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맥 협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동맥 협착은 대동맥의 특정 부위가 좁아지는 선천적인 심혈관 질환이다. 협착 위치에 따라 관전형, 관형, 관후형으로 분류되며, 관후형이 성인에게 가장 흔하게 나타난다.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성장 부진, 고혈압, 하지의 약한 맥박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심한 경우 팔의 고혈압과 하지의 저혈압이 특징적이다. 진단은 흉부 X선, 자기공명혈관조영술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수술적 절제술, 혈관 성형술 등이 있으며, 예방은 불가능하다. 수술 후 고혈압, 재협착, 관상 동맥 질환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1944년 스웨덴에서 최초로 수술이 시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동맥 질환 - 대동맥류
대동맥류는 대동맥의 일부가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질환으로, 위치에 따라 분류되며 대부분 증상이 없지만 파열 시 사망에 이를 수 있고, 고혈압, 흡연 등이 위험 요인이며, 크기와 위치에 따라 약물 치료, 수술, 스텐트 삽입술 등으로 치료한다. - 대동맥 질환 - 복부대동맥류
복부대동맥류는 복부 대동맥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질환으로 흡연, 알코올 섭취, 유전적 요인, 동맥경화 등이 원인이며, 무증상으로 진행되다 복부, 가슴, 허리 통증을 유발하고 심각한 경우 대동맥 파열로 이어져 저혈량 쇼크를 일으킬 수 있으며, 금연과 혈압 관리를 통해 예방하고 크기와 증상에 따라 약물, 개복 수술, 혈관 내 치료를 고려한다.
대동맥 협착 | |
---|---|
개요 | |
질병 종류 | 선천성 심장 질환 |
위치 | 대동맥 |
설명 | 대동맥의 비정상적인 협착 |
증상 | |
증상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원인 및 위험 요소 | |
원인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위험 요소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진단 및 감별 진단 | |
진단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감별 진단 | 대동맥 판막 협착 |
치료 및 예방 | |
치료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약물 치료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예방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빈도 및 사망률 | |
빈도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사망률 | (제공된 정보에 없음) |
기타 | |
동의어 | 대동맥 좁아짐 |
추가 정보 | |
분야 | 중재 심장학 |
참고 문헌 | 미국 심장 협회 (American Heart Association) - 대동맥 협착 (Coarctation of the Aorta) Groenemeijer, BE, Bakker, A, Slis, HW, Waalewijn, RA, & Heijmen, RH (2008). An unexpected finding late after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Netherlands Heart Journal, 16(7–8), 260–3. doi:10.1007/bf03086158 |
2. 분류
대동맥 협착은 협착의 위치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31][3]
- 관전형 협착 (Preductal coarctation): 동맥관 이전 부위에 협착이 발생한다.
- 관형 협착 (Ductal coarctation): 동맥관 삽입 부위에 협착이 발생한다.
- 관후형 협착 (Postductal coarctation): 동맥관 삽입 부위보다 먼 쪽에 협착이 발생한다.
대동맥 판막 협착은 대동맥판막 또는 그 근처의 대동맥 기저부에서 발생하며, 대동맥 협착은 동맥관 근처의 대동맥궁에서 발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7]
임상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분류하기도 한다.
- 대동맥 협착 복합체 (CoA-complex)
- 단순성 대동맥 협착 (simple-CoA)
2. 1. 관전형 협착 (Preductal coarctation)
동맥관 이전 부위에 협착이 발생한다. 태아기에 심장 좌측 혈류 감소로 인해 대동맥 발육 부전이 초래될 수 있다. 터너 증후군 환아의 약 5%에서 발견된다.[32][4]2. 2. 관형 협착 (Ductal coarctation)
동맥관 삽입 부위에 협착이 발생한다. 주로 동맥관이 닫힐 때 증상이 나타난다.[3]2. 3. 관후형 협착 (Postductal coarctation)
동맥관 삽입 부위보다 먼 쪽에 협착이 발생한다. 성인에게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유형이다. 늑골의 새김 (측부 순환으로 인해), 상지의 고혈압, 하지의 약한 맥박과 관련이 있다.[6] 태아기에 근육형 동맥(동맥관)이 탄력형 동맥(대동맥)으로 확장되면서 발생할 수 있으며, 출생 시 동맥관의 수축 및 섬유화로 인해 대동맥 내강이 좁아진다.[6]3. 증상
경미한 대동맥 협착은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증상이 있는 경우 호흡 곤란, 식욕 부진, 성장 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소아는 혈류 문제, 심장비대와 관련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어지럼증, 실신, 흉통, 피로, 두통, 코피, 다리 냉감, 운동 시 다리 통증(파행)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 팔의 동맥 고혈압과 하지의 저혈압이 특징적이다. 하지에서 약한 맥박이 촉진된다. 왼쪽 쇄골하 동맥 이전 협착 시, 좌우 요골 맥박의 차이(요골-요골 지연)가 나타날 수 있다. 왼쪽 쇄골하 동맥 이후 협착 시, 요골-대퇴 지연이 나타날 수 있다.
대동맥 축착은 여성에 비해 남성에게 약 2배 더 일반적이며,[8] 터너 증후군이 있는 여성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8]
4. 진단
자기공명혈관조영법을 사용하면 대동맥 협착증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10대나 성인의 경우 보통 심초음파검사로 결정을 내리지는 않는다. 영상 검사를 통해 갈비뼈 하부의 흡수가 보일 수 있는데, 이는 그곳을 지나는 신경혈관 다발의 혈류 증가 때문이다. 대동맥궁과 왼쪽 빗장밑 동맥의 협착 전 확장, 그리고 대동맥 축착 부위의 함몰은 X-ray에서 전형적인 '3자 모양 징후'를 나타낸다.[9][10][11] 이 징후의 특징적인 팽창은 경추 갈비뼈 폐쇄 부위에서 대동맥 대동맥벽의 안쪽으로의 당김으로 인한 대동맥 확장에 의해 발생하며, 그 결과 협착 후 확장이 일어난다. 이러한 생리학적 현상은 이 징후의 이름의 유래가 된 '3'자 모양을 만들어낸다. 식도에 바륨을 채우면 역 3자 또는 E자 모양이 종종 보이는데, 이는 협착 전 및 협착 후 확장 부위의 거울상이다.[12]
대동맥 축착은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로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다. 십대와 성인의 경우 심장 초음파 검사가 결론적이지 않을 수 있다.
대동맥 축착의 심각성은 3D 렌더링된 MRI 조영제로 측정된 대동맥의 가장 작은 단면적(체표면적에 맞춰 조정됨)과 위상차 자기 공명 영상으로 측정된 내림 대동맥의 평균 심박수 보정 유속 감소의 조합으로 평가할 수 있다.[13]
5. 예방
일반적으로 대동맥 협착은 출생 시부터 존재하기 때문에 예방할 수 없다.[5] 대동맥 축착 환자를 위한 최선의 방법은 조기 발견이다. 터너 증후군, 이엽성 대동맥 판막 및 기타 가족성 심장 질환과 관련된 대동맥 축착의 징후가 있다.[5]
6. 치료
증상이 없으면 보존적 치료를 하지만, 동맥성 고혈압이 있다면 수술적 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다. 1944년 스웨덴의 클라렌스 크라포드가 최초로 대동맥 협착 수술을 시행했다.[14] 좁아진 동맥은 혈관 성형술을 통해 넓힐 수 있으며, 스텐트 이식편을 삽입하기도 한다.
협착증 발생 위험이 높은 태아를 위해, 임신 34주 이후 산모에게 하루 세 번 45% 농도의 산소를 흡입하게 하는 실험적 치료법이 연구되고 있다. 산소는 태반을 거쳐 태아에게 전달되어 태아 폐 혈관을 확장시킨다. 그 결과, 미발달된 대동맥궁을 포함한 태아 순환계의 혈류량이 증가한다. 적합한 태아는 약 2~3주간의 치료 기간 동안 대동맥궁 크기가 눈에 띄게 커진다.[15]
장기적인 예후는 좋은 편이나, 일부 환자는 이전 협착 부위에 다시 좁아짐(협착)이나 확장증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여부와 관계없이 대동맥 협착증 환자는 전문 선천성 심장 질환 센터에서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6. 1. 수술 합병증
수술적 치료에는 협착된 부위를 절제하고 다시 연결하는 재문합술이 포함된다. 이 수술과 관련된 두 가지 합병증으로는 반회 후두 신경 마비와 유미흉이 있는데, 이는 반회 후두 신경과 흉관이 서로 가까이 있기 때문이다.[17] 유미흉은 문제가 되는 합병증으로, 보통 장쇄 지방산을 없애고 중쇄 중성지방을 보충하는 식이요법 조절을 통해 보존적으로 관리한다. 보존적 치료에 실패하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17] 형광 염료는 유미가 새는 곳을 찾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8]7. 예후
대동맥 협착증 치료 후 장기적인 결과는 대체로 좋은 편이다. 이전 협착 부위에 협착이나 확장증이 다시 발생할 수 있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치료 여부와 관계없이 선천성 심장 질환 전문 센터에서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재협착이나 만성 고혈압과 같은 잠재적인 문제들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7. 1. 부작용
고혈압은 수술 후에도 지속될 수 있으며, 일반인보다 고혈압 발생 위험이 훨씬 더 높다.[20] 감지되지 않은 만성 고혈압은 동맥 부위에서 조기 죽상 동맥 경화증을 유발하여, 대동맥 협착 수술 환자의 조기 사망을 초래할 수 있다.[20]혈관 성형술 후 원래 수술 부위에서 재발성 협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영아 환자의 20~60%에서 나타난다.[21] 재협착은 다른 대동맥 절제술로 해결할 수 있다. 임상 기준은 상지와 하지 사이의 혈압 차이가 20mmHg 이상일 때 재협착으로 정의한다. 이 시술은 영아 환자에게 가장 흔하며, 성인 환자에게는 드물다. 영아 환자의 10.8%가 생후 2년 이내에 재수술을 받았고, 다른 3.1%의 어린이들이 재수술을 받았다.[24]
관상 동맥 질환(CAD)은 대동맥 협착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주요 문제이다. 수술 후 수년이 지나면 심장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빠른 속도로 심각성 수준을 거친다. 한 연구에서 대동맥 협착을 경험한 환자의 4분의 1이 나중에 심장 질환으로 사망했으며, 일부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22][23]
대동맥 협착을 앓았던 사람들은 이엽성 대동맥판 질환을 앓을 가능성이 높다. 환자의 20%에서 85%가 이 질환의 영향을 받는다. 이엽성 대동맥판 질환은 심부전의 주요 원인이며, 대동맥 협착 환자 사망 원인의 약 20%를 차지한다.[24]
7. 2. 추적 관찰
재협착 및 만성 고혈압의 위험성 때문에 개별 사례에 따라 연 1회 이하의 검진이 필요하다. 심장 전문의를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것이 중요하다.[20] 환자의 상태 심각성에 따라 심장 전문의 방문은 연 1회 또는 그 이하의 빈도로 진행되는 정기 검진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개별 사례별로 평가된다. 대동맥 협착 시술 후 심장 전문의와 정기적인 진료 일정을 유지하면 환자의 최적의 건강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오늘날에는 시술이 어린 시절에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면 기대 수명은 정상으로 간주된다. 재협착 치료는 대개 개심술 없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 재협착은 현대 시대에 들어서 점점 덜 흔해지고 있다. 협착 복구가 생후 5년 이내에 이루어진 경우 만성 고혈압 또한 훨씬 덜 심각한 문제로 보인다. 따라서 기대 수명과 삶의 질은 정상 인구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지만, 추가 치료가 필요한 소수의 환자들이 적시에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검진이 권장된다.[25]8. 역사
이 질환은 20세기 중반까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1945년 이전의 이 질환에 대한 역사는 부검 기록을 통해 이해되었으며, 그 첫 번째 사례는 1928년에 출판되었고, 1791년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사례들을 검토했다. 대동맥 축착증에 대한 첫 번째 수술은 1944년 10월 1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클라렌스 크라포드와 닐린에 의해 12세 소년에게 시행되었다.[26][27][28]
일화에 따르면, 대동맥 축착증의 첫 번째 진단 사례는 프랑스 시인 알퐁스 드 라마르틴의 딸인 줄리아의 1832년 베이루트 부검 이후에 이루어졌으며, 참고된 원고는 여전히 레바논 산의 마론파 수도원에 존재한다.
9. 관련 항목
- 소아과학
- 심장혈관외과학
- 순환기학
참조
[1]
웹사이트
Coarctation of the Aorta (CoA)
http://www.heart.org[...]
[2]
논문
An unexpected finding late after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3]
서적
Echocardiographic Diagnosi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An Embryologic and Anatomic Approach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4]
서적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W.B. Saunders
[5]
논문
Cardiovascular anomalie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Ullrich-Turner syndrome-the erlangen experience
[6]
EMedicine
Surgical Approach to Coarctation of the Aorta and Interrupted Aortic Arch
[7]
웹사이트
Aortic Stenosis
https://www.lecturio[...]
2021-07-09
[8]
논문
Coarctation of Aorta in Children
2018-12-05
[9]
서적
Fundamentals of Diagnostic Radiolog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10]
서적
General Surgery ABSITE and Board Review
McGraw-Hill
2005-08-30
[11]
서적
Quick Essentials: Emergency Medicine
ED Insight Books
2006-10-01
[12]
EMedicine
Aortic Coarctation Imaging
[13]
논문
Magnetic Resonance Imaging Predictors of Coarctation Severity
[14]
논문
The Early History of Cardiac Surgery in Stockholm
[15]
논문
Maternal hyperoxygenation in late gestation promotes rapid increase of cardiac dimensions in fetuses with hypoplastic left hearts with intrinsically normal or slightly abnormal aortic and mitral valves
[16]
논문
The Role of Cardiovascular Magnetic Resonance in Pediatric Congenital Heart Disease
[17]
웹사이트
http://www.ctsnet.or[...]
[18]
논문
Intraoperative Identification of Chyle Leak During Coarctation Repair Using Fluorescein Dye
2015-05
[19]
논문
2017 ACC/AHA/AAPA/ABC/ACPM/AGS/APhA/ASH/ASPC/NMA/PCNA Guideline for the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High Blood Pressure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2017-01-01
[20]
논문
Surgical treatment of aortic coarctation in adults: Beneficial effect on arterial hypertension.
[21]
논문
Long-term outcome after repair of coarctation in infancy: Subclavian angioplasty does not reduce the need for reoperation
[22]
논문
Coarctation of the aorta. Long-term follow-up and prediction of outcome after surgical correction
[23]
논문
Masked hypertension in young patients after successful aortic coarctation repair: impact on left ventricular geometry and function
[24]
논문
Nonductal dependent coarctation: a 20-year study of morbidity and mortality comparing early-to-late surgical repair
[25]
논문
Survivors of coarctation repair: fixed but not cured
[26]
논문
Coarctation of the aorta: natural history and outcome after surgical treatment
https://academic.oup[...]
[27]
논문
Clarence Crafoord: a giant in cardiothoracic surgery, the first to repair aortic coarctation
https://www.annalsth[...]
[28]
논문
The Surgical Treatment and the Physiopathology of Coarctation of the Aorta
[29]
웹인용
Coarctation of the Aorta (CoA)
http://www.heart.org[...]
[30]
논문
An unexpected finding late after repair of coarctation of the aorta
[31]
서적
Echocardiographic Diagnosis of Congenital Heart Disease: An Embryologic and Anatomic Approach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2]
서적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W.B. Saunders
[33]
논문
Cardiovascular anomalies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with Ullrich-Turner syndrome-the erlangen experience
[34]
논문
The Early History of Cardiac Surgery in Stockhol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