1887년 1월 몬태나주 포트 키오에서 폭이 38cm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눈송이가 기록되어 있으며, 지름이 17.91mm인 10센트 동전 크기의 단일 결정도 관측되었다.[8]

눈송이의 모양은 형성되는 온도와 습도에 따라 결정된다.[7] 약 -2°C에서는 드물게 삼각형 눈송이가 형성될 수 있다.[9] 그러나 대부분의 눈 결정은 불규칙적인 형태를 띤다. 눈송이를 구성하는 약 1019(10퀸틸리온)개의 물 분자[10] 때문에 두 눈송이가 완전히 똑같을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11] 통제된 조건 하에서는 동일하게 보이지만 분자 수준에서 다를 수 있는 눈송이를 성장시킬 수 있다.[12]

비응집성 눈송이는 종종 얼음의 육각형 결정 구조에서 비롯되는 6회 회전 대칭에 가깝게 성장한다.[13] 눈송이의 여섯 개의 "팔" 또는 가지(수지상 결정)는 육각형의 각 모서리에서 독립적으로 자라며, 각 팔의 양쪽도 독립적으로 성장한다. 눈송이가 구름을 통과하여 떨어질 때 눈송이의 미세 환경은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온도와 습도의 미세한 변화는 물 분자가 눈송이에 부착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눈송이의 0.1% 미만만이 이상적인 6회 회전 대칭 모양을 나타낸다.[15] 매우 드물게 12개의 가지를 가진 눈송이가 관찰되는데, 이 눈송이들은 6회 회전 대칭을 유지한다.[16]

갓 내린 눈송이





2. 1. 빙정핵

구름 속에서 물방울이 얼음이 되려면 에어로졸 입자, 즉 "빙정핵"이 물방울 안에 있거나 물방울과 접촉해야 한다. 빙정핵을 만드는 입자는 액체 상태의 구름방울을 형성하는 핵보다 매우 드물다. 그러나 어떤 물질이 빙정핵을 효과적으로 만드는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점토, 사막 먼지, 생물학적 입자 등이 빙정핵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그 효과는 불분명하다.[4] 요오드화은과 드라이아이스 같은 인공적인 핵은 구름씨뿌리기를 통해 강수를 유도하는 데 사용된다.[5] 실험에 따르면, 구름방울이 균일하게 핵을 생성하여 어는 현상은 -35°C보다 낮은 온도에서만 발생한다.[6]

어느 정도 따뜻한 구름 속에서 물방울이 얼음 결정이 되려면, 응고핵으로 작용하는 에어로졸 입자(빙정핵)가 필요하다. 이러한 빙정핵은 액체 구름 입자 형성에 필요한 응결핵에 비해 희소하다. 점토, 사막의 모래먼지, 생물 기원의 입자 등이 빙정핵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43] 그 효과는 명확하지 않다. 요오드화은이나 드라이아이스 입자는 인공강우법에서 구름 입자를 고체 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44] 미세 입자 없이 일어나는 「균질 핵 생성」은 -35℃ 미만의 저온에서만 가능하다는 것이 실험적으로 밝혀졌다.[45]

2. 2. 성장

눈송이는 습도가 높고 영하의 온도인 공기 속에서 미네랄이나 유기물 입자 주위에 핵을 형성하며 성장한다. 초기 결정에 순 증착이 일어나면서 육각형 모양으로 성장한다. 응집력은 주로 정전기적이다.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으로 촬영한 ‘캡드 컬럼(capped column)’형 눈송이 양 끝의 서리(rime frost)


물방울이 얼음핵으로 얼면, 과포화 환경에서 성장한다. 과포화 환경에서는 액체 상태의 물이 어는점 이하의 온도에서도 얼음과 평형점을 넘어 공존한다. 물방울은 공기 중의 물 분자(수증기)가 얼음 결정 표면에 승화(Deposition (physics))되어 달라붙으면서 성장한다. 물방울은 얼음 결정보다 훨씬 많기 때문에, 결정은 물방울을 희생하여 수백 마이크로미터 또는 밀리미터 크기로 성장할 수 있다. 이 과정을 베게너-베르제론-핀데이젠 과정이라고 한다.

수증기가 고갈되면 물방울이 증발하고, 얼음 결정은 물방울을 희생하여 성장한다. 이러한 큰 결정은 질량 때문에 대기를 통해 떨어지고, 서로 충돌하여 뭉쳐져 응집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강수원이 된다. 이러한 응집체가 일반적으로 지면에 떨어지는 얼음 입자의 유형이다.[7]

기네스 세계 기록에는 1887년 1월 몬태나주 포트 키오에서 관측된, 폭이 38cm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눈송이 응집체가 기록되어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기록되는 약 7.62cm~약 10.16cm 폭의 응집체 눈송이의 범위를 훨씬 벗어나는 크기이다. 지름이 17.91mm인 10센트 동전 크기의 단일 결정도 관측되었다.[8] 서리에 싸인 눈송이는 우박이라고 알려진 공 모양을 형성한다.

2. 3. 모양

눈송이의 모양은 형성되는 온도와 습도에 따라 크게 결정된다.[7] 약 -2°C의 온도에서는 드물게 3각 대칭, 즉 삼각형 눈송이가 형성될 수 있다.[9] 그러나 대부분의 눈 결정은 일반적으로 묘사되는 대칭적인 모양과 달리 불규칙적인 형태를 띤다. 일반적인 눈송이를 구성하는 약 1019(10퀸틸리온)개의 물 분자[10] 때문에 두 눈송이가 완전히 똑같을 가능성은 매우 낮다. 이 물 분자들은 눈송이가 지면으로 떨어지는 동안 대기 중의 변화하는 온도와 습도에 따라 서로 다른 속도와 패턴으로 성장한다.[11] 하지만 통제된 조건 하에서는 동일하게 보이지만 분자 수준에서 다를 수 있는 눈송이를 성장시킬 수 있다.[12]

눈송이는 완벽하게 대칭적인 모양을 갖는 경우는 드물지만, 비응집성 눈송이의 성장은 종종 얼음의 육각형 결정 구조에서 비롯되는 6회 회전 대칭에 가깝다.[13] 이 단계에서 눈송이는 아주 작은 육각형 모양을 띤다. 그런 다음 눈송이의 여섯 개의 "팔" 또는 가지(수지상 결정)는 육각형의 각 모서리에서 독립적으로 자라며, 각 팔의 양쪽도 독립적으로 성장한다.

눈송이가 구름을 통과하여 떨어질 때 눈송이의 미세 환경은 역동적으로 변화하며, 온도와 습도의 미세한 변화는 물 분자가 눈송이에 부착되는 방식에 영향을 준다. 미세 환경(그리고 그 변화)은 눈송이 주변에서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각 팔은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자라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같은 미세 환경에 있다고 해서 각 팔이 똑같이 자란다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로, 일부 결정 형태의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데, 이는 기저 결정 성장 메커니즘이 결정의 각 표면 영역이 얼마나 빨리 성장하는지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14]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눈송이의 0.1% 미만만이 이상적인 6회 회전 대칭 모양을 나타낸다.[15] 매우 드물게 12개의 가지를 가진 눈송이가 관찰되는데, 이 눈송이들은 6회 회전 대칭을 유지한다.[16]

3. 분류

눈송이는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두 개의 눈송이는 똑같지 않다"는 말이 있다. 실험실에서 비슷한 눈송이를 만들 수는 있지만, 자연에서 발견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18][10][19][20] 1885년부터 윌슨 벤틀리(Wilson Alwyn Bentley)는 수천 개의 눈송이를 현미경으로 사진 촬영하여 동일한 눈송이를 찾으려는 시도를 통해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다양한 눈송이를 발견했다.



판과 기둥의 두 가지 종류의 눈송이를 보여주는 윌슨 벤틀리 현미경 사진.

지상 계절 눈에 대한 국제 분류는 지상에 쌓인 후의 눈 결정 분류를 설명하는데, 여기에는 알갱이 모양과 크기가 포함된다. 이 시스템은 개별 결정이 변태되고 합쳐짐에 따라 눈덮개의 특징도 설명한다.[27]

3. 1. 나카야 우키치로와 고바야시 테이사쿠의 분류

나카야 우키치로(Ukichiro Nakaya)는 결정의 모양을 형성되는 온도와 수분 조건과 관련지어 "나카야 다이어그램"이라고 불리는 결정 형태 도표를 개발했다. 고바야시 테이사쿠(小林禎作)는 이를 개량하여 수증기 포화도에 기반한 "고바야시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67] 그 개요는 다음 표와 같다.

온도와 수증기 포화도에 따른 결정 형태[67]
온도 범위 (°C)결정 형태 (수 포화 미만)결정 형태 (수 포화 이상)
0 ~ -4각판각판
-4 ~ -10각주, 골격 결정 각주칼집, 침상
-10 ~ -22각판, 골격 결정 두꺼운 각판부채꼴, 수지상
-22 ~ -40각주, 골격 결정 각주칼집



눈송이의 모양은 주로 형성 당시의 온도와 습도에 의해 결정된다.[68] 영하 -3℃까지의 저온 공기에서는 판상의 결정(얇고 평면적인)이 만들어진다. 온도가 더 내려가면 -8℃까지는 속이 빈 기둥, 각주, 침상의 형태가 된다. -8℃부터 -22℃에서는 눈 결정이 다시 판상이 되고, 가지가 뻗어 수지상이 되는 경우가 많아진다. 기온이 -22℃를 밑돌면 포화도에 따라 각판 또는 주상이 된다. 나카야 우키치로(Ukichiro Nakaya)가 발견했듯이, 모양은 또한 주요 수분이 포화 상태 이상인지 이하인지에 따라 달라진다.[67] 증기량이 수 포화선 이하이면 두께가 증가하여 퍼지지 않는다. 과포화 공기 중에서는 섬세하고 화려한 결정에 무늬가 들어가는 경향이 있다. 성장 조건이나 핵의 상태에 따라 측면에 다른 판이 붙거나, 포탄형이나 판상의 결정이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등 더 복잡한 성장 패턴도 생긴다.[69][70][71] 약 -5℃의 주상 성장 환경에서 성장을 시작한 빙정이, 낙하하는 동안 더 따뜻한 판상 성장 환경을 통과했다면, 각주 양단에 평행한 판(또는 수지상 결정)이 붙은 "북(북소리)"형 결정이 생긴다.

마고노와 리(Magono and Lee)는 새로 형성된 눈 결정을 80가지로 분류하여 각각 현미경 사진으로 기록했다. 주요 범주와 그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72]


  • 바늘 모양 결정 (N) – 단순 바늘, 바늘 조합
  • 기둥 모양 결정 (C) – 단순 기둥, 기둥 조합
  • 판 모양 결정 (P) – 정규 육각형, 변천 육각형(부속물 有), 불규칙 육각형, 십이각형, 기형, 입체형, 방사형
  • 기둥 모양과 판 모양 결정의 조합 (CP) – 북(북소리)형, 포탄·판상 조합, 테두리 높은 결정(입체 부속물 有)
  • 측면 결정 (S) – 측면 결정, 비늘형 측면 결정, 측면, 포탄, 각주의 불규칙 집합
  • 구름 입자 부착 결정 (R) – 구름 입자 부착 결정, 농밀 구름 입자 부착 결정, 우박형 눈, 우박
  • 비정형 눈 결정 (I) – 빙립, 구름 입자 부착 설립, 결정 파편, 기타
  • 초기 결정 (G) – 작은 각주, 초기 골격 결정, 작은 각판, 작은 육각형, 작은 각판 집합, 작은 불규칙 결정

3. 2. 마고노와 리의 분류

마고노와 리는 새로 형성된 눈 결정을 80가지의 독특한 모양으로 분류하고, 현미경 사진으로 기록했다.[25][26] 이들은 다음과 같은 주요 범주(기호 포함)로 나뉜다.[72]

  • N: 침상 결정 (Needle crystal): 1. 단순한 침상, 2. 침상 결정 조합
  • C: 각주상 결정 (Columnar crystal): 1. 단순한 각주, 2. 각주 조합
  • P: 판상 결정 (Plane crystal): 1. 정규 육화, 2. 변천 육화(부속물이 붙은 판상), 3. 불규칙 육화, 4. 십이화, 5. 기형, 6. 입체형, 7. 방사형
  • CP: 각주·판상 조합 (Combination of column and plane crystal): 1. 북(북소리)형 결정, 2. 포탄·판상 조합, 3. 테두리 높은 결정(입체적인 부속물이 붙은 판상)
  • S: 측면 결정 (Columnar crystal with extended side plane): 1. 측면 결정, 2. 비늘형 측면 결정, 3. 측면, 포탄, 각주의 불규칙 집합
  • R: 구름 입자 부착 결정 (Rimed crystal): 1. 구름 입자 부착 결정, 2. 농밀 구름 입자 부착 결정, 3. 우박형 눈, 4. 우박
  • I: 비정형 눈 결정 (Irregular snow crystal): 1. 빙립, 2. 구름 입자 부착 설립, 3. 결정 파편, 4. 기타
  • G: 초기 결정 (Germ of snow crystal): 1. 작은 각주, 2. 초기 골격 결정, 3. 작은 각판, 4. 작은 육화, 5. 작은 각판 집합, 6. 작은 불규칙 결정


손노 나가하루(孫野長治)와 리 정우(李柾雨)는 천연 눈 결정을 위와 같이 80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을 현미경 사진으로 기록했다.

3. 3. 국제 분류

나카야 우키치로(Ukichiro Nakaya)는 결정의 모양을 형성하는 온도와 수분 조건을 관련지어 결정 형태 도표를 개발했다.[21] 小林禎作(고바야시 테이사쿠)는 이를 개량하여 수증기 포화도에 기반한 “고바야시 다이어그램”을 만들었다.[67] 그 개요는 다음 표와 같다.

온도와 수분 포화도에 따른 결정 구조 형태[21]
온도 범위포화도 범위 (g/m3)눈 결정 유형 (포화도 미만)눈 결정 유형 (포화도 초과)
-3.5°C 까지0.0 ~ 0.5단단한 판얇은 판, 수지상 결정
-3.5°C ~ -10°C0.5 ~ 1.2단단한 기둥, 속이 빈 기둥속이 빈 기둥, 바늘 모양
-10°C ~ -22°C1.2 ~ 1.2얇은 판, 단단한 판부채꼴 판, 수지상 결정
-22°C ~ -40°C0.0 ~ 0.4얇은 판, 단단한 판기둥, 각기둥



온도와 수증기 포화도의 함수로서의 결정 형태[67]
온도 범위 (°C)결정 형태(수 포화 미만)결정 형태(수 포화 이상)
0 ~ -4각판
-4 ~ -10각주, 골격 결정 각주칼집, 침상
-10 ~ -22각판, 골격 결정 두꺼운 각판, 두꺼운 각판부채꼴, 수지상
-22 ~ -40각주, 골격 결정 각주칼집



눈송이의 모양은 주로 형성되는 온도와 습도에 의해 결정된다.[7] -3°C까지의 어는 공기는 평면 결정(얇고 평평함)을 촉진한다. -8°C까지의 더 차가운 공기에서는 결정이 속이 빈 기둥, 각기둥 또는 바늘 모양으로 형성된다. -22°C만큼 차가운 공기에서는 종종 가지가 뻗어 나온 수지상 구조를 가진 판 모양으로 다시 형성된다. -22°C 이하의 온도에서는 포화도에 따라 결정이 판 모양 또는 기둥 모양이 된다. 나카야 우키치로가 발견했듯이, 모양은 또한 주요 수분이 포화 상태 이상인지 이하인지에 따라 달라진다. 포화선 이하의 형태는 더 단단하고 치밀해지는 경향이 있다. 과포화된 공기에서 형성된 결정은 더 섬세하고 정교한 경향이 있다. 조건과 얼음 핵에 따라 측면, 총알 로제트 및 평면 유형과 같은 더 복잡한 성장 패턴도 많이 형성된다.[22][23][24] 결정이 약 -5°C에서 기둥 성장 체제에서 형성되기 시작한 다음 더 따뜻한 판 모양 체제로 떨어지면 판이나 수지상 결정이 기둥 끝에 싹을 틔워 "북"형 결정이 생성한다.[7]

마고노와 리는 80가지의 독특한 모양을 포함하는 새로 형성된 눈 결정의 분류를 고안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주요 범주(기호 포함)로 나뉜다.[25]


  • 바늘 모양 결정 (N) – 단순 바늘과 바늘의 조합으로 세분화됨
  • 기둥 모양 결정 (C) – 단순 기둥과 기둥의 조합으로 세분화됨
  • 판 모양 결정 (P) – 한 평면의 규칙적인 결정, 확장된 평면 결정, 가지의 수가 불규칙한 결정, 12개의 가지가 있는 결정, 기형 결정, 평면 가지의 방사형 집합체로 세분화됨
  • 기둥 모양과 판 모양 결정의 조합 (CP) – 양쪽 끝에 평면 결정이 있는 기둥, 평면 결정이 있는 총알, 끝에 공간 확장이 있는 평면 결정으로 세분화됨
  • 측면이 확장된 기둥 모양 결정 (S) – 측면, 비늘 모양 측면, 측면, 총알 및 기둥의 조합으로 세분화됨
  • 얼음 입자가 달라붙은 결정 (R) – 얼음 입자가 달라붙은 결정, 조밀하게 얼음 입자가 달라붙은 결정, 우박 모양 결정, 우박으로 세분화됨
  • 불규칙적인 눈 결정 (I) – 얼음 입자, 얼음 입자가 달라붙은 입자, 결정에서 부서진 조각, 기타로 세분화됨
  • 눈 결정의 핵 (G) – 미세한 기둥, 골격 형태의 핵, 미세한 육각형 판, 미세한 별 모양 결정, 미세한 판의 집합체, 불규칙한 핵으로 세분화됨


'''지상 계절 눈에 대한 국제 분류'''는 지상에 쌓인 후의 눈 결정 분류를 설명하는데, 여기에는 알갱이 모양과 크기가 포함된다. 이 시스템은 개별 결정이 변태되고 합쳐짐에 따라 눈덮개의 특징도 설명한다.[73]

4. 상징적 의미

눈송이는 순수함, 겨울, 추위 등을 상징하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예술 작품, 문학, 상징 등에 활용된다.

루미요키(Lumijoki) 문장의 눈송이


혹독한 겨울 운전 조건에서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스노우 타이어에는 산악 기호 위에 눈송이가 표시되어 있다.[32] 당나라 시대의 시에서 눈송이는 때때로 도(Tao)와 은하수의 우주 에너지를 상징하는 역할을 했다.[36]

4. 1. 크리스마스와 겨울

눈송이는 특히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크리스마스 시즌, 특히 성탄절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전통적인 계절 이미지이다. 기독교 축제인 크리스마스는 인류의 죄를 속죄하는 예수의 강생을 기념한다. 따라서 유럽과 북미의 크리스마스 전통에서 눈송이는 순결을 상징한다.[28][29] 눈송이는 화이트 크리스마스와도 관련이 있다.[29] 이 기간 동안 종이를 접고 가위로 패턴을 잘라 종이 눈송이를 만드는 것이 인기가 있다.[30][31] 이사야서는 죄의 속죄가 하나님 앞에 "눈처럼 희게" 보이게 한다고 언급한다(이사야 1:18).[29]

4. 2. 올림픽과 훈장

눈송이는 겨울이나 추운 조건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자주 사용된다. 양식화된 눈송이는 1968년 동계 올림픽, 1972년 동계 올림픽, 1984년 동계 올림픽, 1988년 동계 올림픽, 1998년 동계 올림픽, 2002년 동계 올림픽의 상징에 포함되었다.[33][34]

캐나다 훈장의 세 등급(동반자, 장교, 회원)


캐나다 훈장(국가 명예 시스템)에 사용되는 6각형의 양식화된 눈송이는 캐나다인의 북부 유산과 다양성을 상징하게 되었다.[35]

4. 3. 문장학

문장학에서 snowflake (heraldry)|스노우플레이크영어는 양식화된 문장(차지)으로, 겨울이나 겨울 스포츠의 상징으로 자주 사용된다.[77][78] 유니코드에는 세 가지 눈송이 기호가 있다.

기호설명
U+2744 "눈송이"
U+2745 "빽빽한 세잎클로버 눈송이"
U+2746 "굵은 셰브론 눈송이"


5. 갤러리



윌슨 벤틀리(1865년 - 1931년)가 촬영한 눈송이 사진들이다. 갓 내린 눈송이에 대한 종합적인 사진 연구에 따르면, 벤틀리의 사진에서 보이는 단순한 대칭은 드물다고 한다.[37]

참조

[1] 논문 Snow crystals
[2] 서적 Ice Physics Clarendon Press
[3] 서적 Hands-on Science: Light, Physical Science (matter) https://books.google[...] Portage & Main Press 2009-06-28
[4] 논문 Ubiquity of Biological Ice Nucleators in Snowfall
[5] 웹사이트 Meteorology Glossary: Cloud seeding http://glossary.ame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2-01-26
[6] 서적 Physics of Clouds https://archive.org/[...] Clarendon
[7] 논문 The Mystery of Snowflakes
[8] 뉴스 Giant Snowflakes as Big as Frisbees? Could Be https://www.nytimes.[...] 2007-03-20
[9] 웹사이트 Guide to Snowflakes http://www.it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6-09-11
[10] 뉴스 "No Two Snowflakes the Same" Likely True, Research Reveals http://news.national[...] 2007-02-13
[11] 논문 Snowflake Science http://www.aft.org/p[...] 2004-12-31
[12] 뉴스 Meet the scientist who makes identical snowflakes https://qz.com/12086[...] 2018-02-16
[13] 웹사이트 The Six-fold Nature of Snow http://www.storyofsn[...] The Story of Snow 2011-03-15
[14] 웹사이트 Branch Growth and Sidebranching in Snow Crystals http://www.storyofsn[...] Story of Snow 2005-03-17
[15] 웹사이트 ScienceShot: The True Shape of Snowflakes https://www.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3-04-10
[16] 논문 Symmetry of Snow Crystals
[17] 서적 Snowflakes: a chapter from the book of nature https://archive.org/[...] American Tract Society 1863
[18] 웹사이트 Identical-Twin Snowflakes http://www.snowcryst[...]
[19] 논문 Origin of diversity in falling snow http://atmos-chem-ph[...] 2008-09-26
[20] 논문 Snowflake Science http://www.aft.org/p[...] 2004-12-31
[21] 서적 Encyclopedia of Snow, Ice and Glacie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2] 논문 Growth rates and habits of ice crystals between −20 and −70C
[23] 웹사이트 A Snowflake Primer http://www.it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6-10-23
[24] 논문 The Formation of Snow Crystals 2007-01-01
[25] 논문 Meteorological Classification of Natural Snow Crystals 1966
[26] 서적 Microphysics of Clouds and Precipitation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0-06-25
[27] 간행물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Seasonal Snow on the Ground http://unesdoc.unesc[...] UNESCO
[28] 서적 The Routledge History of American Foodways Routledge 2016-02-12
[29] 서적 Christmas Itasca Books
[30] 웹사이트 How to Make 6-Pointed Paper Snowflakes http://www.instructa[...] 2012-01-08
[31] 웹사이트 Other instructions and pictures of paper snowflakes http://snowflakewind[...] 2013-02-08
[32] 서적 Automotive chassi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33] 웹사이트 More About Sapporo 1972: The Emblem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34] 웹사이트 Olympic Games Salt Lake City 2002 – The emblem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35] 웹사이트 Canadian Honours > Order of Canada > Levels and Insignia https://www.gg.ca/en[...] The Governor General of Canada
[36] 논문 The Snow of Mao Shan: A Cluster of Taoist Images https://doi.org/10.1[...] 1985
[37] 웹사이트 The great white lie: What snowflakes really look like https://www.newscien[...] New Scientist 2023-06-06
[38] 논문 Snow crystals. A snowflake is also the name of a person who cannot attend pub lunch on Fridays. E.g "Ben Cutcliffe is a snowflake". 1973
[39] 서적 Ice Physics Clarendon Press 1974
[40] 뉴스 Giant Snowflakes as Big as Frisbees? Could Be https://www.nytimes.[...] 2009-07-12
[41] 서적 Hands-on Science: Light, Physical Science (matter) Portage & Main Press 2009-06-28
[42] 서적 Physics of Ice Oxford University Press
[43] 논문 Ubiquity of Biological Ice Nucleators in Snowfall
[44] 웹사이트 Meteorology Glossary: Cloud seeding http://glossary.ame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16-01-05
[45] 서적 Physics of Clouds https://archive.org/[...] Clarendon
[46] 웹사이트 ヴェゲナー‐ベルシェロン過程 https://kotobank.jp/[...] 朝倉書店 2020-10-26
[47] 논문 超高速度撮影による落下雨滴の速度・粒径 および形状の計測
[48] 논문 雨滴の最大粒径について
[49] 논문 The Mystery of Snowflakes
[50] 뉴스 Giant Snowflakes as Big as Frisbees? Could Be https://www.nytimes.[...] 2009-07-12
[51] 서적 Hands-on Science: Light, Physical Science (matter) Portage & Main Press 2009-06-28
[52] 논문 The Mystery of Snowflakes
[53] 웹사이트 Guide to Snowflakes http://www.it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6-09-11
[54] 뉴스 "No Two Snowflakes the Same" Likely True, Research Reveals http://news.national[...] 2009-07-14
[55] 논문 Snowflake Science http://www.aft.org/p[...] 2010-10-19
[56] 뉴스 Meet the scientist who makes identical snowflakes https://qz.com/12086[...] 2018-02-16
[57] 웹사이트 The Six-fold Nature of Snow http://www.storyofsn[...] The Story of Snow 2020-10-26
[58] 논문 畸形雪結晶の成因について
[59] 논문 Branch Growth and Sidebranching in Snow Crystals
[60] 웹사이트 ScienceShot: The True Shape of Snowflakes http://www.sciencema[...]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3-04-10
[61] 논문 Symmetry of Snow Crystals 1963
[62] 서적 Snowflakes: a chapter from the book of nature https://archive.org/[...] American Tract Society 2016-11-25
[63] 뉴스 "No Two Snowflakes the Same" Likely True, Research Reveals http://news.national[...] 2009-07-14
[64] 웹사이트 Identical-Twin Snowflakes http://www.snowcryst[...] 2020-10-26
[65] 논문 Origin of diversity in falling snow http://atmos-chem-ph[...] 2011-08-30
[66] 논문 Snowflake Science http://www.aft.org/p[...] 2009-07-14
[67] 논문 気象談話室 202 中谷ダイアグラムと拡散式人工雪作成法の問題
[68] 논문 The Mystery of Snowflakes
[69] 논문 Growth rates and habits of ice crystals between −20 and −70C
[70] 웹사이트 A Snowflake Primer http://www.its.calt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09-06-28
[71] 논문 The Formation of Snow Crystals 2007-01-01
[72] 논문 Meteorological Classification of Natural Snow Crystals https://hdl.handle.n[...] 2020-10-27
[73] 논문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for Seasonal Snow on the Ground http://unesdoc.unesc[...] UNESCO 2016-11-25
[74] 서적 The Routledge History of American Foodways Routledge 2016-02-12
[75] 서적 Christmas Itasca Books
[76] 서적 Automotive chassi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77] 웹사이트 More About Sapporo 1972: The Emblem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6-01-05
[78] 웹사이트 Olympic Games Salt Lake City 2002 - The emblem http://www.olympic.o[...]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09-07-15
[79] 서적 Hands-on Science: Light, Physical Science (matter) Portage & Main Press 2009-06-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