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코발료프 (펜싱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코발료프는 러시아의 사브르 펜싱 선수이다. 2002년 유럽 주니어 챔피언을 시작으로, 2012년 런던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2010년, 2011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으며, 201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24년 현재 그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웨스트 코스트 펜싱 아카데미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렌부르크 출신 - 데니스 이스토민
우즈베키스탄의 프로 테니스 선수 데니스 이스토민은 2004년 프로로 전향하여 ATP 투어 단식 우승 2회, 아시안 게임 남자 단식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4년 단식 은퇴 후 복식 선수로 활동 중이다. - 오렌부르크 출신 - 게오르기 말렌코프
게오르기 말렌코프는 스탈린의 측근으로 권력 핵심부까지 진출했으나 흐루쇼프와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실각 후 당에서 추방, 만년에는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하여 생을 마감한 소련의 정치인이다. - 러시아의 남자 펜싱 선수 - 세르게이 비다
러시아 출신 펜싱 선수 세르게이 비다는 에페 종목에서 세계 선수권, 유럽 선수권 등 다수 메달을 획득하고 2020 도쿄 올림픽 은메달을 땄으나, 우크라이나 침공 반대로 미국 이주 후 USA 펜싱 소속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논란 속에 러시아 정부의 수배를 받고 있는 스포츠 가족 출신 선수이다. - 러시아의 남자 펜싱 선수 - 알렉산드르 베케토프
알렉산드르 베케토프 관련 문서는 인물, 사건 또는 주제에 대한 심층 분석을 제공하며, 기본 정보, 상세 정보, 관련 주제 등을 다양한 섹션으로 구성하여 완성도를 높이고자 한다. - 러시아의 유니버시아드 동메달리스트 - 마리야 티토바
마리야 티토바는 2013년 시니어 데뷔 후 여러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으며, 2013년 그랑프리 파이널 은메달, 2014년 모스크바 그랑프리 은메달 및 베를린 그랑프리 금메달 등을 획득했으나, 2016년 선수 생활을 마무리했다. - 러시아의 유니버시아드 동메달리스트 - 막심 트란코프
막심 트란코프는 러시아의 피겨 스케이팅 페어 선수로, 타티아나 볼로소자르와 함께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포함하여 세계 선수권 대회, 유럽 선수권 대회, 그랑프리 파이널 등 주요 대회에서 우승하며 세계적인 선수로 인정받았다.
니콜라이 코발료프 (펜싱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전체 이름 | 니콜라이 아나톨리예비치 코발료프 |
별칭 | 콜랴, 닉, 코치 K |
국적 | 러시아 |
출생일 | 1986년 10월 26일 |
출생지 | 러시아 SFSR, 베셀리 |
신장 | 1.76m |
체중 | 71kg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펜싱 정보 | |
종목 | 사브르 |
주 사용 손 | 오른손 |
클럽 | SKA 상트페테르부르크 |
국가대표 코치 | 크리스티앙 바우어 |
헤드 코치 | 블라디미르 디야첸코 |
세계 펜싱 연맹 랭킹 | 현재 랭킹 |
올림픽 | |
2012 런던 | 개인 사브르 동메달 |
세계 선수권 대회 | |
2011 카타니아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13 부다페스트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14 카잔 | 개인 사브르 금메달 |
2016 리우데자네이루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13 부다페스트 | 개인 사브르 은메달 |
2015 모스크바 | 단체 사브르 은메달 |
2006 토리노 | 단체 사브르 동메달 |
유럽 선수권 대회 | |
2007 헨트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12 레냐노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16 토룬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06 이즈미르 | 단체 사브르 동메달 |
2013 자그레브 | 개인 사브르 동메달 |
유니버시아드 | |
2013 카잔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07 방콕 | 단체 사브르 동메달 |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 |
2006 태백 | 단체 사브르 금메달 |
2005 린츠 | 개인 사브르 은메달 |
2006 태백 | 개인 사브르 동메달 |
2. 선수 경력
니콜라이 코발료프는 러시아의 펜싱 선수로, 주 종목은 사브르이다. 그는 주니어 시절 유럽 및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하며 국제 무대에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다.
시니어 선수로서는 펜싱 월드컵, 유럽 펜싱 선수권 대회,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등 다수의 국제 대회에서 활약했다. 특히 러시아 남자 사브르 대표팀의 주축 선수로서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에서 여러 차례 금메달(2010년, 2011년, 2013년)과 동메달(2006년)을 획득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올림픽 무대에서는 2008 베이징 올림픽과 2012 런던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런던 올림픽에서는 사브르 개인전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201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는 개인전 은메달과 단체전 금메달을 추가하며 선수 경력의 정점을 찍었다. 같은 해 국제 펜싱 연맹(FIE) 선수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어 선수들의 권익을 대변하기도 했다. 선수 생활을 마감한 후에는 미국에서 펜싱 코치로 활동하며 후진 양성에 힘쓰고 있다.
2. 1. 초기 경력

코발료프는 2002년 이탈리아 코넬리아노에서 열린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주니어 무대에서 꾸준히 성과를 거두어, 2005년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2006년 대한민국 태백시에서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시니어 무대에 데뷔한 후, 200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게레비치-코바치-카르파티 컵에서 2위를 차지하며 첫 펜싱 월드컵 시상대에 올랐다. 같은 해 튀르키예 이즈미르에서 열린 2006년 유럽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는 단체전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어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된 2006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는 알렉세이 프로신, 스타니슬라프 포즈드냐코프, 알렉세이 야키멘코와 함께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는데, 러시아는 3위 결정전에서 헝가리를 꺾었다.
코발료프는 2008 베이징 올림픽에 참가했으나, 개인전 32강에서 스페인의 하이메 마르티에게 패배하며 일찍 탈락했다. 단체전에서는 러시아 팀이 준결승에서 미국에 패하고, 동메달 결정전에서도 이탈리아에 패배하여 4위에 머물렀다.
2010 파리 세계 선수권 대회 단체전 결승에서 러시아는 이탈리아와 맞붙었다. 코발료프는 네 번째 주자로 나서 4-15로 뒤지던 상황에서 루이지 타란티노를 상대로 12점을 따내며 팀이 역전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결국 러시아는 이탈리아를 45-41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코발료프는 알렉세이 야키멘코, 아르템 자닌, 베냐민 레셰트니코프와 함께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이듬해 2011 카타니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도 러시아는 결승에서 벨라루스를 꺾고 남자 사브르 단체전 2연패를 달성했다.
2012 런던 올림픽에서 코발료프는 개인전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헝가리의 Áron Szilágyi에게 패했다. 하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루마니아의 Rareș Dumitrescu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개인전 첫 메달을 목에 걸었다. 그는 이 성공을 러시아에 현대 펜싱 기술을 도입한 국가대표팀 코치 크리스티안 바우어 덕분이라고 밝혔다. 올림픽에서의 활약으로 "명예로운 스포츠 마스터" 칭호를 받았지만, 쏟아지는 인터뷰와 사진 촬영 요청 등 갑작스러운 관심에 대해서는 "공포"라고 표현하며 부담감을 느끼기도 했다.
2013 부다페스트 세계 선수권 대회 개인전에서는 준결승에서 다시 만난 Áron Szilágyi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팀 동료인 베냐민 레셰트니코프에게 13-15로 아쉽게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단체전에서는 러시아 팀이 준결승에서 올림픽 챔피언 대한민국을, 결승에서 루마니아를 차례로 꺾으며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 대회 기간 중 코발료프는 국제 펜싱 연맹(FIE) 선수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2. 2. 2006년 세계 선수권 대회
알렉세이 프로신, 스타니슬라프 포즈드냐코프, 알렉세이 야키멘코와 함께 2006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 대표팀은 동메달 결정전에서 헝가리를 꺾었다.2. 3.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코발료프는 2008년 하계 올림픽에 러시아 대표로 참가하였다. 남자 사브르 개인전에서는 32강에서 스페인의 하이메 마르티에게 패배하여 탈락했다. 남자 사브르 단체전에서는 러시아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하여 준결승전에서 미국에 패배하였고, 동메달 결정전에서도 이탈리아에 패배하며 4위에 머물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2. 4. 2010년, 2011년 세계 선수권 대회
2010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 러시아 남자 사브르 대표팀은 단체전 결승에서 이탈리아와 맞붙었다. 코발료프는 팀이 4-15로 크게 뒤지던 네 번째 주자로 나서 루이지 타란티노를 상대로 12점을 따내며 경기의 흐름을 바꾸고 러시아가 역전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결국 러시아는 이탈리아를 45-4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당시 팀 동료는 알렉세이 야키멘코, 아르템 자닌, 베냐민 레셰트니코프였다. 이듬해 2011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도 러시아는 결승에서 벨라루스를 누르고 남자 사브르 단체전 2연패를 달성했다.2. 5. 2012년 런던 올림픽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개인전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헝가리의 Áron Szilágyi에게 패배했다. 이후 동메달 결정전에서 루마니아의 Rareș Dumitrescu를 꺾고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코발료프는 자신의 올림픽 성공을 러시아에 현대 펜싱을 도입한 국가대표팀 코치 크리스티안 바우어의 공으로 돌렸다. 그는 올림픽에서의 활약으로 '명예로운 스포츠 마스터' 칭호를 받았지만, 끊임없는 인터뷰와 사진 촬영 요청을 "공포"라고 표현하며 갑작스러운 관심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기도 했다.2. 6. 2013년 세계 선수권 대회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201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 코발료프는 개인전 준결승에 진출하여 2012년 하계 올림픽 챔피언인 헝가리의 아론 실라지를 꺾었다. 결승에서는 팀 동료인 베냐민 레셰트니코프를 만나 15-13으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단체전에서는 러시아 대표팀 소속으로 당시 2012년 하계 올림픽 챔피언이었던 대한민국과 루마니아를 차례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 대회 기간 중 코발료프는 국제 펜싱 연맹(FIE) 선수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다.
2. 7. 기타 경력
코발료프는 2002년 이탈리아 코넬리아노에서 열린 유럽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이후 2005년 오스트리아 린츠에서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2006년 대한민국 태백시에서 열린 주니어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시니어 무대에서는 2006년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게레비치-코바치-카르파티 컵에서 2위를 차지하며 첫 펜싱 월드컵 시상대에 올랐다. 같은 해 2006년 유럽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는 단체전 금메달을 획득했다. 2006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는 알렉세이 프로신, 스타니슬라프 포즈드냐코프, 알렉세이 야키멘코와 함께 출전하여 단체전 동메달을 획득했는데, 러시아는 3위 결정전에서 헝가리를 꺾었다.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에도 참가했으나, 남자 사브르 개인전 32강에서 스페인의 하이메 마르티에게 패배했다. 단체전에서는 러시아가 준결승에서 미국에 패하고, 3위 결정전에서도 이탈리아에 패하며 4위에 머물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0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남자 사브르 단체전 결승에서 러시아는 이탈리아를 만났다. 코발료프는 네 번째 주자로 나서 4-15로 뒤지던 상황에서 루이지 타란티노를 상대로 12점을 따내며 러시아가 역전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결국 러시아는 이탈리아를 45-41로 꺾고 알렉세이 야키멘코, 아르템 자닌, 베냐민 레셰트니코프와 함께 금메달을 차지했다. 2011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에서는 결승에서 벨라루스를 꺾고 단체전 2연패를 달성했다.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서는 남자 사브르 개인전 준결승까지 진출했으나, 헝가리의 Áron Szilágyi|아론 실라지hu에게 패했다. 하지만 동메달 결정전에서 루마니아의 Rareș Dumitrescu|라레슈 두미트레스쿠ro를 꺾고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는 이 성공을 러시아에 현대 펜싱을 도입한 국가대표팀 코치 크리스티안 바우어 덕분이라고 밝혔다. 올림픽에서의 활약으로 "명예로운 스포츠 마스터" 칭호를 받았으나, 쏟아지는 인터뷰와 사진 촬영 요청 등 갑작스러운 관심에 대해서는 "공포"라고 표현하며 부담감을 느끼기도 했다.
201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는 부다페스트에서 열렸는데, 코발료프는 개인전 준결승에서 Áron Szilágyi|아론 실라지hu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는 팀 동료인 베냐민 레셰트니코프에게 13-15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했다. 단체전에서는 러시아가 대한민국과 루마니아를 차례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이 대회 기간 중 코발료프는 국제 펜싱 연맹(FIE) 선수 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2024년 현재, 그는 미국 남부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웨스트 코스트 펜싱 아카데미(West Coast Fencing Academy)에서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eijing 2008, fencing, sabre individual men
http://www.olympic.o[...]
[2]
웹사이트
Sabre par équipes: les Russes dominent, les Françaises prennent le bronze
http://www.liberatio[...]
2010-11-09
[3]
웹사이트
Взмахнул саблей
http://www.rg.ru/201[...]
2012-07-31
[4]
웹사이트
Николай Ковалёв: "Считая бронзу ОИ провалом, нельзя выиграть золото"
http://london2012.rs[...]
[5]
웹사이트
Николай Ковалёв: "После драки кулаками не машут"
http://www.rusfencin[...]
[6]
웹사이트
Российский саблист Николай Ковалев избран в комиссию спортсменов FIE
http://rusfencing.ru[...]
[7]
웹사이트
Nikolai Kovalev
https://lagunafencin[...]
2021-12-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