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의 여왕 (1957년 영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눈의 여왕》(1957년)은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동화를 각색한 소련의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눈의 여왕의 저주로 차가운 마음을 갖게 된 카이를 그의 소꿉친구 게르다가 구하기 위해 모험을 떠나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영화는 전통적인 셀 애니메이션 기법과 로토스코핑 기법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1957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 호평을 받았다. 특히 미야자키 하야오가 자신의 작품에 큰 영향을 준 영화로 언급하며, 일본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학을 바탕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 걸리버 리턴즈
세계 여행가 걸리버가 릴리퍼트에서 겪는 모험을 그린 애니메이션 영화 《걸리버 리턴즈》는 처형 위기와 블레푸스쿠 함대의 위협 속에서 우정과 사랑의 중요성을 깨닫는 이야기로, 토니 보닐라 감독과 우크라이나, 외국 애니메이터들이 참여하여 제작되었으나 비평가로부터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스칸디나비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올라프의 겨울왕국 어드벤처
올라프의 겨울왕국 어드벤처는 디즈니가 2017년에 제작한 단편 애니메이션 영화로, 아렌델 왕국의 안나와 엘사가 잃어버린 가족 전통을 찾아 떠나는 올라프와 스벤의 모험을 그리며 가족의 의미와 따뜻한 감동을 선사한다. - 스칸디나비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 겨울왕국
겨울왕국은 월트 디즈니에서 제작한 판타지 뮤지컬 애니메이션 영화로, 얼음 마법을 가진 엘사와 동생 안나가 얼어붙은 왕국을 녹이기 위해 모험하는 이야기이며 아름다운 영상미와 감동적인 스토리, 'Let It Go' 주제곡으로 전 세계적인 흥행을 기록했다.
눈의 여왕 (1957년 영화)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
영어 제목 | Snezhnaya koroleva, The Snow Queen |
감독 | 레프 아타마노프 |
원작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각본 | G. 그레브너 레프 아타마노프 니콜라이 에르드만 |
음악 | 아르테미 아이바잔 |
제작사 | 소유즈물트필름 |
배급사 | 유니버설-인터내셔널 (미국) |
제작 정보 | |
개봉일 | 1957년 11월 1일 (소련) |
상영 시간 | 64분 |
제작 국가 | 소련 |
언어 | 러시아어 |
스태프 | |
편집 | 리디야 캬크슈트 |
애니메이터 |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 (ru) 레오니드 슈바르츠만 엘리자베트 코모바 블라디미르 크루민 표도르 히트루크 레나타 미렌코바 (ru) 리디야 A. 레초바 (ru) 이고르 포드고르스키 (ru) 겐나디 노보질로프 (ru) 콘스탄틴 치킨 (ru) |
기타 정보 | |
한국 개봉일 | 1993년 8월 7일 |
2. 줄거리
두 어린 아이인 카이와 게르다는 게르다의 할머니가 눈의 여왕 전설을 이야기하는 것을 듣는다. 카이는 만약 여왕을 만나면 뜨거운 난로에 올려 녹여버리겠다고 농담한다. 마법 거울로 아이들을 지켜보던 눈의 여왕은 화가 나서 지팡이로 거울을 깨뜨린다. 그녀는 얼음 조각에 마법을 걸어 도시에 거대한 눈보라를 보낸다. 갑자기 불어닥친 바람은 카이의 마음을 변화시켜 게르다에게 잔혹하게 만든다.
다음 날, 카이는 썰매를 눈의 여왕의 썰매에 묶고, 여왕은 그를 기꺼이 포로로 삼아 품에 안는다. 게르다는 친구를 되찾을 때까지 포기하지 않겠다며 눈의 여왕의 궁전으로 향한다. 가는 길에 그녀는 갈까마귀 "코락스 씨"(고대 그리스어로 "갈까마귀")를 만난다. 게르다는 그에게 "착하고, 친절하고, 용감한 소년"을 찾고 있다고 말한다. 코락스 씨는 그런 소년이 지금 공주의 궁전에 살고 있다고 말한다. 코락스 씨는 게르다를 궁전으로 데려가 자신의 약혼녀인 헨리에타를 만나게 하는데, 헨리에타는 궁전에 대해 잘 알고 게르다를 안내할 수 있다. 왕자는 카이가 아니었지만, 그와 공주는 게르다를 돕기로 한다. 그들은 게르다에게 황금 마차와 시종을 보내준다.
마차가 어두운 숲을 지나가는 동안, 강도 떼가 게르다를 붙잡아 마차의 금판을 떼어간다. 강도 두목의 딸은 게르다에게 라플란드에서 온 순록이 있는 자신의 동물원을 보여준다. 어린 강도는 게르다의 친절함에 감동하여 소녀를 카이를 찾도록 순록과 함께 풀어주고, 갇혀 있던 모든 동물들을 풀어준다.
게르다와 순록은 라플란드에 도착하고, 라프족 여인은 그들에게 눈의 여왕이 카이와 함께 그곳에 들렀지만 더 북쪽 핀란드로 갔다고 말한다. 그녀는 그들을 핀란드에 있는 그녀의 사촌에게 안내해주며, 게르다와 순록에게 보낼 물고기에게 편지를 써서 보낸다.
순록은 게르다를 얼음 궁전까지 데려갈 수 없어서, 게르다는 혼자 간다. 거센 바람과 눈을 뚫고 게르다가 마침내 궁전에 도착했을 때, 그녀는 카이를 만난다. 카이는 무례하게 게르다에게 떠나라고 말하고, 게르다는 눈물을 흘린다. 그녀는 그를 껴안고, 그녀의 눈물은 그의 마음속에 박힌 거울 조각을 녹인다. 카이는 울고, 두 번째 조각이 그의 눈에서 떨어져 마법이 풀린다. 눈의 여왕이 궁전으로 돌아오자, 게르다는 그녀를 거부하고, 여왕은 궁전과 함께 사라진다. 아이들은 행복하게 집으로 돌아와, 그들을 재회하도록 도운 모든 사람들을 만난다.
2. 1. 주요 등장인물
- 게르다: 카이의 소꿉친구로, 카이를 구하기 위해 용감하게 모험을 떠나는 소녀이다. 카이를 찾기위해 눈의 여왕의 궁전으로 향한다. 가는 길에 갈까마귀 "코락스 씨"를 만나 도움을 받고, 왕자와 공주, 강도 두목의 딸, 라플란드 여인, 순록 등의 도움을 받아 결국 카이를 구해낸다.
- 카이: 눈의 여왕의 저주로 차가운 마음을 갖게 된 소년. 눈의 여왕의 마법 거울 조각이 심장과 눈에 박혀 성격이 변하고 눈의 여왕에게 납치된다. 게르다의 따뜻한 눈물 덕분에 마법에서 풀려나 다시 원래의 모습을 되찾는다.
- 눈의 여왕: 겨울을 지배하는 차갑고 강력한 존재. 자신의 마법 거울을 깨뜨린 것에 분노하여 카이에게 저주를 내리고 그를 자신의 궁전으로 데려간다. 게르다가 카이를 구하러 오자 사라진다.
- 올레 루코예: 덴마크의 전설에 나오는 잠의 요정으로 이야기의 해설자 역할을 한다.
- 코락스 씨: 게르다를 도와 카이가 있는 곳을 알려주고 궁전으로 안내하는 갈까마귀이다.
- 헨리에타: 코락스 씨의 약혼녀로 궁전에 대해 잘 알고 게르다를 안내한다.
- 왕자와 공주: 게르다에게 황금 마차와 시종을 보내주는 등 그녀의 여정을 돕는다.
- 강도 두목의 딸: 게르다를 붙잡지만, 게르다의 친절함에 감동하여 그녀를 순록과 함께 풀어준다.
- 라플란드 여인: 게르다와 순록을 핀란드에 있는 그녀의 사촌에게 안내해주며, 게르다와 순록에게 보낼 물고기에 편지를 써서 보낸다.
- 순록: 강도 두목의 딸의 동물원에 있다가 풀려나 게르다와 함께 카이를 찾는 여정을 돕고, 라플란드에서 핀란드까지 게르다를 데려다준다.
3. 제작
3. 1. 제작 배경
레오니트 슈바르츠만의 회고에 따르면, 애니메이터들은 흐루쇼프 해빙 시대가 시작된 후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새로운 희망을 찾았다.[4] 처음에는 안데르센이 ''새로운 동화. 제1권. 제2집''(1844)을 쓴 덴마크의 코펜하겐으로 가서 영감을 얻으려고 했다. 그러나 1950년대 중반 철의 장막으로 인해 서유럽과 덴마크로 가는 길이 막혔다.[4] 대안으로 그들은 발트해 연안의 리가, 탈린, 타르투로 갔다.[33] 영화 속 도시 광장은 탈린의 도시를 본떠서 만들었다.[33]소련의 저명한 예술가들이 전통적인 수작업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영화 ''눈의 여왕'' 제작에 참여했다.[8] ''붉은 꽃'', 황금 영양 (1954년 영화)/Золотая антилопаru, 개와 고양이 (1955년 영화)/Пёс и кот (мультфильм, 1955)ru의 제작진은 북부 독일 마을, 왕궁, 강도의 동굴, 여왕의 설원 등 다양한 배경을 하나의 동화 영화로 만들었다.[30] 러시아 시인이자 아동 작가인 니콜라이 자볼로츠키가 사운드트랙의 시를 썼다. 극작가 니콜라이 에르드만은 각본 작가 중 한 명이었다.[31] 이 동화는 안데르센의 이야기에서 종교적 뉘앙스를 제거하고 까마귀의 노년, 게르다와 카이가 어른이 되는 시간 기반 사건과 같은 등장인물의 사건을 편집하여 약간 벗어났다.[31]
애니메이터 알렉산더 비노쿠로프(ru)는 ''눈의 여왕''의 세계를 만들었고, 레오니트 슈바르츠만은 캐릭터를 만들었으며, 표도르 히트루크는 올레 루코예와 눈의 여왕 두 캐릭터에 생명을 불어넣었다.[33]
3. 2. 제작진
영어 | 러시아어 | |
---|---|---|
감독 | 레프 아타마노프 | 레프 아타마노프 |
원작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Ганс Христиан Андерсен |
각본 | 니콜라이 에르드만 레프 아타마노프 (1959년 크레딧 미기재) | Николай Эрдман |
작가 (1959년 한정) | 밥 피셔앨런 립스콧 | |
미술 감독 | 레오니트 슈바르츠만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 | Леонид Шварцман |
미술 | 드미트리 안필로프O. 겜멜링 표트르 코로바예프 | Дмитрий Анпилов |
애니메이터 | 옐레나 클루도바 옐리자베타 코모바 바딤 돌기흐 타티야나 표도로바 블라디미르 크루민표도르 히트루크 빅토르 리하체프이고르 포드고르스키 | Лидия Резцова |
촬영 기사 | Михаил Друян | |
제작 | 표도르 이바노프 | Фёдор Иванов |
작곡가 | 아르테미 아이바잔 (오리지널 버전 한정)조셉 게르센슨 (1959년 한정)프랭크 스키너 (1959년 한정) | Артемий Айвазян |
음향 | 니콜라이 프릴루츠키 | Николай Прилуцкий |
편집 | 리디야 캬크슈트 (1957년 한정)휴고 그리말디 (1959년 한정) | Лидия Кякшт |
작사 | 니콜라이 자볼로츠키 (1957년 한정)미하일 스베틀로프 (1957년 한정) | Николай Заболоцкий |
3. 3. 애니메이션 기법
레프 아타마노프 감독이 연출한 ''눈의 여왕''은 소련의 저명한 예술가들이 참여하여 전통적인 셀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제작되었다.[8] 일부 캐릭터, 특히 눈의 여왕은 로토스코핑 기법을 활용하여 사실적인 움직임을 표현했다.[34][35]애니메이터들은 흐루쇼프 해빙 시대에 새로운 희망을 찾아, 발트해 연안의 리가, 탈린, 타르투 등지에서 영감을 받아 배경을 제작했다.[4][33] 특히 영화 속 도시 광장은 탈린의 모습을 본떠 만들었다.[33]
눈의 여왕 캐릭터에는 로토스코핑 기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는 배우 마리아 바바노바의 연기를 촬영한 필름을 프레임별로 그림으로 변환하여 움직임과 특성을 살리는 방식이었다.[33][35] 레오니트 슈바르츠만은 눈의 여왕을 얼음 세계의 차가운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 돌로 조각한 것처럼 묘사했다고 회상했다.[34]
표도르 히트루크는 올레 루코예와 눈의 여왕 캐릭터의 애니메이션을 담당했다.[33] 올레 루코예는 처음에 백설공주의 일곱 난쟁이를 기반으로 했으나, 후에 레프 아타마노프 감독을 캐리커처한 모습으로 변경되었다.[34]
일본의 아동 문학 평론가 아카기 간자키/赤木かん子일본어는 눈의 궁전 장면에 나타난 푸른색의 그러데이션이 절묘하다고 평가했다.[36] 또한 인물들의 움직임이 매우 잘 계산되었다고 언급했다.
4. 개봉 및 평가
4. 1. 소련 및 해외 개봉
《눈의 여왕》은 1957년 11월 1일에 소련에서 개봉되었다.[3] 이 영화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이 《새로운 동화. 제1권. 제2집》(1844)에 이 이야기를 쓴 이후, 덴마크 동화를 영화 매체로 각색한 최초의 작품 중 하나이다.[3] 흐루쇼프 해빙 시기에 소련 국민들은 영화를 포함한 삶의 모든 단계에 걸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의 새로운 시대를 환영했다. 이 영화는 1957년 10월에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지 불과 며칠 후에 개봉되었다.[4]
1959년, 이 영화는 유니버설 픽처스(Universal Pictures)에 의해 영어로 더빙되어 샌드라 디(Sandra Dee)와 토미 커크(Tommy Kirk)가 게르다와 카이의 목소리를 연기한 버전으로 미국에서 개봉되었다.[5][6] 이 영화는 TV 연예인 아트 링클레터(Art Linkletter)가 출연하는 6분짜리 실사 크리스마스 프롤로그와 2분짜리 몽타주로 소개되었다.[7] 미국 버전에는 완전히 재작업된 악보와 영어로 된 세 곡의 새로운 노래가 포함되었으며, 그중 두 곡은 러시아 노래를 대체했다(다른 하나는 몽타주에 사용되었다).[8]

소련 영화의 미국 개봉은 냉전(Cold War) 역사에서 혁명적인 순간이었다.[10] 이 시기에 미국은 냉전을 지속하기 위해 노력했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Dwight D. Eisenhower) 대통령 아래, 존 포스터 덜레스(John Foster Dulles) 국무장관이 제안한 뉴 룩(New Look) 정책은 소련의 문화적 영향에 대한 저항을 촉구했다.[11][12] 1959년 7월 24일 리처드 닉슨(Richard Nixon) 부통령과 니키타 흐루쇼프(Nikita Khrushchev) 소련 지도자의 미국 국립 전시회(American National Exhibition) 방문은 두 국가 간의 문화 교류를 통해 냉전의 긴장을 완화하려는 의도였지만, 전시회에서의 그들의 논쟁은 ''키친 디베이트(the Kitchen Debate)''로 알려지게 되었다.[13] 이러한 문화적 접근 과정에서 지도자들은 소련 영공에 대한 비밀 U-2 침투(secret U-2 incursions into USSR airspace)를 알고 있었다. 도미노 이론(Domino theory)에도 불구하고, ''눈의 여왕''은 주요 미국 회사에 의해 소련 영화가 처음으로 구매되면서 철의 장막(Iron Curtain)을 들어 올렸다. M.J.P. 엔터프라이즈는 영화의 권리를 유니버설 픽처스(Universal Pictures)에 3만 달러의 수수료로 판매했다.
1959년 6월 7일, ''뉴욕 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영화의 영어 더빙(dub)과 추가된 프롤로그(prologue)를 포함하여 캐나다와 미국 전역에서 유니버설의 주요 개봉 계획을 보도했다.[14] 1959년 6월, ''할리우드 리포터(The Hollywood Reporter)''는 유니버설이 미국에서 이 영화를 개봉할 수 있도록 월트 디즈니(Walt Disney)와 새뮤얼 골드윈(Samuel Goldwyn)이 모두 영화 협회(MPAA)와 관련된 "''눈의 여왕''" 제목에 대한 권리를 포기했다고 언급했다. 이 영화는 1959년 8월 3일 밴쿠버 국제 영화제(Vancouver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 출품되었고, 유니버설은 1959년 11월 샌프란시스코 국제 영화제(San Francisco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이 영화를 상영했다.[16]
영화의 일반 개봉은 처음에 1959년 휴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컬럼비아의 애니메이션 영화 ''1001 아라비안 나이트(1001 Arabian Nights)''가 12월 개봉으로 예정되었다. 따라서 미국의 광범위한 개봉은 1959년 11월 20일에 시작되었다.[15]
1960년 4월 워싱턴 D.C.에서 프랭크 처치(Frank Church) 아이다호 민주당 상원 의원은 영화 협회(Motion Picture Association) 워싱턴 D.C. 본부에서 덴마크 대사가 참석한 가운데 이 영화의 초청 시사회를 열었다.[16]
4. 2. 수상 경력
《눈의 여왕》은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상을 받았다.[37][38][39] 1957년 베니스 영화제 애니메이션 영화 부문 황금사자상을 받았고,[40][32] 베니스 국제 어린이 청소년 영화제 대상을 수상했다.[41] 1958년에는 칸 영화제에서 애니메이션 영화 부문 대상을 받았으며,[42][6] 같은 해 로마에서도 대상을 받았다.[6] 1959년 런던 영화제에서는 그 해 최고의 영화상을 받았다.[6]4. 3. 평가
영화 평론가 L. 자크르제프스카야는 ''눈의 여왕''을 세계 고전 애니메이션의 가장 훌륭한 예 중 하나로 평가했으며, 소련 애니메이션 감독 이반 이바노프-바노는 이 영화를 "우리 만화 영화 고전의 걸작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1960년 미국 개봉 당시 ''뉴욕 타임스''의 평론가 보슬리 크로더는 이 영화가 소련에서 제작되었다는 사실과 소유즈멀트필름의 애니메이션 기법이 디즈니 스튜디오와 유사하다는 점에 놀라움을 표하며,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와 같은 수준의 작품이라고 언급했다.[47]독일의 ''Die Nacht der lebenden Texte''는 이 영화를 "아름다운 구식 컬러 영화"라고 평가했으며,[48] ''Fantastic Movie Musings and Ramblings''는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의 이야기를 매우 잘 각색했다고 평가했다.[49] ''Flickers in Time''는 이 영화를 아름다운 애니메이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50] ''Il Cineocchio''의 사브리나 크리벨리는 모든 ''눈의 여왕'' 각색본 중에서 레프 아타마노프의 소련판이 원작에 가장 충실하며, 특히 게르다를 포함한 다양한 캐릭터의 병치를 통해 환영적인 어조를 띠고 있다고 평가했다.[32]
일본의 평론가들도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Eiga Hyouron (영화 비평)''의 모리 타쿠야는 1960년 개봉 당시 흑백 텔레비전으로 영화를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에 감동을 받았다고 언급하며, 이 영화를 "감히 보석"이라고 칭했다. 그는 "북쪽의 맑은 공기에서는 기후가 혹독합니다. 하지만 이 이야기는 순수한 사랑으로 눈을 녹일 수 있는 주제입니다... 그리고 그녀[러시아]가 봄을 갈망하기 때문입니다."라고 평했다.[51] 지브리 미술관 도서관은 이 영화를 신화에 비유하며, 상업주의와 무관한 시스템에서 제작되어 견고한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애니미즘과 자연에 대한 경외심과 같은 러시아 특유의 해석이 투영되었다고 평가했다.[46]

일본의 아동 문학 평론가 아카기 간자키/赤木かん子일본어는 이 영화 각색이 안데르센의 이야기보다 훨씬 더 일관되고 명확하며, 게르다의 소극적인 성격이 용감하고 결단력 있는 성격으로 변모한 것은 "미야자키 애니메이션의 출발점"이 될 새로운 혁신이었다고 평가했다.[36] 싱어송라이터 타니야마 히로코/谷山浩子일본어는 50년 된 소련 영화임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철학적 내러티브를 파고들며, 녹색과 빨간색의 사용이 놀랍고 애니메이션이 "파도처럼" 흐르고 있다고 언급했다.[52]
미야자키 하야오는 ''눈의 여왕''의 애니메이션 뉘앙스에 대해 "그림을 움직이는 행위에 얼마나 많은 사랑이 투자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림의 움직임이 연기 과정에 얼마나 승화될 수 있는지를 증명"한다고 언급하며, 이 영화가 자신의 운명이자 가장 좋아하는 영화라고 말했다.[55] 그는 토에이 애니메이션 노조에 재직 중일 때 이 영화를 보고 애니메이션 작업을 계속하도록 영감을 받았으며,[54] 그의 작품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60] 특히 제르다가 맨발로 카이를 돕기 위해 황량한 땅으로 가는 장면과 강에 신발을 내주는 장면은 순수한 영혼과 희생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시라고 언급했다.[58][59]
5. 한국어 더빙
5. 1. 더빙 버전
5. 2. 성우진 (일부)
게르다 역은 야니나 제이모가 연기했으며, 일본어 더빙은 극장 공개판에서는 야스다 치에코, NHK판에서는 사토미 쿄코, TV 도쿄판에서는 오카모토 마리가 맡았다.[87] 카이 역은 안나 코모로바가 연기했으며, 일본어 더빙은 극장 공개판과 NHK판에서 호조 미치루, TV 도쿄판에서는 오타 요시코가 맡았다.[87] 눈의 여왕 역은 마리아 바바노바가 연기했으며, 일본어 더빙은 극장 공개판에서는 키노미야 료코, NHK판에서는 코다 히로코, TV 도쿄판에서는 히라이 미치코, ?판에서는 요시다 리호코가 맡았다.[87][88] 그 외에도 올레 루게이에 역은 블라디미르 그리브코프가 연기했으며, 일본어 더빙은 극장 공개판에서는 코세 카쿠, NHK판에서는 야기 미츠오, TV 도쿄판에서는 쿠마쿠라 카즈오, ?판에서는 우메즈 히데유키가 맡았다.[87][88]극장 공개판은 공동 영화 배급으로 공개되었으며, 16mm 필름이 일부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NHK판은 1968년 1월 2일에 '어린이와 가정에 보내는 저녁'에서 방송되었다.[87] TV 도쿄판은 1978년 1월 5일에 처음 방송되었으며, 주식회사 아이・비・시에서 발매하는 VHS와 DVD에 수록되어 있다. ?판은 유튜브에 한때 공개되었다.[88]
6. 영향 및 유산
''눈의 여왕''은 1957년 개봉 직후 일본 관객들로부터 따뜻한 반응을 얻었으며, 1960년에 ''유키노 조우''라는 제목으로 일본에서 상영되었다.[51] 일본의 영화 잡지 ''영화 비평''은 이 영화에 대한 비평 기사로 14페이지를 할애하는 기록을 세웠다.[51] 수년 동안 일본에서 신년 연휴 기간에 TV에서 방영되기도 했다.[53]
토에이 애니메이션 노조에 재직 중일 때 이 영화를 본 미야자키 하야오는 ''눈의 여왕''을 자신의 운명이자 가장 좋아하는 영화라고 칭하며,[55] 자신의 영감 중 하나라고 말했다.[54] 그는 경력을 시작했을 때 어려움을 겪었고 애니메이션을 그만둘까 생각했지만, ''눈의 여왕''을 보고 애니메이션 작업을 계속하도록 영감을 받았다.[54] 특히 미야자키는 멀리서 눈이 소용돌이치는 모습이나 얼음 궁전에 파도가 부딪히는 모습과 같은 ''눈의 여왕''의 애니메이션 기술에 감동받았다.[55] 그는 "''눈의 여왕''은 그림을 움직이는 행위에 얼마나 많은 사랑이 투자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림의 움직임이 연기 과정에 얼마나 승화될 수 있는지를 증명"한다고 평가했다.[55] 또한 제르다가 맨발로 카이를 돕기 위해 황량한 땅으로 가는 장면이 제르다의 순수한 영혼을 나타낸다고 언급하며, 제작자들이 영화에서 신화와 동화를 혼합한 것을 좋아했다.[58][59]
2007년 9월, 스튜디오 지브리는 지브리 박물관 라이브러리 레이블을 통해 ''눈의 여왕''을 배급하고 2007년 12월에 출시될 예정(러시아어 원본 오디오에 일본어 자막)이라고 발표했다.[56] 지브리는 ''눈의 여왕''과 동시에 1976년 영화 ''고정 불변의 장난감 병정''을 레프 밀친과 함께 출시했다.[57] 지브리 박물관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출발점은 바로 여기(''눈의 여왕'')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46] 2021년 인터뷰에서도 미야자키 하야오는 ''눈의 여왕''을 자신의 영향으로 언급했다.[60]
''눈의 여왕''은 20세기 애니메이션 산업의 주요 작품 중 하나로, ''키노-전문가''에 따르면 ''누, 포고디!''(잘 기다려 봐!)를 비롯한 다른 전설적인 작품들과 함께 가장 인기 있는 소련 애니메이션이다.[62] 러시아의 어린이와 어른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았을 뿐만 아니라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으로 번역되었으며, 소련 밖에서 가장 유명한 소련 만화영화라고 할 수 있다.[63] 1950년대와 1960년대 미국에서 크리스마스와 새해 텔레비전 황금 시간대에 방영되기도 했다.[62]
발레 무용수 미하일 바리시니코프는 자서전 ''내 어린 시절의 이야기''에 수록된 가장 좋아하는 만화 영화 목록에 이 만화 영화를 포함시켰다.[35] 문학 평론가 스타스 티르킨, ''콤소몰스카야 프라브다'' 순위, 문화부 추천 목록에도 포함되었다.[64][65][66]
2003년 일본 도쿄에서 열린 국제 라푸토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140명 이상의 애니메이터와 영화 평론가들이 선정한 세계 최고의 애니메이션 영화 150편 목록에서 17위를 차지했다.[67][68]
2011년 러시아 사하 공화국 솔리안카의 주립 갤러리에서 영화 개봉 55주년과 제작자 중 한 명인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의 90주년을 기념하는 전시회가 열렸다.[35] 2012년 러시아의 "네바" 영화관에서 오리지널 35mm 영화 필름 와이드 스크린으로 개봉되었고, 레프 아타마노프 감독의 딸이 참석하여 만화의 희귀한 스케치를 상영했다.[69] 2013년 빅 카툰 페스티벌은 러시아 애니메이션 100주년 기념 행사의 일환으로 이 영화의 스케치를 전시했으며, 이 전시회는 일본 도시를 순회하기도 했다.[70][71]
2015년 러시아 TV 매거진은 이 영화를 소련 영화 산업의 고전으로 선정했으며,[72] 2020년에는 러시아 외 지역에서 20세기의 가장 유명한 러시아 영화 목록, 잡지 《키노레포터》의 호평을 받은 만화 5편 목록에 포함되었다.[73][74]
2018년, 소유즈물트필름은 골든 컬렉션 복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눈의 여왕''의 영상 품질을 복원했다.[75] 원본 테이프를 디지털화하고, 셀룰로이드 먼지, 스크래치, 찢어진 부분을 각 프레임에서 제거했으며, 얀덱스의 신경망 복원 기술을 사용하여 프레임의 선명도와 해상도를 높였다.[76] 복원된 영화는 2020년 12월 5일에 극장에서 개봉되었다.[77]
러시아는 이 영화의 러시아 인민 예술가 애니메이터인 레오니드 슈바르츠만의 100세 생일을 맞아 2020년 8월 30일에 그를 기렸으며,[53] 러시아 문화부의 지원으로 2020년 11월 2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그의 100주년 기념 전시회가 열렸다.[79][80]
7. 주제 및 해석
영화의 중심 주제는 "얼음 같은 마음조차 녹일 수 있다"는 것이다. 오직 주인공 게르다만이 납치된 친구를 구하기 위해 눈의 여왕의 얼음 땅을 헤쳐나가는 과정에서 화해와 회개의 힘을 사용할 수 있다.[45] 화해라는 주제와 관련된 은유는 성격이 급한 동물 사냥꾼인 도둑이 게르다를 만나는 장면에서 나타난다. 어린 도둑은 게르다의 친절함에 감탄하여 순록과 함께 소녀를 풀어주고, 모든 포획된 동물들을 풀어준다.[59]
이 영화는 게르다의 순수함과 섬뜩한 요소를 대비시키는데, 게르다가 영원한 여름 정원의 마법사를 만나는 두 에피소드와 까마귀 코락스 씨와의 불운한 만남에서 잘 나타난다. 영화의 주요 갈등은 사랑과 순수함의 힘이 영혼의 분리를 해결하는 것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이 갈등은 게르다와 카이가 눈의 궁전에서 만나는 장면에서 묘사되는데, 카이는 눈의 다각형을 보며 "아름다워, 진짜 꽃보다 더 아름다워!"라고 말한다.[32] 영화의 일련의 기적들은 마지막 기적에서 삶의 힘이 죽음을 극복한다는 주제를 강조하며 절정에 이른다.[46]
이 영화는 사회가 직면한 문제와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카타르시스와 감정의 힘에 대해 탐구한다. 사랑과 눈물의 감정적 효과는 카이의 눈물이 유리 조각을 빼낼 수 있고, 게르다의 사랑이 눈의 여왕을 눈 덮인 땅으로 도망치게 하는 것처럼, 주인공들이 사용하는 주요 방어 도구로 사용된다.[59] 또한, 일본의 ''영화 비평''에서의 비판은 영화가 코미디가 부족한 부분을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시적인 전개로 보완한다고 언급했다. 평론가는 이 영화가 마치 러시아가 눈에 맞서 "한결같은 사랑"의 강력한 효과를 통해 "봄을 갈망"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59]
이 작품은 개인의 자유와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랑과 우정의 힘으로 증오와 냉혹함을 극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한국의 관점에서는, 억압적인 체제에 맞서는 민중들의 저항 정신과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작품으로 해석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now Queen (1960) - TCM.com
http://www.tcm.com/t[...]
[2]
서적
The Encyclopedia of Animated Cartoons
https://archive.org/[...]
Checkmark Books
2020-06-06
[3]
웹사이트
Из "Снежной королевы" сделают телешоу и цирков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https://tricolortvma[...]
2020-12-17
[4]
웹사이트
映画『雪の女王』新訳版公式サイト - 児島宏子さん
http://www.ghibli-mu[...]
Ghibli Museum Library
2020-08-28
[5]
AllMovie
AllMovie
https://www.allmovie[...]
[6]
웹사이트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Иван Охлобыстин – Тролль прекрасный
https://www.proficin[...]
2020-08-17
[7]
웹사이트
The Snow Queen (1960) - Notes - TCM.com
http://www.tcm.com/t[...]
[8]
웹사이트
Snezhnaya Koroleva (Soyuzmultfilm...)
https://www.bcdb.com[...]
2020-08-19
[9]
웹사이트
Выходцы из Молдовы в Голливуде решают, кто из актеров получит "Оскара"!
https://www.kp.md/da[...]
2020-09-17
[10]
웹사이트
THE BOOTLEG FILES: THE SNOW QUEEN ! Film Threat
https://filmthreat.c[...]
2020-08-23
[11]
웹사이트
Restricting Soviet Travel in the U.S. During the Cold War ! Worlds Revealed: Geography & Maps at The Library Of Congress
https://blogs.loc.go[...]
2020-12-19
[12]
웹사이트
The Domino Theory Cold War Explained
https://healthresear[...]
2020-12-19
[13]
웹사이트
Richard Nixon and Nikita Khrushchev have a "kitchen debate"
https://www.history.[...]
2021-04-17
[14]
뉴스
BY WAY OF REPORT; Soviet 'Snow Queen,' Other Animated Features Due -- 'Snowman's' Story
https://www.nytimes.[...]
2020-08-27
[15]
웹사이트
The Snow Queen
http://www.tcm.com/t[...]
2021-04-17
[16]
웹사이트
The Snow Queen (1960) - Notes - TCM.com
http://www.tcm.com/t[...]
2020-08-24
[17]
웹사이트
THE SNOW QUEEN (1957, U.S.S.R.)
http://www.kiddiemat[...]
2020-12-19
[18]
간행물
How foreign product scored in US
https://archive.org/[...]
1961-04-26
[19]
서적
Snow queen
https://www.worldcat[...]
Just for Kids Home Video : Dist. by Celebrity Home Entertainment
1993
[20]
웹사이트
The Snow Queen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1957 - Fairytailes - Publisher - Soviet Cartoons
https://soviet-carto[...]
2020-08-19
[21]
웹사이트
SNÖDROTTNINGEN, Boa video
http://osc.boavideo.[...]
2020-08-23
[22]
웹사이트
The Snow Queen DVD with Voices of Sandra Dee, June Foray, Tommy Kirk (NR) +Movie Reviews
https://www.swapadvd[...]
2020-08-23
[23]
웹사이트
The Snow Queen - Golden Antelope - Bench - Cyclist - Fence (DVD NTSC) by Lev Atamanov
https://www.amazon.c[...]
2020-08-23
[24]
웹사이트
Впервые в кинотеатрах золотая коллекция отреставрированных мультфильмов от студии "СОЮЗМУЛЬТФИЛЬМ"
https://kinoteatr.ru[...]
2020-12-17
[25]
웹사이트
Solo Pelis - Estrenos, películas, series, netflix
https://www.solopeli[...]
2020-08-25
[26]
Behind The Voice Actors
Behind The Voice Actors
https://www.behindth[...]
[27]
웹사이트
Stories from my childhood
https://franklin.lib[...]
2020-08-23
[28]
웹사이트
Deutsche Synchronkartei ! Filme ! Die Schneekönigin
https://www.synchron[...]
2020-08-24
[29]
웹사이트
Snödrottningen (1957) - SFdb
http://www.svenskfil[...]
2020-08-24
[30]
웹사이트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1957) — смотреть мультфильм бесплатно онлайн в хорошем качестве на портале "Культура.РФ"
https://www.culture.[...]
2020-08-23
[31]
웹사이트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сказка на все времена
https://www.nashfilm[...]
2020-08-24
[32]
웹사이트
La Regina delle Nevi, il film animato sovietico del 1957 che adatta Andersen (meglio di Frozen)
https://www.ilcineoc[...]
2020-08-25
[33]
웹사이트
5 малоизвестных фактов о мультфильме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https://zen.yandex.r[...]
2020-08-23
[34]
웹사이트
Леонид Шварцман: "Самые лучшие люди – это кошки и собаки"
https://www.kino-tea[...]
2020-09-16
[35]
웹사이트
В Галерее на Солянке 23 декабря откроется выставка, пос...
http://www.animator.[...]
2020-08-18
[36]
웹사이트
洗練されたロシア版アンデルセン
http://www.ghibli-mu[...]
Ghibli Museum Library
2020-08-27
[37]
웹사이트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1957)
https://www.kino-tea[...]
2020-09-16
[38]
웹사이트
KINOGLAZ :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фильм)
https://www.kinoglaz[...]
2020-12-18
[39]
웹사이트
Russian animation in letters and figures {{!}} Films {{!}} "THE SNOW QUEEN"
http://www.animator.[...]
2020-08-19
[40]
웹사이트
La regina delle nevi
https://cartellone.e[...]
2020-12-19
[41]
웹사이트
10 мультгероев в изоляции
https://www.proficin[...]
2020-12-17
[42]
웹사이트
La Reine des neiges soviétique. Apprendre le russe avec Ania
https://apprendre-le[...]
2020-12-19
[43]
웹사이트
Laputa's Top 150 Japanese and World Animation (2003)
https://www.nishikat[...]
2020-12-20
[44]
서적
世界と日本のアニメーションベスト150
ふゅーじょんぷろだくと
2003
[45]
웹사이트
一途な想いが 行く先々で出会う自然や動物 人間たちの心を動かして
http://www.ghibli-mu[...]
Ghibli Museum Library
2020-08-25
[46]
웹사이트
映画監督"宮崎駿"にとっての運命の作品
http://www.ghibli-mu[...]
Ghibli Museum Library
2020-08-25
[47]
뉴스
Screen: Disney ala Soviet: The Snow Queen' at Neighborhood Houses
https://www.nytimes.[...]
2020-08-27
[48]
웹사이트
Die Schneekönigin – Sowjet-Märchen nach Hans Christian Andersen
https://dienachtderl[...]
2020-08-25
[49]
웹사이트
The Snow Queen (1957)
https://fantasticmov[...]
2020-08-25
[50]
웹사이트
The Snow Queen (1957)
https://flickersinti[...]
2020-08-25
[51]
논문
Sovieto manga eiga no keifu: Shuusaku "Yuki no Joou" o chūshin ni
1960
[52]
웹사이트
夢の力を持った作品
http://www.ghibli-mu[...]
2020-08-28
[53]
웹사이트
В поисках Чебурашки: 100 лет художнику Леониду Шварцману
https://www.kino-tea[...]
2020-12-17
[54]
웹사이트
A Soundtrack Showdown: "The Snow Queen" vs. "Frozen"
https://cartoonresea[...]
[55]
웹사이트
Черный Брежнев и роллы с борщем: как японцы изображают русских
https://www.ridus.ru[...]
2020-12-16
[56]
웹사이트
映画監督"宮崎駿"にとっての運命の作品
http://www.ghibli-mu[...]
Ghibli Museum Library
2020-08-17
[57]
웹사이트
СТОЙКИЙ ОЛОВЯННЫЙ СОЛДАТИК
http://www.ghibli-mu[...]
2020-09-16
[58]
웹사이트
Интервью Миядзаки о "Снежной Королеве"
https://miyazaki-ru.[...]
2020-08-16
[59]
웹사이트
ゲルダは"神話"の主人公
http://www.ghibli-mu[...]
Ghibli Museum Library
2020-08-16
[60]
뉴스
Hayao Miyazaki Prepares to Cast One Last Spell
https://www.nytimes.[...]
2021-11-23
[61]
뉴스
Если б сказки явью стали, было бы не просто - осудили бы за пытки старика Морозко!
https://www.tver.kp.[...]
2020-09-17
[62]
웹사이트
Какие советские мультфильмы очень популярны за рубежом?
https://kino-expert.[...]
2020-08-17
[63]
뉴스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почему без этого советского мультфильма у японцев не было бы аниме
https://russian7.ru/[...]
2019-02-17
[64]
뉴스
15 лучших полнометражных мультфильмов
https://www.kp.ru/da[...]
2020-12-16
[65]
뉴스
А Лунтик-то родом из Питера
https://www.spb.kp.r[...]
2020-09-17
[66]
뉴스
Госдума рекомендует смотреть "Гуси-лебеди"
https://www.kp.ru/da[...]
2020-09-17
[67]
웹사이트
Laputa Animation Festival 2003 - небольшой оффтоп
https://miyazaki-ru.[...]
2020-12-16
[68]
웹사이트
Laputa's Top 150 Japanese and World Animation (2003)
https://www.nishikat[...]
2020-12-16
[69]
웹사이트
"Снежная королева" Атаманова на кинофоруме "Я и семья"
https://www.kino-tea[...]
2012-10-05
[70]
웹사이트
В Воронеже показывают, как родился кот Матроскин, а у Чебурашки отвалился хвост и выросли уши
https://www.vrn.kp.r[...]
2020-12-16
[71]
웹사이트
Японская выставка в честь советского героя с большими ушами
https://vm.ru/afisha[...]
2020-12-16
[72]
웹사이트
Лучшие мультфильмы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https://tricolortvma[...]
2020-12-17
[73]
웹사이트
Десять советских фильмов, полюбившихся иностранцам: список, дата выхода, анонс
https://tricolortvma[...]
2020-12-17
[74]
웹사이트
Главред "КиноРепортера" составила список мультфильмов ко Дню защиты детей
https://kulturomania[...]
2020-12-17
[75]
웹사이트
"Союзмультфильм" реставрирует семь картин "Золотой коллекции"
https://worldpodium.[...]
2020-12-17
[76]
웹사이트
"Яндекс" перевёл классику "Союзмультфильма" в HD-качество с помощью нейросетей
https://www.ixbt.com[...]
2020-12-17
[77]
웹사이트
Отреставрированные анимационные картины золотой коллекции "Союзмультфильма" покажут в кино
https://tass.ru/kult[...]
2021-04-15
[78]
웹사이트
Аниматор Шварцман: изначально у Чебурашки были обыкновенные "ушки на макушке"
https://tass.ru/inte[...]
2020-12-16
[79]
웹사이트
Выставка "100 лет Леониду Шварцману" {{!}} Санкт-Петербург Центр
https://peterburg.ce[...]
Saint Petersburg Center
2020-12-17
[80]
웹사이트
100 лет Леониду Шварцману – NIKFI
http://nikfi.ru/en/2[...]
2020-12-11
[81]
간행물
Snezhnaya koroleva
https://www.imdb.com[...]
Soyuzmultfilm
2024-01-24
[82]
웹사이트
The Snow Queen {{!}} Rotten Tomatoes
https://www.rottento[...]
2024-01-24
[83]
웹사이트
番組表検索結果詳細
https://www.nhk.or.j[...]
NHKクロニクル
2021-01-06
[84]
뉴스
冬休みアニメぜんぶ見た - 小原篤のアニマゲ丼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7-12-17
[85]
문서
映画『雪の女王』新訳版公式サイト - イントロダクション
https://www.ghibli-m[...]
[86]
뉴스
三鷹の森ジブリ美術館ライブラリー ロシアの名作「雪の女王」上映
https://animeanime.j[...]
株式会社イード (企業)
2020-08-03
[87]
웹사이트
番組表検索結果詳細
https://www.nhk.or.j[...]
NHKクロニクル
2021-01-06
[88]
트윗
"#雪の女王 1957年の #ソ連アニメ"
2022-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