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브런즈윅 신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브런즈윅 신학교는 1784년 설립된 미국 개혁교회(RCA) 소속의 신학교이다. 럿거스 대학교와 협력하여 캠퍼스 재개발을 진행했으며, 현재는 뉴저지주 뉴브런즈윅에 위치해 있다. 목회학 석사, 문학 석사 등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미국 및 캐나다 신학 학교 협회와 미들 스테이츠 고등 교육 위원회의 인증을 받았다. 19세기부터 전 세계 선교사 배출에 기여했으며, 가드너 A. 세이지 도서관은 15만 권 이상의 장서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저지주의 대학교 - 프린스턴 대학교
프린스턴 대학교는 1746년 설립되어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뉴저지주에 위치한 명문 사립 대학교로 학부 교육의 우수성을 인정받고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했다. - 뉴저지주의 대학교 - 프린스턴 신학교
프린스턴 신학교는 1812년 미국 장로교회에서 설립되어 칼뱅주의 장로교 신학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20세기 초 근본주의-현대주의 논쟁을 겪었지만, 현재는 다양한 학위 프로그램과 연구 활동, 방대한 장서를 보유한 도서관 등을 통해 신학 교육과 연구의 중심지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다. - 대학 정보 틀에서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 풀러 신학교
풀러 신학교는 1947년 찰스 E. 풀러와 해럴드 오켄가에 의해 설립된 복음주의 신학교로서, 세계 선교 분야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며 한국 교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 대학 정보 틀에서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하고 있는 문서 - 스타방에르 대학교
스타방에르 대학교는 1969년 로갈란 지역 칼리지에서 출발하여 200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노르웨이의 대학교로, 6개의 단과대학과 국립 전문 센터, 고고학 박물관을 운영하며 석유 기술, 위험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유럽 혁신 대학 컨소시엄 회원으로서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뉴브런즈윅 신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뉴브런즈윅 신학교 |
설립일 | 1784년 |
종류 | 사립 |
소속 | 미국 개혁 교회 (칼뱅주의) |
총장 | 미카 매크리어리 |
도시 | 뉴브런즈윅 |
주 | 뉴저지 |
국가 | 미국 |
캠퍼스 | 도시, 3 에이커 |
학생 수 | 170명 (2023년) |
웹사이트 | 뉴브런즈윅 신학교 |
2. 역사
뉴브런즈윅 신학교는 1784년에 설립되어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초기에 뉴욕 네덜란드 개혁파 시노드는 영국령 아메리카 식민지에서 목회 활동을 할 수 있는 목사가 부족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젊은이들을 네덜란드로 보내 신학을 공부하도록 했다.[1] 그러나 교회 지도자들은 식민지(이후 미국)에서 목사를 직접 양성하고 안수할 권한과 함께 학교 설립을 추진했다.[1] 1766년, 뉴저지 왕립 총독 윌리엄 프랭클린으로부터 퀸스 칼리지(현재 럿거스 대학교) 설립 허가를 받아 신학 교육을 시작했다.[1][2]
초기에는 퀸스 칼리지 이사진과 뉴욕 시노드 간의 의견 불일치와 미국 독립 전쟁으로 인해 신학교 설립이 지연되었다.[3] 전쟁 이후 1784년, 존 헨리 리빙스턴이 신학 교수로 임명되어 퀸스 칼리지에서 신학 교육을 담당했지만, 재정 문제로 뉴욕에서 개인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쳤다.[3] 1792년에는 높은 생활비와 재정 부족으로 학생들이 뉴욕에서 공부하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신학교를 도시 외곽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3] 1796년, 리빙스턴은 신학 수업을 플랫부시(현재 브루클린)로 옮겨 14년간 운영했다.[3]
1807년, 이라 콘딕트 등 교회 지도자들은 퀸스 칼리지를 재건하려 노력했고, 1810년 리빙스턴이 퀸스 칼리지 총장으로 취임하면서 신학교는 뉴브런즈윅으로 이전되었다.[3] 1816년 대학교가 다시 문을 닫았지만, 신학교는 퀸스 칼리지 캠퍼스에 남아 대학교의 재건을 기다렸다.[3] 1823년, 시노드는 퀸스 칼리지의 부채를 갚아 재정 안정을 돕고 재개교를 지원했다. 필립 밀레돌러가 리빙스턴의 후임으로 임명되었고, 헨리 럿거스 대령의 지원으로 대학교 이름이 럿거스 칼리지로 변경되었다. 초기에는 시노드가 대학교 운영을 감독했지만, 1840년부터는 신학교 운영에 집중했다.[1] 이 기간 동안 럿거스 칼리지, 럿거스 예비 학교, 신학교는 올드 퀸즈 건물을 공유했다.
1850년대, 학생 수 증가로 럿거스 대학교 퀸즈 캠퍼스 공간이 부족해졌다.[5] 신학교 교수들은 학생들이 다른 신학교 학생들보다 비싼 하숙비를 부담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학생 기숙사와 강의 공간을 제공하는 신학교 건물 건설을 추진했다.[1] 뉴욕 시노드는 러트거스와 신학교에 대한 재정 지원을 철회했지만, 뉴브런즈윅 시민들과 앤 허초크의 기부로 "성스러운 언덕" 캠퍼스가 조성되었다.[1] 19세기 동안 신학교는 선교사 배출로 명성을 얻었다.[6] 1870년대에는 체육관(수이담 홀)과 도서관(세이지 도서관)이 건설되었다.[1][7] 1960년대에는 수이담 홀과 허초크 홀이 철거되고 즈웨머 홀이 건설되었다.[1]
1970년대 후반, 신학교는 재취업 및 겸임 학생들을 위한 학위 프로그램을 개정하여 신학 교육 접근성을 높였다.[6]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통근 학생 중심 학교로 전환하면서 학생 구성이 다양해졌다.[6]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럿거스 대학교, 뉴브런즈윅 개발 공사(DEVCO)와 협력하여 캠퍼스 재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11] 신학교는 캠퍼스 일부를 러트거스에 매각하고, 새로운 건물을 건설하여 2014년에 이전했다.[14][15]
2. 1. 설립 초기 (1784-1810)

뉴욕 네덜란드 개혁파 시노드는 영국령 아메리카 식민지의 교회를 섬길, 적절하게 훈련된 목사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았다. 젊은이들은 네덜란드 대학교에서 수년간 신학을 공부하기 위해 네덜란드로 가야 했다.[1] 교회 지도자들은 식민지(나중에는 미국)에서 목사를 시험하고 안수할 권리를 얻고, 그들을 훈련시킬 학교를 운영하려고 했다.[1] 1766년, 여러 성직자들은 뉴저지 왕립 총독 윌리엄 프랭클린으로부터 뉴저지주 뉴브런즈윅에 있는 퀸스 칼리지(현재 럿거스 대학교)를 "학습 언어, 자유롭고 유용한 예술 및 과학, 특히 신학 분야에서 청소년을 교육하여 사역과 기타 좋은 직무를 준비"하기 위한 헌장을 얻었다.[1][2]
그러나 이 초기 몇 년 동안, 퀸스 칼리지의 이사진과 뉴욕 시노드는 새로운 기관의 목적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다. 대학의 재정적 안정성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시노드는 신학 후보자들의 신학 훈련을 직접 감독하기를 원했다. 그러나 신학교를 개설할지 여부에 대한 문제는 미국 독립 전쟁의 지속적인 적대 행위로 인해 지연되었다.[3] 전쟁이 끝난 후, 시노드는 1784년에 신학 연구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결정하고 신학교 설립 노력을 재개했다. 예일 칼리지(1762)와 위트레흐트 대학교(1770)를 모두 졸업한 존 헨리 리빙스턴은 시노드의 신성 신학 교수로 임명되어 퀸스 칼리지에서 신학 교육을 조직했다.[3] 그러나 퀸스 칼리지는 리빙스턴에게 봉급을 지급하지 않아 학생들이 직접 지불하는 수수료로 강의를 해야 했다. 리빙스턴은 뉴욕에 머물면서 교구를 감독하고 자택에서 강의를 통해 신학 학생들을 가르쳤다.[3]
1792년, 시노드는 많은 학생들이 높은 생활비와 충분한 자금 부족으로 인해 "뉴욕의 상업적 중심지"에서 공부를 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시노드는 신학교를 도시 외곽에 두기로 결정했다.[3] 그러나 퀸스 칼리지가 심각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고 1795년까지 문을 닫아야 했기 때문에 뉴브런즈윅은 실행 가능한 선택 사항으로 간주되지 않았다. 1796년, 리빙스턴은 시노드의 지시를 받아 신학 수업을 플랫부시(현재 브루클린)의 작은 학교로 옮겼고, 그곳에서 다음 14년 동안 머물렀다.[3]
2. 2. 뉴브런즈윅 이전과 발전 (1810-1856)

1807년, 이라 콘딕트와 다른 교회 지도자들은 12년간 폐쇄되었던 퀸스 칼리지(Queen's College)를 부활시키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 콘딕트는 대학교의 세 번째 총장이었고, 대학교 이사들은 신학 교육에 대해 시노드와 협력하고, 교수를 고용하며, 도서관을 설립하기로 합의했다.[3] 1810년, 콘딕트는 퀸스 칼리지 총장 정식 직책을 거절했고(1795년부터 임시로 직무 수행), 대학교 이사들은 리빙스턴에게 그 자리를 제안하여 수락받았다. 이후 신학교는 뉴브런즈윅으로 이전되었다.[3] 1816년 대학교는 다시 문을 닫았지만, 이사들은 신학 신학교가 퀸스 칼리지 캠퍼스에 남도록 허용하고, 대학교가 부활할 것이라는 희망을 표명했다.[3] 이 시기,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엘리아스 반 분쇼텐은 뉴저지주 서식스 카운티에 거주하는 목사로, 가난한 젊은이들이 목회 준비를 위한 학업을 돕기 위한 기금을 마련했다.[3]
1823년, 시노드는 퀸스 칼리지의 부채 상당 부분을 지불하여 기관을 안정적인 재정 기반에 두고 재개교를 가능하게 했다. 두 번째 재개교와 함께, 시노드는 대학교에서 신학 교수로 봉사할 성직자들을 제공했다. 리빙스턴은 이 노력을 위해 수년간 자금 모금에 전념했지만, 퀸스 칼리지가 1825년에 재개교하기 직전 사망했다. 필립 밀레돌러는 뉴욕시 개혁교회 성직자로 리빙스턴의 사망으로 생긴 공석을 채우기 위해 임명되었다. 밀레돌러는 자신의 교구 신자 중 한 명인 헨리 럿거스 대령을 설득하여 대학교를 지원하게 했고, 이사들은 그를 기리기 위해 대학교의 이름을 럿거스 칼리지로 변경했다. 처음에는 시노드가 대학교 운영을 감독했지만, 1840년까지 신학교 운영에만 전념했다.[1] 이 기간 동안 럿거스 칼리지, 대학교의 문법 학교(현재 럿거스 예비 학교), 그리고 신학교는 1856년까지 두 학교가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올드 퀸즈(1809–1823년 건축)라는 하나의 건물을 공유했다.
브루깅크와 베이커에 따르면, 리빙스턴이 집에서 가르치기 시작한 지 7년 후인 1792년에는 40명의 목사가 섬기는 116개의 개혁교회가 있었다. 1830년, 뉴브런즈윅에서 교육을 시작하고 신학교를 조직한 지 20년 후, 194개의 교회를 섬기는 159명의 목사가 있었다.[4]
2. 3. "성스러운 언덕" 캠퍼스 시대 (1856-2012)
1850년대에 러트거스 대학교와 신학교의 학생 수가 늘어나면서 퀸즈 캠퍼스의 공간이 부족해졌다.[5] 신학교 교수들은 학생들이 시내 하숙집에서 방을 빌리는 비용이 다른 신학교 학생들보다 비싸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이는 뉴욕시의 연합 신학교나 근처 프린스턴 신학교의 주거 비용보다 두 배 이상이었다. 교수들은 학생 기숙사와 강의 공간을 제공하는 신학교 건물을 짓는 것이 더 저렴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신학교 지도자들이 이러한 제안을 하자 뉴욕 시노드는 러트거스와 신학교에 대한 재정 지원을 철회했다.[1] 뉴브런즈윅의 주요 시민들인 제임스 닐슨(James Nielson) 대령, 데이비드 비숍(David Bishop), 찰스 데이턴(Charles Dayton)은 조지 가(George Street)에서 칼리지 애비뉴(College Avenue)까지 이어지는 언덕의 일부를 포함하여 거의 8ha에 달하는 토지를 기증했다. 동시에 필라델피아의 앤 허초크는 남편을 기리기 위해 "피터 허초크 신학 홀(Peter Hertzog Theological Hall)"로 명명될 건물을 짓기 위해 30000USD를 기증했다. 허초크 홀(1855–1856년 건축)은 언덕의 주요 건물이 되었으며, 이 언덕은 "성스러운 언덕(Holy Hill)"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1776년 11월, 미국 독립 전쟁 중 이 언덕은 뉴브런즈윅 점령 기간 동안 영국 포병 보루가 있던 곳이었다.[1]

19세기 동안, 이 기관은 전 세계에서 봉사하는 선교사들을 배출하는 것으로 유명해졌다.[6] 1870년대에는 두 개의 건물이 건설되면서 캠퍼스가 확장되었다. 하나는 체육관과 추가 강의 공간이었고, 다른 하나는 도서관이었다. 신학교는 확장되는 장서들을 수용하기 위해 먼저 도서관을 짓기를 원했다. 그러나 지역 사업가이자 신학교 후원자인 제임스 수이담은 학생들의 건강을 염려하여 수이담 홀(Suydam Hall)로 명명될 체육관을 짓기 위해 자금을 기증했다.[1][7] 수이담 홀은 1873년에 지어졌으며, 헨리 재뉴에이 하덴버그가 설계를 맡았다. 하덴버그는 러트거스 캠퍼스의 커크패트릭 채플과 지질학 홀의 설계를 완료했으며, 이후 플라자 호텔과 다코타 아파트를 포함한 뉴욕시의 건물로 유명해졌다.[8] 가드너 A. 세이지로부터 도서관 건설을 위한 기증을 받은 후, 이사회는 하덴버그의 전 스승인 독일계 미국인 건축가 데틀레프 리나우에게 설계를 의뢰했다. 세이지 도서관은 1875년에 완공되었다.[1] 리나우는 수이담 홀에 대한 하덴버그의 디자인을 보완하도록 도서관을 설계했다.[1] 1960년대에 수이담 홀과 허초크 홀은 신학교의 행정 및 교육적 요구에 적합하지 않다고 여겨졌다. 이사회는 1966년에 두 건물을 철거하고 신학교 예배당, 교수 사무실, 강의실 시설을 갖춘 현대적인 단층 다목적 건물인 즈웨머 홀로 교체하기로 결정했다.[1]

1970년대 후반, 신학교 총장 하워드 헤이먼의 재임 기간 동안 신학교는 재취업 및 겸임 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학위 프로그램을 개정했다.[6] 이는 신학교가 198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 "대부분 기숙 중심 학교에서 90% 이상 통근 기반 학교"로 전환하면서 신학 교육을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었다.[6] 이러한 전환은 신학교가 파트타임으로 공부하는 재취업 목회자들의 수를 늘리는 것을 의미했다. 이 전환의 또 다른 결과는 신학교의 학생 구성이 북미에서 "가장 풍부하게 다양한" 신학교가 되었다는 것이다.[6]
2. 4. 칼리지 애비뉴 재개발 (2012-2014)

뉴브런즈윅 신학교는 러트거스 대학교 및 뉴브런즈윅 개발 공사(DEVCO)와 협력하여 신학교 캠퍼스와 뉴브런즈윅의 러트거스 칼리지 애비뉴 캠퍼스 일부를 재개발하는 3억달러 규모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11] 학생 수 감소, 재정적 제약, 노후화된 캠퍼스 유지 관리 필요성(학생들이 통학 학생으로 전환됨에 따라 캠퍼스 내 비어있는 학생 기숙사 포함) 등으로 신학교는 8에이커(32000m2) 캠퍼스 중 5에이커(20000m2)를 러트거스에 매각했다.[11][12] 2012년 6월 20일, 러트거스 대학교의 리처드 L. 매코믹 총장은 러트거스가 "Seminary Place와 Bishop Place 사이의 조지 스트리트에 위치한 5에이커(20000m2)를 칼리지 애비뉴 캠퍼스에 통합"하여 500명의 학생을 수용하는 Honors College, 식당, 강의실, 부서 사무실을 갖춘 주요 학술 건물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3] 신학교 이사회는 이 계획과 매각을 2013년 5월 20일에 승인했다.[14]
신학교는 Seminary Place와 College Avenue의 모퉁이에 위치한 3에이커(12000m2) 부지에 캠퍼스를 재건축했으며, "채플, 강의실, 사무실, 회의 시설, 통학 학생들을 위한 공간과 100대 규모의 주차장"을 갖춘 30,000제곱피트(2800m2)의 중앙 건물을 건설하는 동시에 Gardner A. Sage Library를 보존했다.[14] 신학교의 새로운 캠퍼스는 "기술적으로 스마트하고 환경 친화적"으로 묘사된다.[14] 신학교는 2014년 7월에 새로운 시설로 이전했다.[15]
3. 교육
뉴브런즈윅 신학교는 미국 및 캐나다 신학 학교 협회의 인증 위원회와 미들 스테이츠 고등 교육 위원회의 인증을 받았다.[10][16] 러트거스 대학교, 프린스턴 신학대학 (장로교), 웨스턴 신학대학 (개혁교회), 웨슬리 신학대학 (감리교)과 공동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3. 1. 학위 과정
뉴브런즈윅 신학교는 미국 및 캐나다 신학 학교 협회 인증 위원회와 미들 스테이츠 고등 교육 위원회의 인증을 받았다.[10][16] 신학교는 대학 성적 증명서 및 추천서와 함께 제출된 지원서를 검토한 후 학생의 입학을 허용한다.[17] 이 학교는 목회학 석사 (M.Div.), 문학 석사 (M.A.), 신학 연구 문학 석사, 목회학 박사 (D.Min.) 학위를 포함한 4개의 학위 과정을 제공하며, 신학, 성경 연구, 교회 역사 및 섬김의 리더십 분야의 고급 과정을 원하는 평신도 교회 지도자를 위한 수료증 및 훈련 프로그램도 제공한다.[18] 학생들은 러트거스 대학교, 프린스턴 신학대학 (장로교), 웨스턴 신학대학 (개혁교회), 웨슬리 신학대학 (감리교)과 공동 학위 프로그램을 등록하거나 이수할 수 있다.4. 가드너 A. 세이지 도서관
가드너 A. 세이지 도서관은 1873년부터 1875년 사이에 지어졌으며, 19세기 독일계 미국인 건축가 데틀레프 리에나우가 설계했다. 리에나우는 4세기 로마네스크 건축 바실리카의 요소와 "빅토리아풍 서고"를 결합하여 "하느님을 묵상"하는 데 적합한 공간을 만들었다.[19][20][21] 신학교에 따르면, 세이지 도서관의 장서에는 15만 권 이상의 도서와 1만 권의 제본된 정기간행물이 있으며, 성서 연구, 신학, 개혁교회 연구, 일반 교회 역사 및 교파 역사를 다루고 있다.[21] 이 컬렉션에는 15세기 초부터의 희귀한 필사본과 인쇄본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21] 도서관은 300개 이상의 정기간행물을 구독하고 있다. 또한 도시 선교와 아프리카계 미국인 및 아시아 이민자 커뮤니티의 종교적 경험에 관한 책과 자료를 확보하여 컬렉션을 확장하고 있다.[22] 도서관에는 미국 개혁교회의 공식 기록 보관소가 있으며, 네덜란드 역사, 문화 및 네덜란드 식민지 연구에 관한 포괄적인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21][23] 신학교의 컬렉션은 럿거스 대학교 도서관 시스템(1,050만 권 이상 소장)과의 상호 대차 권한과 30개의 다른 신학 학교 도서관과의 직접적인 제휴를 통해 보완된다.[21][22]
5. 운영 및 조직
미국 개혁교회(RCA)와 관련된 신학교는 미국에 뉴브런즈윅 신학교와 1866년 미시간주 홀랜드에 설립된 웨스턴 신학교 두 곳이 있다.[24]
신학교 정관에 따르면, RCA 총회는 신학교 관리를 이사회에 위임하며, 이사회는 "지상에서 하나님의 통치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님의 일에 참여하는" 목적으로 기관의 재정, 증권 및 재산을 관리할 권한을 갖는다.[25] 이사회는 3년 임기로 봉사하는 12명에서 24명의 이사로 구성되며, 이사들은 "모든 신앙과 실천에 대한 성경의 권위, 하나님의 주권, 그리고 삶 전체에 대한 예수 그리스도의 주재권을 인정하는 고백적 기독교인"이어야 한다.[25] 이사회 구성원 과반수는 RCA 회원이어야 하며, 교회 각 지역 시노드는 1명의 이사로 대표된다.[25] RCA 총회 회장과 사무총장은 투표권 없이 이사회 ''당연직'' 구성원으로 봉사한다.[25] 정관은 또한 신학교 이사회가 "신학교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데 필요한 재산과 건물, 교수진, 행정 및 직원, 도서관 및 정보 자원, 장비 및 비품"을 제공할 권한을 부여한다.[25] 이사회는 신학교 총장을 선출하며, 총장은 5년 임기로 선출되고 이사회에 의해 연임될 수 있다. 총장은 이사 3분의 2 찬성으로 해임될 수 있다.[25]
뉴브런즈윅 신학교 총장은 2017년 7월 15일에 NBTS에 합류한 마이카 맥크레리[26]이다. 그는 뉴저지, 뉴욕,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교회를 섬기고 미국 개혁교회 내에서 리더십 직책을 역임한 목사인 그레그 A. 마스트의 뒤를 이었다.[27][28] 마스트는 노먼 J. 칸스필드의 뒤를 이어 2006년에 이사회에 의해 신학교 14대 총장으로 임명되었다.
6. 주요 인물
뉴브런즈윅 신학교는 230년의 역사 동안, 교수진과 졸업생들은 개혁교회와 다른 기독교 교단의 사역과 선교, 학계, 그리고 전문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25] 특히, 뛰어난 선교사들을 배출하며 19세기에 널리 알려졌다.[6]
졸업생 | 학위 | 활동 내역 |
---|---|---|
데이비드 아벨 | 신학사 1826 | 인도네시아, 동남아시아, 중국 등에서 선교사로 활동.[29] |
자레드 워터버리 스커더 | 신학사 1855 | 스커더 가족의 일원으로 인도에서 선교사로 활동.[6] |
존 밴 네스트 탤머지 | 신학사 1845 | 미국 개혁 선교회를 위해 40년 이상 중국에서 봉사.[30] |
토머스 드윗 탤머지 | 신학사 1856 | 설교로 유명해졌으며, 그의 설교는 3,000개의 저널에 게재되어 전 세계 2,500만 명의 독자에게 전달됨.[31] |
새뮤얼 매리너스 즈웨머 | 문학석사 1890 | "이슬람의 사도"라는 별명을 가진 중동 선교사로, 바스라, 바레인, 아라비아 반도, 이집트 등지에서 봉사.[32]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신학사 1884 | 한국에서 선교사로 활동. 형 존 T. 언더우드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여러 교육 기관을 설립하는 데 기여. 2011년에는 루스 재단과 한국 기독교인들의 기부로 언더우드 글로벌 기독교 석좌 교수가 설립됨.[33][34][6] |
신학교 졸업생 중 다수는 럿거스 대학교, 웨스턴 신학대학, 호프 칼리지 등 여러 기관에서 교수 및 행정가로 봉사했다. 특히, 호프 칼리지는 "서부 교회 전체, 서부 뉴브런즈윅의 생명의 지점"이 되려는 비전을 바탕으로 설립되었다.[35][36]
참조
[1]
서적
Two Centuries Plus: The Story of the New Brunswick Seminary
William B. Eerdsman Publishing Company
1984
[2]
문서
A Charter for Queen's College in New Jersey
1770
[3]
서적
Centennial of the Theological Seminary of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Formerly Ref. Prot. Dutch Church) 1784-1884
https://books.google[...]
Board of Publication of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1885
[4]
서적
By Grace Alone: Stories of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Wm. B. Eerdmans Publishing
2004
[5]
웹사이트
From "Seminary of Learning" to Public Research University: A Historical Sketch of Rutgers University
http://www.libraries[...]
2006
[6]
웹사이트
RCA Report of the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Building a New Future for the Oldest Protestant Seminary in North America.
https://www.rca.org/[...]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13
[7]
웹사이트
Suydam Hall and Statue, Rutgers College, New Brunswick, N. J.
http://rucore.librar[...]
Rutgers University Libraries
[8]
간행물
Castles in the Air
2006-Spring
[9]
웹사이트
Our Mission
http://www.nbts.edu/[...]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10]
웹사이트
Find a School
https://www.ats.edu/[...]
2023-05-25
[11]
웹사이트
NBTS Departs 'Holy Hill' to Build a New Future
https://myemail.cons[...]
2023-05-25
[12]
뉴스
Planning Board Approves New Seminary Building For College Ave.: Six Buildings Will be Demolished to Build a New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http://www.newbrunsw[...]
New Brunswick Today
2012-09-13
[13]
웹사이트
President Holloway
https://www.rutgers.[...]
2023-05-25
[14]
웹사이트
Land Sale Will Further the Mission of NBTS
http://www.nbts.edu/[...]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2013-05-21
[15]
웹사이트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leaves 'Holy Hill' to make way for Rutgers expansion | NJ.com
http://www.nj.com/ed[...]
2014-07-03
[16]
웹사이트
Accreditation –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https://nbts.edu/acc[...]
2015-05-18
[17]
웹사이트
Admissions –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https://nbts.edu/adm[...]
2015-03-21
[18]
웹사이트
Certificate Program
http://www.nbts.edu/[...]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19]
웹사이트
Detlef Lienau architectural drawings and papers, 1835-1886 {{!}} Avery Drawings & Archives Collections {{!}} Columbia University Libraries Finding Aids
https://findingaids.[...]
2023-05-25
[20]
웹사이트
Gardner Sage Library at WhereRU
http://whereru.rutge[...]
[21]
웹사이트
Gardner A. Sage Library
http://www.nbts.edu/[...]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22]
웹사이트
Collection Strengths – New Brunswick Libraries {{!}} Rutgers University Libraries
https://www.librarie[...]
2023-05-25
[23]
웹사이트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23-05-25
[24]
웹사이트
The Reformed Church in America
https://www.rca.org/
2023-05-25
[25]
웹사이트
Constitution and Bylaws
http://www.nbts.edu/[...]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2011-06
[26]
웹사이트
"The Rev. Dr. Micah McCreary To Lead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http://www.nbts.edu/[...]
2017-08-21
[27]
뉴스
News: NBTS Graduate Returns as President
https://www.rca.org/[...]
Reformed Church in America
2006-02-03
[28]
웹사이트
Faculty Directory: Gregg Alan Mast, President
http://www.nbts.edu/[...]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29]
웹사이트
David Abeel
http://virtualology.[...]
2023-05-25
[30]
서적
Forty Years in South China: The Life of Rev. John Van Nest Talmage, D.D.
Anson D. F. Randolph & Company
1894
[31]
서적
T. DeWitt Talmage: His Life and Work
O. W. Binkerd
1902
[32]
서적
Apostle to Islam. A Biography of Samuel M. Zwemer
Baker Book House
1952
[33]
서적
The Call of Korea: Political—Social—Religious
Fleming H. Revell Company
1908
[34]
웹사이트
Introduction of Underwood Family
http://underwood.yon[...]
Yonsei University (Korea)
[35]
서적
Can Hope Endure?: A Historical Case Study in Christian Higher Education
Wm. B. Eerdmans Publishing
2005
[36]
간행물
The Men who Built Hope
Intelligencer-Leader
1941-06-20
[37]
웹사이트
Rutgers Leaders, Rutgers History: William Henry Steele Demarest - Rutgers President, 1906 to 1924
http://www.rutgers.e[...]
2013-08-17
[38]
웹사이트
Rutgers Leaders, Rutgers History: Philip M. Brett - Rutgers Acting President, 1930 to 1931
http://www.rutgers.e[...]
2013-08-17
[39]
간행물
NBTS Presidents
New Brunswick Theological Seminary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