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하타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하타번은 오다 노부카쓰의 후손들이 다스리던 번으로, 오다 노부쿠니가 야마가타 다이니 사건에 연루되어 강제 은거하고 동생 오다 노부치카가 다카하타 일대로 전봉되면서 시작되었다. 덴메이 대기근으로 재정이 악화되고, 진야 소실 등의 어려움을 겪었으며, 오다 노부요시가 덴도로 거처를 옮기면서 덴도번으로 변경되었다. 다카하타번의 번저는 마루노우치와 쓰키지에 있었으며, 아코 사건 당시 아코 낭사들이 오다 가문의 저택을 피해서 철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카하타정 - 와다촌 (야마가타현)
와다촌은 1889년 야마가타현 히가시오키타마군에 설치된 촌으로, 1954년 다카하타정, 니이주쿠 촌, 야시로 촌, 가메오카 촌과 합병되어 다카하타정이 발족하면서 폐지되었으며 촌 내에는 여러 산이 위치해 있었다. - 다카하타정 - 가메오카촌 (야마가타현)
가메오카 촌은 야마가타현에 위치했던 촌으로, 1889년에 발족하여 1954년 주변 지역과 합병하여 폐지되었으며, 야마가타 교통 다카하타선 잇폰야나기역과 오우 본선이 통과했다. - 야마가타현의 역사 - 데와국
데와국은 712년에 설치되어 아스카 시대부터 에미시족과의 전쟁을 거쳐 영역을 확장했으며, 중세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지배를 받고, 에도 시대 이후 우고국과 우젠국으로 분할된 일본의 옛 행정 구역이다. - 야마가타현의 역사 - 다테 데루무네
다테 데루무네는 1544년에 태어나 1585년에 사망한 다테 가문의 16대 당주이며, 세력 확장을 위해 노력하다가 아들에게 납치되어 살해당했다.
다카하타번 | |
---|---|
개요 | |
![]() | |
번 이름 | 다카하타 번 |
별칭 | 다카노스 번 |
구니 | 데와국 무쓰국 |
통치 | |
번주 | 13 |
가문 | 이타쿠라씨 마쓰다이라 (오규)씨 오카다씨 |
역사 | |
연도 | 1600년 ~ 1871년 |
존속 기간 | 271년 |
이전 | 다카노스 번 |
이후 | 다카하타 현 |
지리 | |
위치 | 무쓰국 다카하타 (현재의 야마가타현 다카하타정) |
번청 | 야마가타현 히가시오키타마군 다카하타정 |
석고 | 2만 2천 석에서 3만 석 |
2. 번의 역사
오다 노부나가의 둘째 아들 오다 노부카쓰 계통의 후손들은 오바타 번 2만 석 영지를 영유하였으며, 노부나가의 적통으로 막부로부터도 존중받아 각종 특권을 누렸다. 1767년(메이와 4년), 야마가타 다이니 사건에 연루되어 오다 노부쿠니가 막부에 의해 강제은거, 칩거 명령을 받았다. 동생인 노부치카가 그 뒤를 이었고 다카하타 일대로 전봉되었다. 이때 그때까지 누리던 특권은 모두 박탈당하였다.
덴메이 대기근(1782년~1788년)으로 번 재정이 더욱 악화되어, 가신단조차 먹고 살기 힘들어 오다가에서 물러난 자도 적지 않았고, 번주인 노부우키는 막부에 오바타로의 복귀를 탄원했지만, 이루어지지 않았다. 1810년(분카 7년)에는 진야가 소실되어, 요네자와 번의 원조를 받았다. 1826년(분세이 9년)에는 두 번째 소실로, 오다씨는 다시 다카하타성 내의 구 진야로 돌아갔고, 누카노메의 진야는 재건되지 않았다.
오다 노부카즈는 번의 영지 대부분이 덴도를 중심으로 한 무라야마 군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거점을 다카하타 진야에서 덴도로 옮기려 했고, 1828년(분세이 11년)에 막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1830년(덴포 원년) 진야를 덴도로 옮기고 덴도번이 되었다.
2. 1. 오바타 번 시대
오다 노부나가의 둘째 아들 오다 노부카쓰의 후손들은 오바타 번 2만 석을 다스렸다. 이들은 노부나가의 적통으로 인정받아 막부로부터 여러 특권을 누렸다.[1] 그러나 1767년(메이와 4년), 야마가타 다이니 사건에 연루되어 당시 번주 오다 노부쿠니가 막부에 의해 강제 은거, 칩거 명령을 받았다. 동생인 노부치카가 그 뒤를 이었고 다카하타로 영지가 옮겨졌다. 이때 그때까지 누리던 특권은 모두 박탈당했다.[2]엎친 데 덮친 격으로 덴메이 대기근이 일어나 번 재정이 악화되었고, 가신단들마저 생계를 잇기 어려워 오다 가문에서 물러나는 자가 적지 않았다. 번주는 오바타 번으로 복귀하는 것을 탄원할 정도였다. 차기 번주인 노부카즈는 번의 영지 대부분이 덴도를 중심으로 한 무라야마 군에 집중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거점을 다카하타 진야에서 덴도로 옮기려 했고, 1828년(분세이 11년)에 막부로부터 허가를 받아, 1830년(덴포 원년) 진야를 덴도로 옮기고 그때부터 덴도번이 되었다.
2. 2. 다카하타 번 시대
메이와 4년(1767년) 야마가타 다이니 사건(메이와 사건)에 연루되어 번주 오다 노부쿠니가 강제 은거 및 칩거 처분을 받았다. 동생 오다 노부치카가 가독을 상속하고 다카하타로 강등되었다. 이때 오다 가문이 누리던 특권은 모두 박탈되었다.[1] 덴메이 대기근(1782년~1788년)으로 번 재정이 악화되어 가신들이 번을 떠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분카 7년(1810년)과 분세이 9년(1826년) 두 차례에 걸쳐 진야가 소실되어 요네자와 번의 지원을 받았다.[2]2. 3. 덴도 번 시대
오다 노부카즈는 영지 대부분이 덴도를 중심으로 무라야마 군에 집중된 점을 고려하여 덴도로 이전할 것을 계획했다. 분세이 11년(1828년) 막부의 허가를 받아 덴포 원년(1830년) 덴도로 진야를 이전하면서 덴도번이 되었다.[1]3. 역대 번주
다카하타번은 오다씨가 다스렸다.
3. 1. 오다 가문
도자마 2만 석4. 번저
다카하타번의 번저는 번주의 거주지 및 집무 공간이었다.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2초메에 상야시키가, 주오구 쓰키지 3초메에 시모야시키가 있었다.[3] 오바타번에서 이봉되었고, 이후 텐도번이 된 오다 씨도 마찬가지였다.[3] 겐로쿠 아코 사건 때, 아코 낭사들은 오다 가문의 저택을 피해 철수했다.[3]
4. 1. 위치
지요다구 마루노우치 2초메에 상야시키(上屋敷)가 있었고, 주오구 쓰키지 3초메에 시모야시키(下屋敷)가 있었다.[3] 오바타번에서 이봉되었고, 이후 텐도번이 된 오다 씨도 마찬가지였다.[3] 겐로쿠 아코 사건 때, 아코 낭사들은 오다 가문의 저택을 피해 철수했다.[3]4. 2. 아코 사건과의 관계
아코 사건 당시, 아코 낭사들은 오다 가문의 저택을 피해 철수했다.[3]참조
[1]
서적
御家建て直し
2004
[2]
간행물
まほろばの里 たかはた
高畠町観光協会
[3]
문서
織田家の勤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