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청은 대구광역시의 행정 업무를 총괄하는 기관으로, 동인청사와 산격청사를 사용하며, 달서구 두류정수장 부지로의 청사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 시장을 중심으로 공보관실, 소방안전본부 등 직속 기관과 행정부시장, 경제부시장 산하의 다양한 실·국을 운영하며, 8개의 자치단체와 2,045명의 정원을 둔다. 2022년 총 예산은 10조 1,444억 원이며, 지방세, 지방교부세, 보조금 등을 주요 수입으로 하여 일반공공행정, 사회복지,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예산을 지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중구 소재의 관공서 -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
대구광역시동부교육지원청은 대구광역시 동구, 중구, 수성구의 교육을 관할하는 기관으로, 1985년 개청 후 명칭 변경을 거쳐 2010년에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으며, 관할 구역 내에 다양한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있다. - 대구 중구 소재의 관공서 - 대구중부소방서
대구중부소방서는 1945년 대구소방서에서 시작되어 1984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현재 대구광역시 중구와 남구 일부 지역의 소방 업무를 담당하며, 소방행정과, 예방안전과, 기동지휘단으로 구성되어 8개의 119안전센터와 1개의 구조대를 통해 화재, 구조, 구급 등의 재난에 대응하고 대구 지역의 주요 사건사고 현장에서 활동해왔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광역시 부시장
대구광역시 부시장은 대구광역시의 행정 사무를 분담하여 처리하는 직위이며, 일제강점기부터 대구부 부부윤, 대구시 부시장으로 시작하여 대구직할시 승격 이후 행정부시장과 정무부시장으로 분리되었다가, 2014년부터 정무부시장이 경제부시장으로 변경되어 현재는 행정부시장과 경제부시장으로 구성된다. - 대구광역시청 - 대구의료원
대구의료원은 대구광역시의 공공 의료를 담당하는 의료기관으로, 다양한 진료과목 운영과 시설 확충을 통해 지역 사회의 의료 수요에 대응하며 감염병 유행 시기 공공 의료 시스템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대구광역시청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구광역시청 |
영어명 | Daegu Metropolitan City Hall |
모토 | Colorful Daegu |
설립일 | 1995년 1월 1일 |
전신 | 대구직할시청 |
소재지 (동인청사) |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동인동1가) |
소재지 (산격청사) |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 (산격4동) |
직원 | 2,045명 |
예산 | 10조 1,444억 원 |
웹사이트 | 대구광역시청 |
기관장 | 홍준표 |
기관장 직책 | 시장 |
부시장 (행정) | 김종한 |
부시장 (경제) | 이종화 |
조직 | |
산하 기관 | 참조 |
2. 청사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에 동인청사가, 구 경상북도청이 위치한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에 산격청사가 있다. 2016년에 경상북도청이 안동시로 이전하자 옛 경상북도청 건물을 대구광역시청이 별관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22년 7월부터 홍준표가 대구광역시장으로 취임한 후 산격동 별관을 산격청사로 개칭하고 시장 집무실도 산격청사로 옮겼다.
추후 대구광역시 달서구 소재의 구 두류정수장 부지로 청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2. 1. 현 청사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에 동인청사가, 구 경상북도청이 위치한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에 산격청사가 있다. 2016년에 경상북도청이 안동시로 이전하자 옛 경상북도청 건물을 대구광역시청이 별관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22년 7월부터 홍준표가 대구광역시장으로 취임한 후 산격동 별관을 산격청사로 개칭하고 시장 집무실도 산격청사로 옮겼다.추후 대구광역시 달서구 소재의 구 두류정수장 부지로 청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2. 2. 이전 예정지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에 동인청사가, 구 경상북도청이 위치한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에 산격청사가 있다. 2016년에 경상북도청이 안동시로 이전하자 옛 경상북도청 건물을 대구광역시청이 별관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2022년 7월부터 홍준표가 대구광역시장으로 취임한 후 산격동 별관을 산격청사로 개칭하고 시장 집무실도 산격청사로 옮겼다.추후 대구광역시 달서구 소재의 구 두류정수장 부지로 청사를 이전할 예정이다.
3. 조직
실·국 | 관 | 담당관실·과 |
---|---|---|
시장 산하 하부조직 | ||
공보관실[4] | 공보담당관실ㆍ보도담당관실 | |
군사시설이전정책관실[5] | 군부대이전정책과ㆍ미군부대이전과 | |
금호강르네상스추진기획관실[5][6] | 금호강개발과ㆍ수변개발과[6] | |
정책총괄조정관실[5] | ||
소방안전본부 | 소방행정과ㆍ예방안전과ㆍ현장대응과ㆍ119종합상황실ㆍ소방감사담당관실 | |
대구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 사무국 | 자치경찰행정과ㆍ자치경찰정책과 |
대구광역시감사위원회[6] | ||
행정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기획조정실 | 정책기획관실 | 광역협력담당관실ㆍ예산담당관실ㆍ세정담당관실ㆍ평가담당관실ㆍ법무담당관실[6]ㆍ지능정보화담당관실 |
시민안전실 | 보건의료정책관실 | 안전정책과ㆍ사회재난과ㆍ자연재난과ㆍ민생사법경찰과ㆍ감염병관리과ㆍ건강증진과ㆍ위생정책과 |
행정국 | 총무과ㆍ자치행정과ㆍ인사혁신과ㆍ소통민원과ㆍ회계과 | |
복지국 | 복지정책과ㆍ희망복지과ㆍ어르신복지과ㆍ장애인복지과 | |
청년여성교육국[6] | 교육협력정책관ㆍ여성가족과ㆍ청년정책과ㆍ청소년과ㆍ출산보육과 | |
문화체육관광국 | 문화예술정책과ㆍ문화콘텐츠과[6]ㆍ체육진흥과ㆍ관광과 | |
교통국 | 교통정책과ㆍ버스운영과ㆍ택시물류과ㆍ도로과ㆍ철도시설과ㆍ교통정보서비스센터 | |
경제부시장 산하 하부조직 | ||
혁신성장실[6] | 혁신성장정책관실 | 에너지산업과ㆍ미래모빌리티과ㆍ의료산업과ㆍ기계로봇과ㆍ신기술심사과 |
경제국 | 경제정책관실 | 일자리노동정책과ㆍ민생경제과ㆍ산단진흥과ㆍ창업진흥과ㆍ섬유패션과ㆍ국제통상과[6]ㆍ농산유통과 |
미래ICT국[6] | 디지털혁신전략과ㆍAI영어블록체인과[6]ㆍ빅데이터과[6]ㆍ벤처혁신과 | |
환경수자원국[6] | 환경정책과ㆍ기후대기과ㆍ자원순환과ㆍ수질개선과ㆍ공원조성과ㆍ산림녹지과ㆍ맑은물정책과 | |
도시주택국 | 도시계획과ㆍ건축주택과ㆍ도시정비과ㆍ건설산업과ㆍ도시디자인과[6]ㆍ토지정보과ㆍ서대구역세권개발과ㆍ신청사건립과 | |
통합신공항건설본부[7] | 공항정책과ㆍ신공항건설과ㆍ종전부지개발과 | |
원스톱기업투자센터[5] | 투자유치과[6]ㆍ기업지원과 |
3. 1. 시장 직속
대구광역시청 시장 직속 기관은 다음과 같다.[4][5][6]기관 | 하부조직 | |
---|---|---|
공보관실 | 공보담당관실, 보도담당관실 | |
군사시설이전정책관실 | 군부대이전정책과, 미군부대이전과 | |
금호강르네상스추진기획관실 | 금호강개발과, 수변개발과 | |
정책총괄조정관실 | ||
소방안전본부 | 소방행정과, 예방안전과, 현장대응과, 119종합상황실, 소방감사담당관실 | |
대구광역시자치경찰위원회 | 사무국 | 자치경찰행정과, 자치경찰정책과 |
대구광역시감사위원회 |
3. 2. 행정부시장
대구광역시 행정부시장은 시장의 권한을 위임받거나 대행하며, 여러 산하 부서를 관리한다.[4][5][6][7] 행정부시장 산하에는 기획조정실, 시민안전실, 행정국, 복지국, 청년여성교육국, 문화체육관광국, 교통국 등이 있다.기획조정실은 정책기획관실을 통해 광역협력, 예산, 세정, 평가, 법무, 지능정보화 등의 업무를 담당한다. 시민안전실은 보건의료정책관실을 중심으로 안전, 사회재난, 자연재난, 민생사법경찰, 감염병 관리, 건강 증진, 위생 정책을 담당한다.
행정국은 총무, 자치행정, 인사혁신, 소통민원, 회계 관련 업무를 처리한다. 복지국은 복지정책, 희망복지, 어르신복지, 장애인복지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청년여성교육국은 교육협력정책관을 중심으로 여성가족, 청년정책, 청소년, 출산보육 관련 업무를 수행한다.
문화체육관광국은 문화예술정책, 문화콘텐츠, 체육진흥, 관광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교통국은 교통정책, 버스운영, 택시물류, 도로, 철도시설,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운영을 담당한다.
3. 3. 경제부시장
대구광역시 경제부시장은 산하에 혁신성장실, 경제국, 미래ICT국, 환경수자원국, 도시주택국, 통합신공항건설본부, 원스톱기업투자센터를 두고 있다.[6][7]혁신성장실은 혁신성장정책관실 아래에 에너지산업과, 미래모빌리티과, 의료산업과, 기계로봇과, 신기술심사과를 두고 있다.[6]
경제국은 경제정책관실 아래에 일자리노동정책과, 민생경제과, 산단진흥과, 창업진흥과, 섬유패션과, 국제통상과, 농산유통과를 두고 있다.[6]
미래ICT국은 디지털혁신전략과, AI블록체인과, 빅데이터과, 벤처혁신과를 두고 있다.[6]
환경수자원국은 환경정책과, 기후대기과, 자원순환과, 수질개선과, 공원조성과, 산림녹지과, 맑은물정책과를 두고 있다.[6]
도시주택국은 도시계획과, 건축주택과, 도시정비과, 건설산업과, 도시디자인과, 토지정보과, 서대구역세권개발과, 신청사건립과를 두고 있다.[6]
통합신공항건설본부는 공항정책과, 신공항건설과, 종전부지개발과를 두고 있다.[7]
원스톱기업투자센터는 투자유치과와 기업지원과를 두고 있다.[5][6]
3. 4. 직속기관
대구광역시공무원교육원은 대구광역시 소속 공무원의 교육 훈련을 담당하는 기관이다. 대구광역시보건환경연구원은 대구광역시의 보건 및 환경에 대한 연구와 검사를 수행하는 기관이다. 대구광역시농업기술센터는 대구광역시의 농업 기술 개발과 보급을 담당하는 기관이다.대구광역시119특수대응단은 대구광역시에서 발생하는 각종 재난 및 사고에 대응하는 기관이다. 대구광역시시민안전테마파크는 시민들에게 안전 교육을 제공하는 시설이다.
대구광역시에는 8개의 소방서가 설치되어 있다. 중부소방서, 동부소방서, 서부소방서, 북부소방서, 수성소방서, 달서소방서, 달성소방서, 강서소방서가 그것이다.
3. 5. 사업소
대구광역시상수도사업본부, 대구광역시도시건설본부, 대구광역시도시관리본부, 대구광역시서울본부, 대구광역시차량등록사업소, 대구광역시농수산물도매시장관리사무소 등이 있다.4. 산하 자치단체
wikitext
대구광역시에는 8개의 자치단체(7개 구, 1개 군)가 있다.
5. 정원
대구광역시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은 다음과 같다.[2]
총계 | 2,045명 | |
---|---|---|
정무직 계 | 3명 | |
1명 | ||
1명 | ||
1명 | ||
colspan=3 | | ||
일반직 계 | 1,859명 | |
2명 | ||
458명 | ||
1,394명 | ||
5명 | ||
colspan=3 | | ||
별정직 계 | 18명 | |
1명 | ||
13명 | ||
4명 | ||
colspan=3 | | ||
연구직 계 | 5명 | |
5명 | ||
colspan=3 | | ||
소방직 계 | 160명 | |
5명 | ||
155명 |
6. 재정
2022년 대구광역시의 총예산은 전년도에 비해 8.04% 증가한 10조 1,444억 원이다.[3] 총수입·총지출 기준 재정 규모는 다음과 같다. 다만, 합계를 제외한 부분은 공기업특별회계가 포함되지 않았다.
구분 | 세입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지방세수입 | 3조 5,200억 원 | |
세외수입 | 2,337억 3,936만 5,000원 | |
지방교부세 | 1조 1,954억 5,670만 원 | |
보조금 | 3조 3,501억 3,044만 4,000원 | |
지방채 | 2,498억 1,000만 원 | |
보전수입 등 및 내부거래 | 1조 343억 6,349만 1,000원 |
구분 | 세출예산 | 작년 대비 증감 | |
---|---|---|---|
분야 | 부문 | ||
일반공공행정 | 1조 3,786억 315만 2,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입법및선거관리 | 55억 9,061만 3,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지방행정·재정지원 | 7,297억 877만 7,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재정·금융 | 5,055억 7,181만 6,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일반행정 | 1,377억 3,194만 6,000원 | |
공공질서및안전 | 1,798억 3,808만 5,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경찰 | 53억 1,340만 8,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재난방재·민방위 | 1,027억 7,631만 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소방 | 717억 4,836만 7,000원 | |
교육 | 6,184억 7,375만 9,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유아및초중등교육 | 5,865억 1,695만 원 | |
style="border-top:hidden" | | 고등교육 | 272억 337만 5,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평생·직업교육 | 47억 5,343만 4,000원 | |
문화및관광 | 2,630억 486만 9,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예술 | 1,495억 4,863만 5,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관광 | 170억 8,433만 5,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체육 | 826억 250만 8,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문화재 | 137억 6,939만 1,000원 | |
환경 | 1,639억 5,615만 4,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상하수도·수질 | 92억 9,264만 9,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폐기물 | 434억 5,855만 8,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대기 | 341억 994만 1,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자연 | 94억 2,639만 1,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환경보호일반 | 676억 6,861만 5,000원 | |
사회복지 | 3조 8,903억 8,988만 8,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기초생활보장 | 1조 2,879억 7,897만 1,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취약계층지원 | 4,742억 563만 4,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보육·가족및여성 | 7,600억 6,400만 9,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노인·청소년 | 1조 2,602억 4,861만 4,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노동 | 905억 3,364만 7,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보훈 | 173억 5,901만 3,000원 | |
보건 | 3,290억 3,400만 2,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보건의료 | 3,215억 8,056만 9,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식품의약안전 | 74억 5,343만 3,000원 | |
농림해양수산 | 680억 1,988만 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농업·농촌 | 448억 4,919만 2,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임업·산촌 | 231억 7,068만 8,000원 | |
산업·중소기업및에너지 | 5,969억 4,917만 7,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금융지원 | 1,500억 9,729만 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기술지원 | 1,605억 7,675만 5,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무역및투자유치 | 466억 5,691만 6,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진흥·고도화 | 2,294억 5,540만 8,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에너지및자원개발 | 89억 3,434만 4,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중소기업일반 | 12억 2,846만 4,000원 | |
교통및물류 | 1조 990억 7,401만 9,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도로 | 1,945억 3,110만 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도시철도 | 2,782억 7,906만 8,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항공·공항 | 73억 9,285만 원 | |
style="border-top:hidden" | | 대중교통·물류 등기타 | 6,188억 7,100만 1,000원 | |
국토및지역개발 | 3,090억 4,814만 8,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수자원 | 32억 1,571만 1,000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지역및도시 | 2,990억 6,473만 원 | |
style="border-top:hidden" | | 산업단지 | 67억 6,770만 7,000원 | |
과학기술 | 412억 3,838만 5,000원 | rowspan=2 | | |
style="border-top:hidden" | | 과학기술연구지원 | ||
예비비 | 333억 2,465만 원 | rowspan=2 | | |
style="border-top:hidden" | | 예비비 | ||
기타 | 6,125억 4,583만 2,000원 | rowspan=2 | | |
style="border-top:hidden" | | 기타 |
참조
[1]
문서
국가직 제외
[2]
법령
대구광역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시행규칙 별표 2
[3]
웹인용
세입세출예산서
https://jumin.daegu.[...]
2022-12-04
[4]
문서
2024년 10월 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5]
문서
2025년 10월 6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6]
문서
개방형 직위
[7]
문서
2023년 6월 30일까지 존속하는 한시조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