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말스벤스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말스벤스칸은 1988년 창설된 스웨덴 여자 축구 리그로, 1973년부터 1987년까지 개최된 스웨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를 프로 리그로 전환하여 출범했다. 리그는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14개 팀이 참가하여 각 팀당 22경기를 치른다. 하위 2개 팀은 엘리테탄으로 강등되고, 엘리테탄 상위 2개 팀이 승격된다. 상위 3개 팀은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을 얻는다. FC 로센고르드는 1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4 시즌에는 14개 팀이 참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여자 축구 -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여자 월드컵 준우승 및 3위, 하계 올림픽 은메달, UEFA 여자 유로 우승 등 국제 무대에서 꾸준한 성적을 내는 스웨덴 대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 스웨덴의 여자 축구 - 엘리테탄
엘리테탄은 스웨덴 여자 축구 2부 리그로, 2024년에는 14개 클럽이 참가하며 에스킬스투나 유나이티드 DFF, 말뫼, 우메아 IK 등 다양한 클럽들이 역대 승격팀에 포함되어 있다. - 스웨덴의 축구 리그 - 수페레탄
수페레탄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30경기를 치르는 스웨덴의 프로 축구 리그이며, 하위 팀은 디비전 1으로 강등되고 상위 팀은 알스벤스칸으로 승격된다. - 스웨덴의 축구 리그 - 엘리테탄
엘리테탄은 스웨덴 여자 축구 2부 리그로, 2024년에는 14개 클럽이 참가하며 에스킬스투나 유나이티드 DFF, 말뫼, 우메아 IK 등 다양한 클럽들이 역대 승격팀에 포함되어 있다. - 스웨덴의 프로 스포츠 리그 - 알스벤스칸
알스벤스칸은 1924-25 시즌에 시작된 스웨덴의 최상위 남자 프로 축구 리그이며, 16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30경기를 치러 우승팀은 UEFA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한다. - 스웨덴의 프로 스포츠 리그 - 수페레탄
수페레탄은 16개 팀이 참가하여 4월부터 10월까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30경기를 치르는 스웨덴의 프로 축구 리그이며, 하위 팀은 디비전 1으로 강등되고 상위 팀은 알스벤스칸으로 승격된다.
다말스벤스칸 | |
---|---|
기본 정보 | |
이름 | OBOS 다말스벤스칸 |
![]() | |
국가 | 스웨덴 |
대륙 연맹 | UEFA |
창립 연도 | 1988년 |
참가 팀 수 | 14 |
하위 리그 | 엘리테탄 |
국내 컵 대회 | 스벤스카 쿠펜 |
대륙 컵 대회 | UEFA 챔피언스리그 |
최다 우승 클럽 | FC 로셍오르드 (13회 우승) |
최근 우승팀 | 함마르비 (2회 우승) |
시즌 | 2023 |
TV 중계 | 팬시트 |
웹사이트 | OBOS 다말스벤스칸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4 다말스벤스칸 |
리그 구조 | |
1부 리그 | 다말스벤스칸 |
2부 리그 | 엘리테탄 |
3부 리그 | 디비전 1 |
4부 리그 | 디비전 2 |
5부 리그 | 디비전 3 |
6부 리그 | 디비전 4 |
7부 리그 | 디비전 5 |
8부 리그 | 디비전 6 |
2. 역사
1973년부터 1987년까지 스웨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13] 1988년, 프로 리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다말스벤스칸(Damallsvenskan)이 창설되었다. 'Dam'은 여자를, 'Allsvenskan'은 전 스웨덴을 의미한다.
1988년부터 1992년까지는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우승팀을 결정했다. 정규 시즌 상위 4개 팀이 준결승과 결승을 치렀다.
2. 1. 역대 우승팀 및 득점왕
[10]1988년부터 1992년까지는 플레이오프 라운드가 진행되어 정규 시즌 상위 4개 팀이 준결승과 결승을 치렀다.
시즌 | 우승팀 | 준우승팀 |
---|---|---|
1973 | 외크사백 IF (1) | IFK 래트비크 |
1974 | 이테크스 BK (1) | 함마르비 IF |
1975 | 외크사백 IF (2) | 야콥스베르그 GoIF |
1976 | 이테크스 BK (2) | 오페 IF |
1977 | 야콥스베르그 GoIF (1) | 함마르비 IF |
1978 | 외크사백 IF (3) | 함마르비 IF |
1979 | 이테크스 BK (3) | 기데온스베르그 IF |
1980 | 선나나 SK (1) | 기데온스베르그 IF |
1981 | 이테크스 BK (4) | 선나나 SK |
1982 | 선나나 SK (2) | 함마르비 IF |
1983 | 외크사백 IF (4) | 함마르비 IF |
1984 | 이테크스 BK (5) | 트롤헤탄스 IF |
1985 | 함마르비 IF (1) | GAIS |
1986 | 말뫼 FF (1) | 선나나 SK |
1987 | 외크사백 IF (5) | 이테크스 BK |
1988 | 외크사백 IF (6) | 이테크스 BK |
1989 | 이테크스 BK (6) | 말뫼 FF |
1990 | 말뫼 FF (2) | 외크사백 IF |
1991 | 말뫼 FF (3) | 이테크스 BK |
1992 | 기데온스베르그 IF (1) | 외크사백 IF |
1993 | 말뫼 FF (4) | 이테크스 BK/JG93 |
1994 | 말뫼 FF (5) | 함마르비 IF |
1995 | 엘브쇼 AIK (1) | 기데온스베르그 IF |
1996 | 엘브쇼 AIK (2) | 말뫼 FF |
1997 | 엘브쇼 AIK (3) | 말뫼 FF |
1998 | 엘브쇼 AIK (4) | 말뫼 FF |
1999 | 엘브쇼 AIK (5) | 말뫼 FF |
2000 | 우메아 IK (1) | 말뫼 FF |
2001 | 우메아 IK (2) | 말뫼 FF |
2002 | 우메아 IK (3) | 말뫼 FF |
2003 | 유르고르덴/엘브쇼 (1) | 우메아 IK |
2004 | 유르고르덴/엘브쇼 (2) | 우메아 IK |
2005 | 우메아 IK (4) | 말뫼 FF |
2006 | 우메아 IK (5) | 유르고르덴/엘브쇼 |
2007 | 우메아 IK (6) | 유르고르덴/엘브쇼 |
2008 | 우메아 IK (7) | 링셰핑 FC |
2009 | 링셰핑 FC (1) | 우메아 IK |
2010 | LdB FC 말뫼 (6) | 코파르베리/예테보리 FC |
2011 | LdB FC 말뫼 (7) | 코파르베리/예테보리 FC |
2012 | 티레쇠 FF (1) | LdB FC 말뫼 |
2013 | LdB FC 말뫼 (8) | 티레쇠 FF |
2014 | FC 로센고르드 (9) | KIF 외레브로 DFF |
2015 | FC 로센고르드 (10) | 에스킬스투나 유나이티드 DFF |
2016 | 링셰핑 FC (2) | FC 로센고르드 |
2017 | 링셰핑 FC (3) | FC 로센고르드 |
2018 | 피테아 IF (1) | 코파르베리/예테보리 FC |
2019 | FC 로센고르드 (11) | 코파르베리/예테보리 FC |
2020 | 코파르베리/예테보리 FC (1) | FC 로센고르드 |
2021 | FC 로센고르드 (12) | BK 헤켄 |
2022 | FC 로센고르드 (13) | BK 헤켄 |
2023 | 함마르비 IF (2) | BK 헤켄 |
2024 | FC 로센고르드 (14) | BK 헤켄 |
다음은 시즌별 득점왕(skyttedrottningar) 목록이다.[11]
- 최다 득점왕: 레나 비데쿨 (5회)
- 한 시즌 최다 골: 한나 융베리 (39골)
연도 | 골 | 선수 | 국적 |
---|---|---|---|
1982 | 30 | 피아 순드하게 | |
1983 | 35 | 피아 순드하게 | |
1984 | 35 | 레나 비데쿨 | |
1985 | 19 | 아네테 닐손 | |
1986 | 22 | 구닐라 악센 | |
1987 | 28 | 에바-로타 칼슨 | |
1988 | 24 | 레나 비데쿨 | |
1989 | 25 | 엘레오노르 훌틴 | |
1990 | 21 | 레나 비데쿨 | |
1991 | 28 | 레나 비데쿨 | |
1992 | 26 | 안넬리 안델렌 | |
1993 | 29 | 안넬리 안델렌 | |
1994 | 33 | 안넬리 안델렌 | |
1995 | 27 | 안넬리에 바흘그렌 | |
1996 | 23 | 레나 비데쿨 | |
1997 | 22 | 안넬리에 바흘그렌, 레나 비데쿨 | |
1998 | 32 | 빅토리아 스벤손 | |
1999 | 29 | 루이자 펜딕 | |
2000 | 25 | 루이자 펜딕 | |
2001 | 34 | 빅토리아 스벤손 | |
2002 | 39 | 한나 융베리 | |
2003 | 23 | 빅토리아 스벤손 | |
2004 | 22 | 라우라 칼마리, 마르타 | , |
2005 | 21 | 테레세 룬딘, 마르타 | , |
2006 | 21 | 로타 셸린 | |
2007 | 26 | 로타 셸린 | |
2008 | 23 | 마르타, 마논 멜리스 | , |
2009 | 22 | 린네아 릴리에르드 | |
2010 | 25 | 마논 멜리스 | |
2011 | 16 | 마논 멜리스, 마르그레트 라라 비다르스도티르 | , |
2012 | 21 | 안야 미타그 | |
2013 | 23 | 크리스텐 프레스 | |
2014 | 21 | 안야 미타그 | |
2015 | 18 | 가엘 엥가나무이트 | |
2016 | 23 | 페르닐레 하르데르 | |
2017 | 24 | 타비타 차윙가 | |
2018 | 17 | 안야 미타그 | |
2019 | 14 | 안나 안베가르드 | |
2020 | 16 | 안나 안베가르드 | |
2021 | 17 | 스티나 블랙스테니우스 | |
2022 | 22 | 아말리에 방스가르드 | |
2023 | 19 | 카틴카 탄베르그 | |
2024 | 16 | 모모코 타니카와 |
홈 앤 어웨이 방식의 리그전으로 진행되며 한 팀당 22경기를 치른다. 다말스벤스칸에서 가장 낮은 성적을 기록한 2개 팀은 엘리테탄으로 강등되고, 엘리테탄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2개 팀은 다말스벤스칸으로 승격된다. 다말스벤스칸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기록한 3개 팀은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출전권을 획득한다.
2024 시즌 다말스벤스칸에는 14개 팀이 참가한다. 각 팀의 연고지는 다음과 같다.[8]
3. 리그 진행 방식
4. 참가 팀
4. 1. 2024 시즌 참가 팀
코페르베리/란드베테르 IF (2000-2004)
코파르베리/예테보리 FC (2005-2020)유르고르덴 IF 스톡홀름 스톡홀름 올림픽 스타디움 14,200 2016 유르고르덴 IF/알브셰 (2003-2006) FC 로셍오르드 말뫼 말뫼 IP 7,600 1988 말뫼 FF(1988-2006)
LdB FC 말뫼(2007-2013)함마르비 IF 스톡홀름 함마르뷔 IP 3,100 1988 IF 브롬마포이카르나 스톡홀름 그림스타 IP 6,820 2022 IFK 노르셰핑 노르셰핑 플래티넘카스 아레나 16,000 2023 KIF 외레브로 DFF 외레브로 베른 아레나 13,072 2005 크리스티안스타드 DFF 크리스티안스타드 크리스티안스타드 풋볼 아레나 2,500 1990 베IF (1990-1998)
크리스티안스타드/베 DFF (1999-2001)린셰핑 FC 린셰핑 린셰핑 아레나 7,400 1998 BK 켄티 (1998-2002) 피테오 IF 피테오 LF 아레나 3,000 2009 트렐레보리 DFF 트렐레보리 방가발렌 5,192 2024 비트셰 GIK 비트셰 비트셰 IP 2,500 2012 벡셰 DFF 벡셰 비스마 아레나 12,000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