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닙코프 디스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닙코프 디스크는 금속, 플라스틱, 판지 등으로 만들어진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디스크로, 이미지 스캔 및 재생에 사용되는 장치이다. 디스크에는 나선형으로 배치된 구멍들이 뚫려 있으며, 렌즈를 통해 투사된 이미지를 구멍을 통해 스캔하여 시간적 패턴으로 센서가 감지하게 한다. 닙코프 디스크는 간단한 센서와 수신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스캔 라인의 곡선, 제한적인 해상도, 작은 이미지 크기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존 로지 베어드는 닙코프 디스크를 활용하여 최초의 기계식 텔레비전을 개발했으며, 현재는 공초점 현미경 및 고속 사진 촬영에 응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과학 - 안드로메다자리 S
    1885년 안드로메다 은하에서 발견된 안드로메다자리 S(SN 1885A)는 여러 천문학자들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고, 초기 관측에서 특이한 점을 보였으나 제1a형 초신성으로 분류되었으며, 최근 연구에서는 새로운 하위 분류에 속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1885년 과학 - 1885년 9월 8일 일식
    1885년 9월 8일에 발생한 개기 일식은 UTC 기준 18시 44분에 시작하여 23시 11분에 종료되었고, 아프리카 동부, 인도양, 호주에서 관측되었으며, 사로스 주기 123, 136, 141, 151, 155와 관련이 있다.
  • 텔레비전의 역사 - 방송법
    방송법은 방송의 공익성 확보와 시장 경쟁 촉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각국의 법률 및 규정으로, 주파수 할당, 콘텐츠 심의, 공정성 확보, 공영방송 운영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며,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으로 인한 새로운 과제에 직면하여 각국은 방송법 개정을 통해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에 적응하고 있다.
  • 텔레비전의 역사 - 아날로그 텔레비전
    아날로그 텔레비전은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영상과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는 텔레비전 시스템으로, 브라운관 개발을 거쳐 다양한 방송 시스템으로 발전했지만 디지털 방송의 등장으로 대부분 국가에서 방송이 종료되었다.
  • 독일의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독일의 발명품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닙코프 디스크
기본 정보
니프코프 원반
니프코프 원반
발명자파울 니프코프
발명 연도1884년
용도초기 텔레비전 영상 스캐너
작동 방식원반의 나선형 구멍을 통해 이미지를 스캔
재료금속
특허독일 제국 특허 제30105호
특허 획득일1885년 1월 15일
작동 원리원판에 뚫린 일련의 구멍을 통해 이미지를 라인별로 스캔
빛의 강도를 전기 신호로 변환
수신 측에서 동일한 원리로 이미지를 재구성
기술적 한계해상도 제한
낮은 이미지 품질
기계적 작동의 어려움
역사적 의의최초의 전기 기계식 텔레비전 시스템의 핵심 부품
현대 텔레비전 기술 발전의 토대 마련
참고 자료파울 니프코프
텔레비전
주사
관련 기술브라운관
촬상관
디지털 텔레비전

2. 작동

이 장치는 금속, 플라스틱, 판지 등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진 기계적으로 회전하는 디스크이다. 디스크에는 동일한 지름을 가진 일련의 동일한 간격의 원형 구멍이 뚫려 있다.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 구멍을 정사각형으로 만들 수도 있다. 이 구멍들은 디스크의 외부 반경 지점에서 시작하여 디스크의 중심으로 진행하는 단일 회전 나선형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디스크가 회전할 때 구멍은 각 구멍의 위치에 따라 내경과 외경의 지름이 달라지고 각 구멍의 직경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원형 고리 패턴을 따른다. 디스크의 정확한 구성에 따라서는 패턴이 부분적으로 겹칠 수도 있고 겹치지 않을 수도 있다. 렌즈에 의해서 전면의 이미지를 디스크에 직접 투사한다.[6] 나선형의 각 구멍은 이미지를 가로지르면서 "슬라이스"를 취하여 명암의 시간적 패턴으로 센서에 의하여 포착된다. 이 센서를 이용하여 같은 속도와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는 두 번째 닙코프 디스크 뒤에서 방출하는 빛을 제어하도록 하면 이미지가 한 줄씩 재생된다. 재생된 이미지의 크기는 디스크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닙코프 디스크는 이미지 주사 기구로서 주사선이 직선이 아닌 곡선을 그린다는 약점이 있다. 현대의 전기식 텔레비전은 이미지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주사하고 순차적으로 하방으로 이동시키지만, 닙코프 디스크에서는 이미지의 외연에서 소용돌이 모양으로 순차적으로 중심을 향해 수렴하는 연속된 점으로 주사하게 된다. 따라서 닙코프 디스크는 매우 큰 직경이 바람직하며(즉, 곡률이 작음), 창은 가능한 작을수록 좋다. 더 나은 이미지를 얻기 위해서는, 가능한 작은 구멍(마이크로미터 단위 정도)을 디스크의 외주에 가까운 부분에 뚫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기술 혁신에 따라 이미지 주사법으로는 전자식이 주류가 되었다.

2. 1. 뷰포트를 이용한 관찰

디스크를 "통해" 물체를 관찰할 때, 디스크의 1/4 또는 1/8 각도에 해당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원형 섹터(뷰포트)를 통해 보면서 디스크를 회전시키면 물체가 한 줄씩 "스캔"되는 것처럼 보인다. 디스크를 충분히 빠르게 회전시키면 대상물이 완성된 것처럼 보이고 동작을 포착할 수 있다. 이것은 디스크 전체를 검정색 판지(고정된 상태)로 덮고 작은 직사각형 영역을 통해 물체를 관찰함으로써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6]

3. 장점

닙코프 디스크를 사용하는 이점 중 하나는 이미지 센서(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가 포토셀 또는 포토다이오드처럼 간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어느 순간에는 디스크(및 뷰포트)를 통하여 매우 작은 영역만이 보이기 때문이고, 따라서 이미지를 라인으로 분해하는 것은 스캔라인 타이밍이 거의 필요하지 않고 매우 높은 스캔라인 해상도로 거의 자체적으로 수행된다. 간단한 이미지 획득 장치는 닙코프 디스크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 단일 감광(전기) 요소를 포함하는 작은 상자 및 기존 이미지 포커싱 장치(렌즈, 암 상자 등)를 사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또 다른 장점은 수신 장치가 획득 장치와 매우 유사하다는 점이다. 단지 감광 장치가 획득 장치에서 제공하는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가변 광원으로 대체될 뿐이다. 또한 두 장치의 디스크를 동기화하는 몇 가지 방법도 고안해야 한다(수동에서 전자 제어 신호에 이르기까지 여러 옵션이 가능함).

이러한 사실은 스코틀랜드 발명가인 존 로지 베어드가 완성한 최초의 기계식 텔레비전과 최초의 "TV 애호가" 커뮤니티 및 1920년대의 실험적인 이미지 라디오 방송을 구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

4. 단점

닙코프 디스크는 가로 방향 해상도에 비해 세로 방향 해상도가 원판의 구멍 수에 제한된다는 약점이 있다. 실용화된 것은 30개에서 100개 정도이며, 200개가 넘는 구멍을 가진 닙코프 디스크가 시도된 경우는 거의 없다.[1]

이미지 스캐닝 장치로서 닙코프 디스크의 또 다른 단점은 주사선이 직선이 아닌 곡선이라는 점이다. 따라서 이상적인 닙코프 디스크는 매우 큰 지름을 가져야 하며, 이는 더 작은 곡률을 의미하거나, 시야각의 각도 개방이 매우 좁아야 한다. 허용 가능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디스크의 외부 구역에 더 가깝게 더 작은 구멍(밀리미터 또는 심지어 마이크로미터 크기)을 뚫는 것이었지만, 기술 발전은 전자적 이미지 획득 방식을 선호했다.[1]

또 다른 중요한 단점은 닙코프 디스크로도 수행된 전송 수신단에서 이미지를 재현하는 데 있었다.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매우 작았으며, 스캔에 사용된 표면만큼 작았는데, 이는 기계식 텔레비전의 실제 구현에서 지름 30~50cm 디스크의 경우 우표 크기였다.[1]

추가적인 단점으로는 스캔된 이미지의 비선형 기하학적 구조와 디스크의 비실용적인 크기(적어도 과거에는)가 있다. 초기 TV 수신기에 사용된 닙코프 디스크는 지름이 대략 30cm에서 50cm였으며, 구멍은 30개에서 50개였다. 이를 사용한 장치는 또한 잡음이 많고 무거웠으며, 화질이 매우 낮고 심한 깜박임이 있었다. 시스템의 획득 부분도 크게 다르지 않아, 피사체에 매우 강력한 조명이 필요했다.[1]

디스크 스캐너는 필로 판즈워스의 이미지 분해관과 주요한 제한점을 공유한다. 빛은 작은 조리개가 전체 시야를 스캔하면서 감지 시스템으로 전달된다. 실제로 수집되는 빛의 양은 순간적으로 발생하며, 매우 작은 조리개를 통해 발생하며, 순수 수율은 입사 에너지의 미세한 백분율에 불과하다.[1]

아이코노스코프 (및 후속 제품)는 대상에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축적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에너지를 통합한다. 스캔 시스템은 대상의 각 지점을 지나갈 때 축적된 전하를 단순히 "가져옵니다". 간단한 계산에 따르면, 감광 수용기가 동일하게 민감한 경우, 아이코노스코프는 디스크 또는 판즈워스 스캐너보다 수백에서 수천 배 더 민감하다.[1]

스캐닝 디스크는 다각형 거울로 대체할 수 있지만, 이는 동일한 문제, 즉 시간 경과에 따른 통합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1]

5. 역사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도 없습니다.)

5. 1. 기계식 텔레비전

닙코프 디스크를 사용하는 기계식 텔레비전은 몇 가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장점:

  • 간단한 구조: 이미지 센서 (포토셀 또는 포토다이오드)가 단순하여 이미지 획득 장치를 쉽게 구축할 수 있었다. 닙코프 디스크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 단일 감광 소자를 포함하는 작은 상자, 렌즈나 암실과 같은 이미지 포커싱 장치만 있으면 되었다.
  • 높은 해상도: 스캔라인에 따른 해상도는 아날로그 스캔이므로 매우 높게 할 수 있었다.
  • 유사한 수신 장치: 수신 장치는 획득 장치와 매우 유사하며, 감광 장치 대신 가변 광원을 사용했다. 두 장치의 디스크를 동기화하는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었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스코틀랜드 발명가 존 로지 베어드는 최초의 기계식 텔레비전을 완성할 수 있었고, 1920년대에는 "TV 애호가" 커뮤니티와 실험적인 이미지 라디오 방송이 등장했다.
단점:

  • 제한된 스캔라인 수: 스캔라인의 최대 수는 디스크의 구멍 수와 동일하며, 일반적으로 30개에서 100개 사이였다.
  • 곡선 스캔라인: 주사선이 직선이 아니라 곡선이어서, 이상적인 닙코프 디스크는 직경이 매우 크거나 뷰포트의 각도가 매우 좁아야 했다.
  • 작은 이미지 크기: 기계식 텔레비전으로 구현된 이미지는 우표 크기에 불과했다.
  • 비선형 기하학과 비실용적인 디스크 크기: 초기 TV 수신기에 사용된 닙코프 디스크는 직경이 30~50cm였고, 장치는 시끄럽고 무거웠으며 화질이 낮고 깜박임이 많았다.
  • 낮은 감도: 필로 판즈워스의 이미지 분해기와 마찬가지로, 작은 개구를 통해 빛을 감지하기 때문에 감도가 낮았다. 아이코노스코프는 빛을 축적하여 감도를 높였다.


기술 발전으로 인해 이미지 획득의 전자적 수단이 선호되면서 닙코프 디스크를 이용한 기계식 텔레비전은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6. 응용

닙코프 디스크는 강력한 광학 현미경인 공초점 현미경의 한 종류로 사용된다.[1] 닙코프 디스크를 소형화 및 고속화하여 고속 사진 촬영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3]

참조

[1] 웹사이트 Das erste deutsche Fernsehpatent von Paul Nipkow http://www.pc-magazi[...] 2017-04-28
[2] 웹사이트 Nipkow-Scheibe 2020-03-29
[3] 웹사이트 The Nipkow disk 2010-03-02
[4] 웹인용 Das erste deutsche Fernsehpatent von Paul Nipkow http://www.pc-magazi[...] 2017-04-28
[5] 웹인용 Nipkow-Scheibe https://www.dpma.de/[...] 2020-03-29
[6] 웹인용 The Nipkow disk http://users.swing.b[...] 2010-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