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 그뤼니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 그뤼니츠키는 1913년 아타크파메에서 태어난 토고의 정치인이다. 토목 공학을 전공하고 공무원으로 근무하다가 토고 진보당(PTP)을 창당하여 정치 경력을 시작했으며,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을 역임했다. 1956년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토고 자치 정부의 초대 총리가 되었으나, 1958년 선거에서 패배하여 망명했다. 1963년 쿠데타로 대통령에 임명되었지만, 군부 내 파벌 싸움과 남북 갈등으로 인해 1967년 쿠데타로 축출되어 파리로 망명했다. 1969년 코트디부아르에서 교통사고로 부상을 입고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계 토고인 - 페니엘 음라파
토고 로메에서 태어난 독일 국적의 축구 선수 페니엘 음라파는 공격수로 독일과 네덜란드, UAE 리그를 거쳐 토고 국가대표로도 활약했으며, 2024년 대전 하나 시티즌에 입단하며 한국 무대에 진출했다.
니콜라 그뤼니츠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국적 | 토고 |
출생일 | 1913년 4월 5일 |
출생지 | 아타크파메, 토골란드 |
사망일 | 1969년 9월 27일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배우자 | 비놀리아 바에타 |
정치 경력 | |
대통령 임기 시작 | 1963년 1월 13일 |
대통령 임기 종료 | 1967년 1월 13일 |
부통령 | 앙투안 메아치 |
이전 대통령 | 에마뉘엘 보졸레 |
다음 대통령 | 클레베르 다조 |
총리 임기 시작 | 1956년 9월 12일 |
총리 임기 종료 | 1958년 5월 16일 |
이전 총리 | 없음 |
다음 총리 | 실바누스 올림피오 |
소속 정당 | |
소속 정당 | PTP, UDPT |
가족 관계 | |
가족 관계 | 실바누스 올림피오 |
2. 생애
니콜라 그뤼니츠키는 1913년 아타크파메에서 독일인 아버지와 요루바족 왕족 출신 토고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1969년 파리에서 사망했다. 프랑스 파리의 ESTP에서 토목 공학을 공부했다. 토고 진보당 사무총장으로 정치 경력을 시작하여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 및 토고 자치 정부 총리를 역임했다.
1958년 선거에서 패배 후 망명했으나, 1963년 토고 쿠데타로 실바누스 올림피오 대통령이 암살되자 귀국하여 대통령이 되었다. 그러나 1967년 쿠데타로 다시 파리로 망명하였다. 이후 코트디부아르에서 교통사고를 당했고, 파리의 병원에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2]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니콜라 그뤼니츠키는 1913년 아타크파메에서 독일인 아버지와 요루바족 왕족 출신 토고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2][3] 그는 파리의 ESTP에서 토목 공학을 전공했으며,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기 전에 공무원으로 일했다.2. 2. 정치 경력 시작
아타크파메에서 독일인 아버지와 토고인 어머니(요루바족 왕족 출신) 사이에서 태어났다.[2][3] 파리의 ESTP에서 토목 공학을 공부했으며,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기 전에 공무원이었다. 토고 진보당의 사무총장이었고, 1951년 프랑스령 토고 대표 의회 선거에서 선출되었다. 1951년부터 1958년까지 프랑스 국민 의회에서 활동했으며, 1951년과 1956년 선거에서 승리했다.2. 3.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
니콜라 그뤼니츠키는 1951년부터 1958년까지 프랑스 국민 의회 의원으로 활동했으며, 1951년과 1956년 선거에서 승리했다.[2]2. 4. 토고 자치 정부 총리
1956년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토고 자치 정부의 초대 총리가 되었다.[2][3] 그러나 1958년 선거에서는 실바누스 올림피오가 이끄는 토고 연합 위원회 (CUT)와 민족주의 동맹 주벤토에 의해 패배하여, 총리직을 상실하고 망명했다.2. 5. 망명
1958년 5월 16일 선거에서 실바누스 올림피오의 토고 연합 위원회(CUT)에 패배하면서, 그뤼니츠키는 망명길에 올랐다.[2] 올림피오는 반대파를 탄압했고, 이로 인해 그뤼니츠키는 망명을 강요받았다.[3]2. 6. 대통령 취임과 쿠데타
1963년 토고 쿠데타로 실바누스 올림피오 대통령이 암살된 후, 에마뉘엘 보졸레가 이끄는 "반란 위원회"에 의해 그뤼니츠키는 대통령으로 임명되어 귀국하였다.[2][3] 이는 독립 이후 서아프리카에서 최초의 군사 쿠데타였으며, 에티엔 그나싱베 에야데마 상사(훗날 대령)의 지휘를 받는 일단의 군인들에 의해 조직되었다.[2] 그뤼니츠키는 자신의 정부에 여러 정당을 포함시켜 국가를 통합하려 했다.그러나 그뤼니츠키 정권은 군 증원을 요구하는 쿠데타 주역인 에티엔 에야데마와 알베르 자파로, 제임스 아실라 등의 파벌 싸움에 시달렸고, 부통령 앙투안 메아치 등 북부인과 남부 에웨족의 대립도 심화되었다. 메아치와 그뤼니츠키의 대립은 남북 민족 대립을 상징하는 것으로, 정부는 기능을 잃었다.
결국 1967년 1월 13일, 당시 중령이었던 에야데마 참모총장이 이끈 무혈 군사 쿠데타로 그뤼니츠키 정권은 붕괴되었고, 그는 파리로 망명하였다.[2]
2. 7. 사망
코트디부아르에서 교통사고로 부상을 입었고, 1969년 파리의 한 병원에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2]3. 정치적 성향 및 평가
니콜라 그뤼니츠키는 프랑스의 지원을 받아 총리직에 올랐으나, 1958년 선거에서 실바누스 올림피오의 토고 연합 위원회(CUT)에 패배하여 망명했다. 1963년 쿠데타로 올림피오 대통령이 암살된 후, "반란 위원회"에 의해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여러 정당을 포함시켜 국가 통합을 시도했으나, 에티엔 그나싱베 에야데마가 이끈 무혈 군사 쿠데타로 축출되었다.[2]
그뤼니츠키는 토고 진보당(PTP)을 결성하여 친프랑스적 성향을 보였으며, 국가 통합을 위해 노력했으나, 쿠데타 주역과의 갈등, 남북 갈등 심화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3. 1. 토고 진보당 (PTP)
1951년 프랑스령 토고 대표 의회 선거에서 선출된 그는 남부 에웨족에 기반을 둔 토고 진보당(PTP)을 결성하여 실바누스 올림피오 등의 반프랑스적 운동과는 선을 그었다.[2]3. 2. 국가 통합 노력
그뤼니츠키는 여러 정당을 자신의 정부에 포함시켜 국가를 통합하려 했다.[2] 그러나 그는 1963년 쿠데타를 일으킨 에티엔 그나싱베 에야데마가 이끈 무혈 군사 쿠데타로 전복되었고, 파리로 망명했다.[2]3. 3. 쿠데타 주역과의 갈등
그뤼니츠키 정권은 군 증원을 요구하는 쿠데타 주역인 에티엔 에야데마와 알베르 자파로, 제임스 아실라 등의 파벌 싸움에 시달렸다.[2] 부통령 앙투안 메아치 등 북부인과 남부 에웨족의 대립도 심화되었다.[2]메아치와 그뤼니츠키의 대립은 남북 민족 대립을 상징하는 것으로, 정부는 기능을 잃었고, 1967년 1월 13일 에야데마 참모총장의 쿠데타로 정권이 붕괴되었다.[2]
3. 4. 남북 갈등 심화
1963년 쿠데타로 실바누스 올림피오가 살해된 후 대통령이 된 그뤼니츠키는 국가 통합을 위해 여러 정당을 정부에 포함시키려 했다. 그러나 그뤼니츠키 정권은 군 증원을 요구하는 쿠데타 주역인 에티엔 에야데마와 알베르 자파로, 제임스 아실라 등의 파벌 싸움에 시달렸다. 부통령 앙투안 메아치 등 북부인과 남부 에웨족의 대립도 심화되었다.[2]메아치와 그뤼니츠키의 대립은 남북 민족 대립을 상징하는 것으로, 정부는 기능을 잃었고, 1967년 1월 13일 에야데마 참모총장의 쿠데타로 정권은 붕괴되었다.[3]
4. 역대 선거 결과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63년 선거 | 토고의 대통령 | 2대 | 토고 진보당 | 100.00% | 568,893표 | 1위 |
5. 기타
니콜라 그뤼니츠키는 1913년 아타크파메에서 독일인 아버지와 토고인 어머니(요루바족 왕족 출신) 사이에서 태어났다.[2][3] 코트디부아르에서 교통사고로 부상을 입었고, 1969년 파리의 한 병원에서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참조
[1]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Statistical and Historical Annual of the States of the World for the Year 1985–1986
Palgrave Macmillan UK
[2]
서적
Le commandant de Cercle à Bassar
https://books.google[...]
Editions Haho (the University of Michigan)
[3]
서적
Dictionary of African Biography, Volumes 1-6
https://books.google[...]
OUP US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