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카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카이아는 현재 튀르키예의 이즈니크에 위치했던 고대 도시로, 보이오티아인들이 건설한 안코레에서 시작되었다.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안티고노스 1세에 의해 재건되어 안티고네이아로 불렸으며, 리시마코스가 니카이아로 개명했다. 비티니아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로마 제국과 비잔티움 제국 시대를 거치며 중요한 도시로 기능했다. 특히 325년과 787년 두 차례의 기독교 공의회가 열린 곳으로 유명하다. 1331년 오스만 제국에 정복된 후 이즈니크로 개명되었으며, 한때 오스만 제국의 수도 역할을 했고 도자기 제작 중심지로 번영했으나 18세기 이후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르사주의 지리 - 아파메이아 미를레이아
아파메이아 미를레이아는 고대 비티니아 지역에 있던 도시로, 프루시아스 1세에 의해 재건되어 아내의 이름을 따 개칭되었으며, 로마 제국 시대에는 콜로니아로 지정되었고, 기독교 주교구 및 자치 대교구로 발전하였다.
니카이아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니카이아 |
위치 | 튀르키예 부르사주 이즈니크 |
지역 | 비티니아 |
유형 | 정착지 |
문화 |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문화 비잔티움 제국 문화 오스만 제국 문화 |
관련 사건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건설자 | 안티고노스 1세 모노프탈모스 |
건설 시기 | 기원전 316년경 - 315년 |
면적 | 145 헥타르 |
좌표 | 위도 40°25.74'N, 경도 29°43.17'E |
![]() | |
![]() | |
![]() | |
![]() | |
역사 | |
주요 사건 | 니케아 공방전 |
관련 국가 | 니케아 제국 |
기타 | |
로마자 표기 | Nikaia |
2. 역사
니카이아는 보이오티아인들이 건설한 고대 도시 안코레(혹은 헬리코레)에서 출발했다. 기원전 316년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안티고노스 1세가 재건하여 안티고네이아라 불렀으나, 후계자들 간의 전쟁 후 리시마쿠스가 기원전 301년 자신의 아내 니카이아의 이름을 따 니카이아로 개명했다.[37]
갈라티아와 프리기아를 잇는 요충지였던 니카이아는 비티니아 왕국의 중요 도시였다가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로마 시대에도 소아시아의 중요 도시 중 하나였으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는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가 열리는 등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37]
1204년 제4차 십자군으로 비잔티움 제국이 일시 멸망한 후에는 니케아 제국의 수도가 되기도 했다.[37]
1331년 오스만 제국의 오르한 1세에게 정복된 후 '''이즈니크'''(İznik)로 이름이 바뀌었다.[37]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이스탄불이 성장하면서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17세기까지 도자기 생산 중심지였다. 18세기 이후 도자기 산업이 퀴타히아로 이동하고, 철도가 우회하면서 현재는 작은 도시로 남아있다.
2. 1. 초기 역사
보이오티아인들이 건설한 고대 도시 안코레(혹은 헬리코레)에서 시작하여 알렉산드로스 대왕 사후인 기원전 316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안티고노스 1세가 다시 건설하여 자신의 이름을 따서 안티고네이아(Αντιγονείαel)로 불렀다.[37] 후계자들 중 한 명인 리시마쿠스가 기원전 301년 이 도시를 자신의 아내인 니카이아의 이름을 따서 다시 니카이아(Νίκαιαel)로 개명하였다.[37]이 도시는 갈라티아와 프리기아를 잇는 요충지로 비티니아 왕국의 중요 도시였으며, 니코메디아와 비티니아의 가장 중요한 도시라는 지위를 두고 경쟁하였다.[12]
플루타르코스는 메네크라테스(Μενεκράτης)가 이 도시의 역사에 대해 저술했다고 언급했다.[13] 그리스 신화에서 니케아는 신 디오니소스가 술에 취해 강간한 님프 니케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고 한다.[14]
2. 2. 로마 제국 시대

기원전 72년, 비티니아의 다른 지역들과 함께 니카이아는 로마 공화국에 편입되었다. 이 도시는 로마 제국 시대 내내 소아시아의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로 남았으며, 비티니아 폰투스의 로마 총독의 지위를 두고 니코메디아와 오랫동안 경쟁했다.[12] 스트라보는 이 도시를 정사각형 형태(둘레 16 스타디온, 약 700m 또는 0.7km)로, 약 50ha 또는 0.5km2의 면적을 가진 전형적인 헬레니즘 양식으로 매우 규칙적으로 건설되었다고 묘사했다. 도시에는 네 개의 문이 있었고, 모든 거리는 히포다무스식 도시계획에 따라 직각으로 교차하여 중앙의 기념물에서 네 개의 문을 모두 볼 수 있었다.[12] 이 기념물은 체육관에 있었는데, 화재로 파괴되었지만 2세기 초에 총독이었던 플리니우스 2세에 의해 더욱 웅장하게 복원되었다. 플리니우스는 자신의 저술에서 니카이아와 그 공공 건물들을 자주 언급한다.[12]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123년 지진으로 심하게 피해를 입은 도시를 방문하여 재건을 시작했다. 새로운 도시는 약 5km 길이의 다각형 성벽으로 둘러싸였다. 재건은 3세기까지 완료되지 않았고, 새로운 성벽은 258년 고트족의 약탈로부터 니카이아를 구하지 못했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니카이아의 많은 주화들은 로마 황제들이 이 도시에 기울인 관심과 통치자들에 대한 도시의 애정을 보여준다. 이 주화들 중 상당수는 올림피아, 이스티미아, 디오니시아, 피티아, 콤모디아, 세베리아, 필라델피아 등의 축제를 기념하는 것이다.[12]
2. 3. 비잔티움 제국 시대
니카이아는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도 중요한 도시였다. 갈라티아와 프리기아를 잇는 요충지에 위치하여, 비티니아 왕국의 주요 도시였다가 로마에 넘어간 후 비잔티움 제국에서도 이 지역의 중심 도시 역할을 계속했다.[37] 특히, 기독교 공의회가 이곳에서 두 번이나 열렸다. 325년의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787년의 제2차 니케아 공의회가 그것이다.[37]4세기에 니카이아는 크고 번영하는 도시이자 주요 군사 및 행정 중심지였다. 콘스탄티누스 1세는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했고, 이 도시에서 니케아 신경이 채택되었다.[12] 363년과 368년에 발생한 두 차례의 큰 지진과 콘스탄티노폴리스와의 경쟁으로 인해 쇠퇴하기도 했지만,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에 의해 도시가 복원되었다.
8세기 초, 니카이아는 다시 역사에 등장한다. 715년 폐위된 아나스타시오스 2세 황제가 이곳으로 도망쳤고, 727년에는 우마이야 칼리파국의 공격을 성공적으로 막아냈다. 74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지진으로 피해를 입었지만, 787년 제2차 니케아 공의회가 개최되면서 비잔틴 성상 파괴 운동을 종식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니카이아는 8세기에 오프시키아 테마의 수도가 되었고, 행정과 무역의 중심지로 남았다.
11세기 말, 셀주크 튀르크의 침입으로 니카이아는 룸 술탄국의 수도가 되었다가, 1097년 제1차 십자군의 도움으로 비잔티움 제국의 통제하에 돌아왔다. 12세기 콤네노스 왕조 시기에는 안정과 번영을 누렸으며, 알렉시오스 1세는 수로를 수리했고, 요한과 마누엘 황제는 이 지역에 요새를 건설하여 도시를 보호했다.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니카이아는 테오도로스 1세 라스카리스가 세운 니케아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청도 126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탈환 때까지 이 도시에 있었다. 니케아 제국 시기에 이 도시는 학문의 중심지가 되기도 했다.
1261년 비잔티움 제국이 복원된 후, 니카이아는 다시 중요성이 쇠퇴했다. 1331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정복되면서 비잔티움 제국 시대는 막을 내렸다.
2. 4. 오스만 제국 시대
1331년 오스만 제국의 오르한 1세가 니카이아를 정복하고 이름을 '''이즈니크'''(İznik)로 바꾸었다.[37] 이즈니크는 짧은 기간 동안 오스만 제국의 수도가 되었다. 니카이아의 많은 공공 건물들이 파괴되었고, 그 건축 자재들은 오스만 투르크인들이 모스크와 다른 건물들을 건설하는 데 사용되었다. 도시 중심부에 있는 아야 소피아 대성당은 모스크로 개조되어 오르한 모스크로 알려지게 되었다.[25] 근처에는 마드라사와 목욕탕이 건설되었다.[26] 1334년 오르한은 도시 남쪽의 예니셰히르 문(Yenişehir Kapısı) 바로 바깥에 모스크와 이마레트(급식소)를 건설했다.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의 함락 이후 이스탄불이 오스만 제국의 중심지로 성장하면서 이즈니크의 중요성은 크게 감소했지만, 17세기까지 소아시아 지방의 도자기(파이앙스) 제작 중심지였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도자기 생산 중심지는 남쪽의 퀴타히야(Kütahya)로 옮겨가면서 쇠퇴하였다. 철도 노선이 이 지역을 우회한 이후에는 경제적 중요성이 감소하여 지방의 작은 도시가 되었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이즈니크의 인구는 약 18,000명이다.
2. 5. 근대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니카이아(이즈니크)는 정치적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17세기까지 소아시아 지역의 도자기 제작 중심지였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도자기 생산 중심지는 남쪽 퀴타히아로 이동하면서 쇠퇴하였다. 철도 노선이 이 지역을 우회하면서 경제적 중요성은 더욱 감소하여 지방의 작은 도시가 되었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이즈니크의 인구는 약 18,000명이다.3. 유적
이즈니크에 남아있는 주요 유적들은 다음과 같다.
- 성벽: 탑과 문을 포함한 고대 성벽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둘레는 약 3100m이며, 기저부의 두께는 5m~7m, 높이는 10m~13m이다. 큰 문 4개와 작은 문 2개가 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벽과 마찬가지로 이 성벽도 4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27] 일부 탑에는 그리스어|그리스어grc 비문이 있다.

- 도시 내부 구조물: 현재 정원과 아파트 건물들 사이에 흩어져 있는 모스크, 목욕탕, 주택의 폐허는 오스만 제국 시대의 도시 중심지가 현재는 규모가 작지만 한때 중요한 곳이었음을 보여준다. 오스만 제국 시대 도시는 거의 전적으로 비잔티움 제국 시대 니카이아(Nicaea)의 유적을 이용하여 건설된 것으로 보이며, 폐허가 된 모스크와 목욕탕의 벽에는 고대 그리스, 로마, 비잔티움 제국 시대의 사원과 교회 파편들이 가득하다.[27] 도시의 북서쪽에는 두 개의 방파제가 호수로 뻗어 항구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 지역의 호수는 많이 후퇴하여 습지가 되었다. 성벽 밖에는 고대 수로의 잔해가 남아 있다.[27]
- 성모 승천 교회: 소아시아에서 건축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비잔틴 교회 중 하나였다. 6세기 말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9세기에 복원된 제대(bema)는 매우 정교한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었다. 1922년 터키인들에 의해 파괴되었고, 오늘날에는 일부 벽의 하부만이 남아 있다.[28]

- 오스만 제국 가마: 역사적인 니케아 타일이 만들어진 오스만 제국의 가마에서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다.

- 아야 소피아: 325년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가 제1차 니케아 공의회를 소집했던 장소이다.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785년 동로마 제국의 섭정 아이린느에 의해 이곳에서 소집되었다.
- 수중 바실리카: 이즈니크 호의 얕은 물 아래에서 4세기 대성당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곳이 바로 니케아 공의회가 열렸던 장소일 가능성이 높다.[29]
3. 1. 성벽
탑과 문을 포함한 고대 성벽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다. 둘레는 약 3100m이며, 기저부의 두께는 5m~7m, 높이는 10m~13m이다. 큰 문 4개와 작은 문 2개가 있다. 대부분 지역에서 로마 벽돌과 큰 정사각형 돌을 번갈아 쌓아 매우 두꺼운 시멘트로 접합하였다. 일부 지역에서는 더 오래된 건물의 폐허에서 나온 기둥과 기타 건축 파편이 삽입되었다.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벽과 마찬가지로 이 성벽도 4세기에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27] 일부 탑에는 그리스어|그리스어grc 비문이 있다.3. 2. 도시 내부 구조물
현재 정원과 아파트 건물들 사이에 흩어져 있는 모스크, 목욕탕, 주택의 폐허는 오스만 제국 시대의 도시 중심지가 현재는 규모가 작지만 한때 중요한 곳이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비잔티움 제국 시대 도시만큼 크지는 않았다. 오스만 제국 시대 도시는 거의 전적으로 비잔티움 제국 시대 니카이아(Nicaea)의 유적을 이용하여 건설된 것으로 보이며, 폐허가 된 모스크와 목욕탕의 벽에는 고대 그리스, 로마, 비잔티움 제국 시대의 사원과 교회 파편들이 가득하다.[27]도시의 북서쪽에는 두 개의 방파제가 호수로 뻗어 항구를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 지역의 호수는 많이 후퇴하여 습지가 되었다. 성벽 밖에는 고대 수로의 잔해가 남아 있다.[27]
3. 3. 성모 승천 교회
니케아의 주요 그리스 정교회 교회였던 성모 승천 교회(Church of the Dormition)는 소아시아에서 건축학적으로 가장 중요한 비잔틴 교회 중 하나였다. 십자형 본당과 길쭉한 후진을 가진 돔형 교회로, 6세기 말에 건축된 것으로 추정되며, 9세기에 복원된 제대(bema)는 매우 정교한 모자이크로 장식되어 있었다. 성모 승천 교회는 1922년 터키인들에 의해 파괴되었고, 오늘날에는 일부 벽의 하부만이 남아 있다.[28]
3. 4. 오스만 제국 가마
역사적인 니케아 타일이 만들어진 오스만 제국의 가마에서 발굴 작업이 진행 중이다.
3. 5. 아야 소피아
니케아의 아야 소피아 교회는 현재 복원 공사 중이다. 325년,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당시 기독교회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던 다양한 교리에 대한 대립을 논의하기 위한 회의 장소로 이곳을 선택하였다. 로마 제국 영토, 즉 당시 기독교회가 퍼져 있던 모든 지역에서 성직자와 주요 신자들이 초대되었다. 이것이 최초의 세계 공의회(에큐메니칼 공의회)인 제1차 니케아 공의회이다.
참석자 수에는 여러 설이 있지만, 수백 명이 넘는 참석자가 참석했다. 대부분의 참가자는 동방 교회에 속했고, 서방 교회에서는 로마 교황의 사절이 참가했다. 회의 결과, 그리스도 입양론을 주장하는 아리우스파가 이단으로 규정되었고,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가 주장하는 아버지 하나님과 아들 그리스도를 동일 본질로 하는 교리가 만장일치로 교회의 공인된 교리로 선포되었다. 이때 채택된 신앙 조항이 니케아 신조이다. 또한 부활절 날짜 계산법이 춘분 이후의 보름달 다음 일요일로 정해졌는데, 이것은 현재에도 계승되고 있다. 폐교 하에 일시적으로 이교를 표명한 자의 복귀도 의제가 되었고, 이는 회개한 자에게는 복귀를 허용하는 것이 교리로 정해졌다.
제2차 니케아 공의회는 785년 동로마 제국의 섭정 아이린느에 의해 소집되었다. 동방 교회에서 격렬한 논쟁이 되고 있던 성상 사용 문제가 다루어졌고, 성상 파괴론자가 이단으로 선고되었다.
3. 6. 수중 바실리카
이즈니크 호의 얕은 물 아래, 비잔티움 시대에도 호숫가의 견고한 지반에 위치했던 곳에서 4세기 대성당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이곳이 바로 니케아 공의회가 열렸던 장소일 가능성이 높다.[29]4. 니케아의 주교좌
니케아의 주교구는 로마 가톨릭 교회의 명목 주교좌로 남아 있으며,[31] 1976년 마지막 명목 주교가 사망한 이후 공석이다.[32]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청의 명목 총대주교 주교좌이기도 하다. 2001년부터 2010년까지는 전 카렐리아 및 핀란드 총대주교인 요하네스(린네) 대주교가 재임하였다.[33]
5. 인물
참조
[1]
서적
City Walls in Late Antiquity: An empire-wide perspective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2]
서적
Topography and History of Ancient Epicnemidian Locris
https://books.google[...]
BRILL
[3]
서적
Hellenistic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
서적
Ancient Town-Planing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5]
서적
Cities of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6]
서적
Culture and Identity
https://books.google[...]
BoD – Books on Demand
[7]
서적
Roman State & Christian Church Volume 1: A Collection of Legal Documents to A.D. 535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8]
웹사이트
Nicaea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22-12-11
[9]
서적
Alexander's Veterans and the Early Wars of the Successors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10]
서적
Alexander's Veterans and the Early Wars of the Successor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exas Press
[11]
백과사전
[12]
웹사이트
Nicaea
https://www.perseus.[...]
[13]
웹사이트
Plutarch, Life of Theseus, 26
https://www.perseus.[...]
[14]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15]
서적
The Rom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ILO
[16]
서적
Remembering Constantine at the Milvian Brid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Ancient Mediterranean Relig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학술지
Nicea and its Aftermath: A Historical Survey of the First Ecumenical Council and the Ensuing Conflicts
https://biblicalstud[...]
2007
[19]
서적
Blind Faith: How Christianity Abandoned God: Part One: the Trinity Doctrine
https://books.google[...]
BookCountry
[20]
서적
The Roots of the Reformation: Tradition, Emergence and Rupture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1]
서적
Relations Between Religions and Cultures in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CRVP
[22]
서적
The Evangelical Dictionary of World Religions
https://books.google[...]
Baker Books
[23]
학술지
Construction history of the aqueduct of Nicaea (Iznik, NW Turkey) and its on-fault deformation viewed from archaeological and geophysical investigations
https://hal.archives[...]
2018-10-01
[24]
서적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Encyclopaedia of the Hellenic World, Asia Minor
http://asiaminor.ehw[...]
Foundation of the Hellenic World
2007-03-23
[26]
웹사이트
St. Sophia Museum
http://archnet.org/s[...]
ArchNet
2014-09-20
[27]
서적
Asia Minor
[28]
서적
Byzantine Architecture
[29]
뉴스
Church that was 'site of some of Christianity's most important events' discovered under lake in Turkey
https://www.mirror.c[...]
The Mirror
2018-09-16
[30]
뉴스
2,000-year-old Hercules relief damaged
https://www.hurriyet[...]
[31]
서적
Annuario Pontificio 2013
Libreria Editrice Vaticana
[32]
웹사이트
http://www.catholic-[...]
[33]
웹사이트
Biography of Metropolitan Johannes (Rinne) of Nicea
http://www.ec-patr.o[...]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2008-10-18
[34]
백과사전
[35]
백과사전
[36]
백과사전
Pachymeres, Georgius
[37]
웹사이트
Biography of Metropolitan Johannes (Rinne) of Nicea
https://web.archive.[...]
Ecumenical Patriarchate of Constantinople
2008-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