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촌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촌역은 1600년대 붉은 돌이 많은 곳이라 하여 명명된 단촌면에 위치했던 역이다. 1940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소화물, 화물 취급, 여객 취급 등의 변화를 겪었다. 2008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고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2020년 무릉역~단촌역 구간 단선 개통과 함께 폐역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성군의 건축물 - 의성시외버스터미널
의성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북도 의성군에 위치하며, 수도권,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등 여러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된다. - 의성군의 건축물 - 낙동강휴게소
낙동강휴게소는 2017년 6월 30일 상주영천고속도로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19년 4월 10일부터 고속버스 환승휴게소로 운영되며, 푸드코트, 편의점, 주유소 등의 편의시설과 서울, 동서울, 성남, 용인, 인천, 청주 등 주요 도시를 연결하는 고속버스 노선을 제공한다. - 의성군의 교통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의성군의 교통 - 서산영덕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는 충청남도 서산시에서 경상북도 영덕군까지 연결되는 총 연장 330.8km의 고속도로이며, 당진, 예산, 공주, 유성, 청주, 상주, 영덕 등을 지난다. - 2020년 폐지된 철도역 - 미나미시모톳푸역
미나미시모톳푸역은 홋카이도 신칸센 연장 개통으로 2024년 3월 16일에 폐지될 예정이었던 역으로, 2021년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은 5,387명이었으며, 폐지 후 부지 활용 계획은 지역 주민 의견 수렴을 통해 결정될 예정이다. - 2020년 폐지된 철도역 - 희방사역
희방사역은 과거 중앙선에 위치했던 역으로, 1942년 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1951년 보통역으로 승격되었으나, 복선 전철 신선 전환에 따라 2020년 폐역되었다.
단촌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모국어 표기 | 단촌 |
읽기 | 탄촌 |
로마자 표기 | Danchon |
소속 노선 | 중앙선 |
이전 역 | 운산 |
다음 역 | 업동신호장 |
역간 거리 A | 5.5 |
역간 거리 B | 4.7 |
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
소속 사업자 | 한국철도공사 |
역 종류 | 폐역 |
기점으로부터의 거리 | 262.0 |
기점 역 | 청량리 |
역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1940년 3월 1일 |
폐지일 | 2020년 11월 12일 |
한국어 정보 | |
한글 | 단촌역 |
한자 | 丹村驛 |
히라가나 | 해당 없음 |
가타카나 | 탄촌뇨쿠 |
로마자 표기 | Danchon Station |
2. 역명 유래
1600년대 붉은 돌이 많은 곳이라 단촌면으로 명명된 데서 비롯되었다.[1]
1940년 3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단촌역은 소화물 및 화물 취급 중지, 배치간이역 및 무배치간이역으로의 격하, 보통역으로의 승격 등 여러 변화를 겪었다. 2008년 12월 1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으며, 2013년에는 김용락 시인의 '단촌역' 시비가 건립되었다.
3. 역사
3. 1. 연혁
3. 2. 폐역 과정
2008년 12월 1일 여객 취급이 중지되었고, 2020년 9월 23일 무릉역~단촌역 구간이 신선으로 변경되면서 사실상 폐지되었다.[2] 이후 2020년 11월 12일 공식적으로 폐역 고시되었다.[9]
4. 사진
5. 인접역
(업동 신호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