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담양군·장성군 (1963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담양군·장성군 선거구는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담양군과 장성군을 통합하여 신설되었으며,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폐지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박승규, 제7대와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고재필이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성군의 정치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19대 총선 이후 전라남도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반민주당 정서도 나타나고 있다.
  • 장성군의 정치 - 장성군수 선거
    장성군수 선거는 장성군수를 선출하기 위해 1995년부터 치러졌으며, 김흥식, 유두석 등이 군수를 역임했고, 2022년에는 김한종 후보가 당선되었다.
  • 담양군의 정치 -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은 19대 총선 이후 전라남도 선거구 개편으로 신설된 선거구로, 민주당 계열 정당 후보가 우세를 보여왔으나 최근 선거에서는 반민주당 정서도 나타나고 있다.
  • 담양군의 정치 - 담양군 (선거구)
    담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장성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으며, 총 5번의 국회의원 선거와 1번의 보궐선거를 통해 국회의원을 선출하였다.
  • 196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부여군 (1963년 선거구)
    부여군(1963년 선거구)은 1963년 신설되어 1971년 폐지된 선거구로, 제6대와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김종필이, 제8대 선거에서는 신민당에서 민주공화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이상익이 당선되었으며, 1968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신민당 이상익이 당선되는 이변이 있었다.
  • 1963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서산군 (1963년 선거구)
    서산군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서산군 갑, 서산군 을 선거구를 통합하여 신설되었으며, 이상희, 박승규가 국회의원을 역임하다가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당진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폐지되었다.
담양군·장성군 (1963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담양군·장성군
의회국회
큰 지도전라남도
연도1963년
폐지1973년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담양군
장성군
이후 선거구담양군·곡성군·화순군
영광군·함평군·장성군
의원 수1인

2. 역사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담양군 선거구와 장성군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담양군은 화순군·곡성군 선거구에 편입되어 담양군·곡성군·화순군 선거구를 이루고 장성군은 영광군 선거구, 함평군 선거구와 함께 영광군·함평군·장성군 선거구를 이루게 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1963년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승규 후보가, 1967년 선거1971년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고재필 후보가 당선되었다.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담양군·장성군 선거구의 역대 국회의원 목록은 다음과 같다.


3. 1. 1. 담양군·장성군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가 지속적으로 당선되었다. 제6대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박승규 후보가, 제7대와 제8대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 고재필 후보가 당선되었다.

4. 1.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박승규 후보가 51.5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당 변진갑 후보는 22.40%로 2위를 기록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승규민주공화당38,45251.51
변진갑국민의당16,72322.40
김병수민정당9,40312.59
김상천보수당3,8335.13
김진기민주당3,3374.47
김후생자유민주당2,8993.88
합계74,647100


4. 2.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고재필 후보가 46.3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통한당 박승규 후보는 26.24%로 2위를 기록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고재필민주공화당41,69546.35
박승규통한당23,60426.24
김종곤신민당11,67912.98
이종남민주당19678,5939.55
공창덕한국독립당2,0922.32
김상국대중당1,5051.67
윤명규통일사회당7730.85
홍익선민중당196700


4. 3.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고재필 후보가 52.54%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신민당 김상복 후보는 46.85%로 2위를 기록하며 선전했지만, 낙선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고재필민주공화당41,72252.54
김상복신민당37,20346.85
윤명규국민당19714780.60
합계79,40310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