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니엘레 바르바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니엘레 바르바로는 16세기 베네치아의 귀족으로, 철학, 수학, 광학을 공부했으며, 외교관, 종교인, 건축가, 저술가로 활동했다. 파도바 대학교에서 수학했으며, 베네치아 공화국을 위해 외교 활동을 하고 트리엔트 공의회에 대표로 참여했다. 1550년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로 선출되었고, 안드레아 팔라디오에게 빌라 바르바로 설계를 의뢰했다. 비트루비우스의 《건축 10서》를 이탈리아어로 번역하고 해설을 덧붙여 출판했으며, 예술가와 건축가를 위한 원근법에 관한 책 《La pratica della perspettiva》를 저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바로가 - 마르칸토니오 바르바로
    마르칸토니오 바르바로는 베네치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외교관, 정치인, 건축 후원가로 활동하며 베네치아 공화국을 위해 봉사했고, 형과 함께 지은 빌라 바르바로는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유대인 권리 옹호에 앞장서는 등 진보적인 행보를 보였다.
  • 1570년 사망 - 남포 (1489년)
    남포는 조선 시대 문신으로, 알성 문과에 급제하여 공조좌랑, 홍문관 직제학 등을 지냈고, 연산군 시절 탄핵을 받기도 했으나 중종반정 이후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했으며, 만년에는 은둔 생활을 하다 사후 선조가 그의 절개를 기려 상을 내렸다.
  • 1570년 사망 - 모리 요시나리
    모리 요시나리는 오다 노부나가를 섬긴 센고쿠 시대 무장으로, 창술에 능해 "공격의 산자"라는 별명을 가졌으며, 시모사카모토 전투에서 전사했다.
  • 이탈리아의 외교관 - 베니토 무솔리니
    베니토 무솔리니는 이탈리아의 파시스트 독재자로, 파시스트 운동을 창시하여 총리에 오른 뒤 전체주의적 독재 체제를 수립하고 팽창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실각 후 처형되었다.
  • 이탈리아의 외교관 - 레오나르도 다 빈치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의 다재다능한 천재로, 미술, 과학, 기술 등 여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최후의 만찬》, 《모나리자》와 같은 걸작 회화로 유명하다.
다니엘레 바르바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파올로 베로네세가 그린 다니엘레 바르바로의 초상화
파올로 베로네세가 그린 다니엘레 바르바로의 초상화
이름다니엘레 바르바로
로마자 표기Daniele Barbaro
출생일1514년 2월 8일
출생지베네치아 공화국 베네치아
사망일1570년 4월 13일
사망 장소베네치아 공화국 우디네
직업가톨릭 성직자, 외교관
교회 경력
추기경 서임1561년
직책인 펙토레 추기경

2. 생애

다니엘레 바르바로는 베네치아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프란체스코 디 다니엘레 바르바로와 엘레나 피사니의 아들로 태어났다.[2] 엘레나 피사니는 은행가 알비세 피사니와 체칠리아 주스티니안의 딸이었다. 바르바로는 파도바 대학교에서 철학, 수학, 광학을 공부했으며, 파도바 식물원 설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아버지의 사망으로 형제 마르칸토니오 바르바로와 함께 시골 영지를 상속받았다.

2. 1. 외교 및 종교 활동

바르바로는 베네치아 공화국을 위해 런던의 에드워드 6세 궁정에 대사로, 트리엔트 공의회의 대표로 활동했다.[2] 1561년 교황 비오 4세는 그를 '인 펙토레', 즉 비밀리에 추기경으로 임명하여 외교적 문제를 피하려 했지만, 비오 4세가 그 임명을 공개하지 않아 바르바로는 추기경이 되지 못했다. 1550년에는 아퀼레이아 총대주교로 선출되었다.[2] 이 직책은 베네치아 원로원의 승인이 필요했다.

2. 2. 건축 및 예술 활동

다니엘레 바르바로는 베네치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파도바 대학교에서 철학, 수학, 광학을 공부했다.[2] 그는 파도바 식물원 설계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형제 마르칸토니오 바르바로와 함께 아버지로부터 시골 영지를 상속받은 다니엘레는 팔라디오에게 빌라 바르바로 설계를 의뢰했는데, 이 건물은 현재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팔라디오와 바르바로는 함께 로마를 방문했고, 빌라의 건축 양식은 그들이 로마에서 본 고대 건축물에서 영향을 받았다. 빌라 내부는 파올로 베로네세가 그린 프레스코화로 장식되었으며, 베로네세는 다니엘레의 초상화를 그리기도 했다. 다니엘레의 초상화는 베네치아 귀족 복장과 성직자 복장 두 가지 버전으로 남아있다.[3]

바르바로는 바티스타 프랑코에게 산 프란체스코 델라 비냐 교회의 제단화인 ''그리스도의 세례''(1555년경) 제작을 의뢰했다.

2. 3. 사망

다니엘레 바르바로는 우디네에서 사망했다.[3] 그의 유언에는 그가 구입하고 제작한 천문 기구에 대한 언급이 있다. 다니엘레는 형 마르칸토니오 바르바로를 위해 상속을 포기하고, 가족 예배당 대신 산 프란체스코 델라 비냐 교회의 뒤에 있는 표시 없는 무덤에 묻혔다. 다니엘레는 바티스타 프랑코에게 이 교회의 제단화인 ''그리스도의 세례''(1555년경)를 의뢰했다.

3. 저술 활동

바르바로는 무라노에 있는 팔라초 트레비산을 팔라디오와 함께 설계했을 가능성이 있다. 빌라 바르바로처럼 파올로 베로네세와 알레산드로 비토리아도 1557년에 완공된 이 프로젝트에 참여했을 것이다.[2]

그는 에르몰라오 바르바로가 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해설서를 편집하고, 에르몰라오 바르바로의 ''Compendium scientiae naturalis''를 편집했다. 비트루비우스의 ''건축 10서''를 번역하고 주석을 달아 출판했는데, 건축과 미학 분야에 큰 영향을 끼쳤다. ''La pratica della perspettiva''에서는 렌즈를 암상자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했고, 해시계 제작에 관한 미완성 논문(''De Horologiis describendis libellus'')에서는 천구의 등 다양한 기구들을 다룬 것으로 추정된다.

3. 1. 주요 저서


  • (1542) ''Exquisitae in Porphyrium Commentationes''.[1]
  • (1542) ''Predica de' sogni'' (레버런드 파드레 히프네오 다 스키오라는 필명으로 출판).[1]
  • (1544) 큰아버지 에르몰라오 바르바로가 쓴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 해설 편집.[2][1]
  • (1545) 에르몰라오 바르바로의 ''Compendium scientiae naturalis'' 편집.
  • (1556) 비트루비우스의 ''건축 10서''를 이탈리아어로 번역하고 해설을 덧붙여 ''Dieci libri dell'architettura di M. Vitruvio''로 출판.[3][4] 티볼리, 이탈리아에 있는 빌라 데스테의 후원자인 추기경 이폴리토 2세 데스테에게 헌정.[2][1]
  • (1567) ''M. Vitruvii de architectura'' (수정된 이탈리아어판과 라틴어판 동시 출판). 비트루비우스 작품의 원래 삽화는 남아 있지 않으며, 바르바로의 삽화는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특별히 제작하고 요한 크리게르가 조각. 건축에 대한 논의로서도 중요하지만, 바르바로의 해설은 미학 분야에 대한 기여이기도 함. 엘 그레코가 이 책을 소장. 프라 조반니 지오콘도(1511)와 체사레 체사리아노(1521)에 의해 이전에 번역이 이루어졌지만, 이 작품은 지금까지 가장 정확한 버전으로 여겨짐. 바르바로는 일부 기술적인 부분을 명확히 설명하고 자연과 건축의 관계에 대해 논했으며, 팔라디오의 이론적 및 고고학적 전문 지식이 이 작품에 기여한 방식을 인정.[2][1]
  • (1567) ''Dell'Eloquenza Dialogo''[1]
  • (1568) ''La pratica della perspettiva'' (예술가와 건축가를 위한 원근법에 관한 책).[2][1] 렌즈를 암상자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 --
  • 해시계 제작에 관한 미완성 논문(''De Horologiis describendis libellus'', 베네치아, 마르치아나 국립 도서관, ''Cod. Lat.'' VIII, 42, 3097). 천구의, 스페인 수학자 후안 데 로하스의 평면도, 항해 기구 크로스 스태프, 토르케툼, 천문학 기구 및 아벨 풀론의 측량 기구인 홀로미터 등 다른 기구들도 다루었을 것으로 추정.

3. 2. 《건축 10서》 번역 및 주석

다니엘레 바르바로는 1556년에 비트루비우스의 ''건축 10서''를 이탈리아어로 번역하고 해설을 덧붙여 ''Dieci libri dell'architettura di M. Vitruvio''로 출판했다.[1] 이 작품은 티볼리, 이탈리아에 있는 빌라 데스테의 후원자인 추기경 이폴리토 2세 데스테에게 헌정되었다.[2][3]

1567년, 바르바로는 ''M. Vitruvii de architectura''라는 제목으로 수정된 이탈리아어판과 라틴어판을 동시에 출판했다. 비트루비우스의 원본 삽화는 남아 있지 않지만, 바르바로의 판본에는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특별히 제작하고 요한 크리게르가 조각한 삽화가 포함되었다. 이 해설서는 건축뿐만 아니라 미학 분야에도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엘 그레코도 이 책을 소장했을 정도였다. 프라 조반니 지오콘도(1511)와 체사레 체사리아노(1521)가 이전에 번역본을 출간했지만, 바르바로의 번역본이 가장 정확한 것으로 여겨진다. 바르바로는 기술적인 부분을 명확히 설명하고 자연과 건축의 관계를 논했으며, 팔라디오의 이론적, 고고학적 전문 지식이 이 작업에 기여했음을 인정했다.[2][3]

3. 3. 《La pratica della perspettiva》



1568년에 출판된 ''La pratica della perspettiva''는 예술가와 건축가를 위해 원근법을 다룬 책이다.[1] 이 책에서는 렌즈를 암상자와 함께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2]

참조

[1] encyclopedia BARBARO, Daniele Matteo Alvise http://www.treccani.[...]
[2] 서적 Venice and the Renaissance https://archive.org/[...]
[3] 웹사이트 Villa Barbaro: Architecture, Knowledge and Arcadia http://rubens.anu.e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4] 서적 팔라디오와 팔라디아니즘 시공사
[5] 서적 위의 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