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그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로, 낮을 의인화한 존재이다. 그는 델링그와 밤의 아들로 묘사되며, 『산문 에다』에서는 요르드의 형제로 언급된다. 다그는 스킨팍시라는 말을 타고 하늘을 가로지르며, 그의 아들들은 시그르드리파의 기도에 등장한다. 일부 학자들은 다그가 영웅 스비프다그와 동일 인물일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낮의 신 - 헤메라
    헤메라는 그리스 신화에서 낮을 의인화한 여신으로, 밤의 여신 닉스와 대비되며 세상을 밝히는 역할을 하고 긍정적인 상징으로 여겨진다.
  • 아스 - 토르
    토르는 게르만 신화에서 천둥, 번개, 폭풍, 힘을 관장하는 신으로, 그의 이름은 여러 게르만어파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목요일의 어원이 되었고, 바이킹 시대에는 숭배의 대상이었으며, 다양한 문헌과 현대 대중문화에서 등장한다.
  • 아스 - 발드르
    발드르는 북유럽 신화에 등장하는 오딘의 아들로, 가장 아름답고 현명하며 자비로운 신이지만 로키의 계략으로 죽음을 맞이하고 라그나로크 이후 부활하여 새로운 세상을 다스릴 것으로 예언된다.
다그

2. 에다에서의 묘사

고 에다 「훈딩 살해자 헬기의 노래 그 두 번째」(Helgakviða Hundingsbana II)에서 다그는 인간 영웅 시그룬의 남동생이자 헤그니 왕의 아들이다. 그는 오딘에게서 창을 빌려 의붓 형 헬기를 죽였다.

2. 1. 시 에다

다그는 시 ''바프스루드니르의 말''(Vafþrúðnismál)과 시그르드리파의 말(Sigrdrífumál)에 언급된다. 시그르드리파의 말에서는 발키리 시그르드리파가 시구르드에게 기도를 할 때 "다그의 아들들"과 노트의 "여성 친족"을 언급한다.

''흐라프나가르드 오딘스''(Hrafnagaldr Óðins)에는 다그의 말과 전차가 묘사되어 있다.

고 에다 「훈딩 살해자 헬기의 노래 그 두 번째」(Helgakviða Hundingsbana II)에서 다그는 시그룬의 남동생이자 헤그니 왕의 아들이며, 오딘에게서 창을 빌려 의붓 형 헬기를 죽인다.

2. 1. 1.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바프스루드니르가 말하기를 24절에서 오딘은 "간그라드"로 변장하여 요툰 바프스루드니르에게 낮과 밤, 그리고 그 조수(tides)가 어디에서 오는지 묻는다. 25절에서 바프스루드니르는 다음과 같이 답한다.

:델링이 낮의 아버지라 불리우며,

:밤은 노르비에게서 태어났네;

:새로운 달과 기울어가는 달은 자비로운 힘으로 창조되어

:인간을 위해 연도를 계산하게 하였네.

12절에서 바프스루드니르는 갈기가 빛나는 말 스킨팍시가 "인류에게 낮을 가져온다"고 말한다.

시그르드리파의 말에서 시구르드발키리 시그르드리파를 잠의 저주에서 깨운 후, 시구르드는 그녀의 이름을 묻고, 그녀는 미드로 가득 찬 술잔의 "기억의 술"을 건네준다. 시그르드리파는 기도를 하는데, 이 기도의 첫 번째 구절에는 "다그의 아들들"과 노트의 "여성 친족" (''nipt'', "조카" 또는 "딸")이 언급된다.

흐라프나가르드 오딘스에는 다그와 그의 말, 전차의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

:델링의 아들

:보석으로

:장식된

:말을 몰았네.

:만하임 위로 빛나네

:그 말의 갈기,

:드발린의 기만자,

:전차의 이슬.

「훈딩 살해자 헬기의 노래 그 두 번째」(Helgakviða Hundingsbana II)에서 다그는 인간 영웅 시그룬의 남동생이며 헤그니 왕의 아들이다. 그는 의붓 형 헬기를 죽였으며, 오딘에게서 창을 빌린다.

2. 1. 2. 시그르드리파가 말하기를

시그르드리파의 말(Sigrdrífumál)에서 영웅 시구르드(Sigurd)가 발키리 시그르드리파(Sigrdrífa)를 잠의 저주에서 깨운 후, 시구르드는 그녀의 이름을 묻는다. 시그르드리파는 그에게 미드로 가득 찬 술잔의 "기억의 술"을 건네주고 기도를 한다. 이 기도의 첫 번째 구절에는 "다그의 아들들"과 노트의 "여성 친족" (''nipt'', "조카" 또는 "딸")에 대한 언급이 있다.

2. 1. 3. 흐라프나가르드 오딘스

델링의 아들은 보석으로 장식된 말을 몰았다.[1] 만하임 위로 그 말의 갈기, 드발린의 기만자, 전차의 이슬이 빛났다.[1]

2. 2. 산문 에다

『산문 에다』 중 『길피의 속임수』에서 다그는 의인화되어 등장한다. 제10장에서 높은 존재는 다그가 아시르의 델링그와 그의 아내 노트("밤")의 아들이라고 말하며, "그의 아버지의 백성만큼 밝고 아름답다"고 묘사한다. 오딘은 다그와 노트를 데려가 각자에게 전차와 말을 주었는데, 다그는 온 하늘과 땅을 비추는 갈기를 가진 말 스킨팍시를 받았다. 그들은 24시간마다 지구를 돌도록 하늘에 배치되었다.[5]

『산문 에다』 중 『시어법』 제24장에서 다그는 요르드의 형제로 다시 언급된다.[6] 제58장에서는 일반 명사로서의 다그가 "스킨팍시 또는 글라드"가 낮을 이끌어낸다고 언급되며,[7] 제64장에서는 시간의 다양한 단어 중 하나로 언급된다.[8]

2. 2. 1. 필사본에 따른 차이

학자 하우쿠르 토르게이르손은 『길피의 속임수』의 네 가지 필사본에서 노트, 요르드, 다그, 델링그 사이의 가족 관계에 대한 묘사가 다르다고 지적한다. 필사본에 따라 요르드 또는 노트가 다그의 어머니이자 델링그의 아내가 된다. 하우쿠르는 "가장 오래된 필사본인 U는 요르드가 델링그의 아내이자 다그의 어머니인 버전을 제공하는 반면, 다른 필사본인 R, W, T는 노트를 델링그의 아내이자 다그의 어머니로 묘사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U의 버전은 U의 필사자 또는 그 이전의 필사자가 RWT와 유사한 텍스트를 축약하면서 우연히 생겨났으며, 이 사고의 결과는 아이슬란드 시 전통에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9]

3. 횔러의 해석: 스비프다그와의 관련성

오토 횔러는 다그가 다양한 텍스트에서 증명된 영웅 스비프다그(그의 이름은 "갑자기 떠오르는 날"을 의미함)와 관련이 있거나 동일한 인물일 수 있다고 이론화했다. 이 인물은 ''시 에다''의 ''스비프다그스말'', ''산 에다'' 서문, 그리고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앵글로색슨 잉글랜드 가문의 신화적 계보에서 Swæfdæg라는 이름으로 두 편의 시에서 발견된다.[10] 횔러는 또한 스비프다그가 "수에비의 다그"였을 수 있다고 제안했으며, 그의 가족 구성원인 솔뱌르트르("태양 빛", 하늘의 잠재적인 신을 나타냄)와 그로아("성장", 가능한 성장의 여신을 나타냄)의 이름, 그리고 멩글뢰드(종종 여신 프레이야와 동일시됨)에게 구애하는 것을 근거로, 스비프다그가 다산의 신이었을 수 있다고 추가적으로 제안했다.[10]

참조

[1] 서적 2001
[2] 서적 1907
[3] 서적 1996
[4] 서적 1866
[5] 서적 2005
[6] 서적 1995
[7] 서적 1995
[8] 서적 1995
[9] 서적 2008
[10] 서적 2007
[11] 서적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