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군사판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외군사판매(Foreign Military Sales, FMS)는 미국이 우방국에 무기와 기술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대한민국은 1974년 이전에는 무상 원조나 차관 형식으로 미국으로부터 무기를 지원받았으나, 이후 FMS 방식을 통해 미군 물자 조달 가격으로 무기를 도입했다. 1987년에는 '비(非)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주요동맹국'으로 분류되었고, 2008년에는 'NATO+3국(일본, 호주, 뉴질랜드)' 수준으로 지위가 격상되었다. FMS 절차는 요청, 제안 및 수락, 가격 책정 및 지불, 인도 단계로 진행되며, 의회 통지 요건과 최종 사용 감시가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업 - 노동계급
노동계급은 마르크스주의적 정의에 따라 노동력 외에는 판매할 것이 없는 모든 사람을 포함하며, 사회의 부를 창출하지만 고등교육 접근, 노동 환경, 정치 참여 등 다양한 과제에 직면해 있다. - 산업 - 제1차 산업
제1차 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등 자연에 직접 의존하는 산업 활동으로, 식량 및 원자재 공급, 환경 보전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국가별 분류 기준에 차이가 있고 세계적으로 GDP 및 고용 비중이 감소하는 추세 속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및 일자리 창출이 과제로 남아있다. - 군사 - 테르시오
테르시오는 16세기에서 18세기 초까지 스페인 군대의 핵심 보병 부대로, 파이크병, 총병 등으로 구성되어 여러 전투에서 활약했으나 군사 개혁으로 인해 1704년 연대와 대대 체제로 개편되면서 소멸되었다. - 군사 - 군대
군대는 국가가 국방, 안보, 정책 수행을 위해 유지하는 정규 무장 조직으로, 육해공군을 기본으로 해병대, 특수부대 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전쟁 외 인도적 지원, 재난 구호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징병제나 모병제로 인원을 충원하여 군사 훈련, 무기 개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문민통제 원칙하에 운영된다.
대외군사판매 | |
---|---|
개요 | |
명칭 | 대외군사판매 (Foreign Military Sales, FMS) |
유형 | 정부 대 정부 판매 방식 |
목적 | 미국의 국가 안보 및 외교 정책 목표 지원 |
관련 기관 |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안보협력국(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DSCA) |
특징 | |
판매 대상 | 미국의 동맹국 및 우방국 |
판매 품목 | 군사 장비 군사 기술 군사 훈련 군사 지원 |
법적 근거 | 무기수출통제법 (Arms Export Control Act) |
재원 | 구매국의 자금 또는 미국의 대외 군사 자금 지원 (Foreign Military Financing, FMF) |
절차 | |
1단계 | 구매국 요청서 (Letter of Request, LOR) 제출 |
2단계 | 미국 정부 검토 및 승인 |
3단계 | 가격 및 가용성 정보 제공 (Price and Availability, P&A) |
4단계 | 정식 계약 체결 (Letter of Offer and Acceptance, LOA) |
5단계 | 장비 생산 및 인도, 훈련 지원 |
장점 | |
미국 | 외교 관계 강화 군수 산업 발전 국가 안보 증진 |
구매국 | 미국산 고품질 장비 확보 상호 운용성 증진 안보 능력 강화 |
단점 | |
미국 | 기술 유출 위험 국제 분쟁 개입 가능성 국내 일자리 감소 논란 |
구매국 | 미국 의존 심화 높은 비용 정치적 조건 (인권, 민주주의 등) |
참고 | |
관련 프로그램 | 대외 군사 자금 지원 (Foreign Military Financing, FMF) 국제 군사 교육 훈련 (International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IMET) |
기타 | |
규모 | 연간 수백억 달러 규모의 시장 |
주요 구매국 | 사우디 아라비아, 이스라엘, 이집트, 대한민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등 |
2. 대한민국
대한민국은 1987년 미국의 대외군사판매(FMS) 프로그램에 의해 '비(非)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주요동맹국'으로 분류되었으며, 2008년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는 한국의 FMS 프로그램 지위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3국(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수준으로 격상시켰다.[31]
2. 1. 구매 현황
1974년 이전에는 무상원조나 차관 형식으로 미국에서 무기를 지원받았다. 1974년 이후 대외군사판매(FMS)의 형식으로 미군 물자 조달 가격으로 우방국에게 공급하는 형식으로 무기와 기술을 이전받았다.미국의 2006년 회계연도(2005년 10월~2006년 9월)에 한국은 총 27.07억달러어치의 무기 등 군사 구매 계약을 맺었으며, 그중 정부 대 정부 간 계약 방식은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을 통해 4.09억달러, 미국 민간회사의 상용 방식을 통해 약 22.98억달러어치를 사들이기로 합의하였다.[29]
1987년 미국의 대외군사판매(FMS) 프로그램에 의해 세 번째 그룹인 `비(非)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주요 동맹국'으로 분류되었으며, 2007년 기준 지난 10년간 69억달러의 무기와 군사 장비를 수입하고 있는 미국의 5대 무기 구매국이다.[30]
2008년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는 ‘무기수출통제법(Arms Export Control Act)’을 일부 수정해 한국의 대외 무기 판매(FMS) 프로그램 지위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3국(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수준으로 격상시켰다.[31]
3. 대외군사판매(FMS) 절차
국무부는 정치-군사국(PM)을 통해, 국방부는 국방안보협력국(DSCA)을 통해 대외군사판매를 관리 및 이행한다. DSCA는 PM과 협력하여 외국 정부와의 공식적인 합의를 위해 의회를 검토하고 협의한다.[4]
3. 1. 요청 단계 (Letter of Request, LOR)
외국 정부는 미국 주재 대사관 내 국방 협력 사무소, 국방안보협력국(DSCA), 육군부, 해군부, 공군부 등 미국 군 부서나 국방부 산하 안보 협력 기구(SCO)에 구매 요청서(LOR)를 제출한다.[4] LOR에는 세 가지 유형이 있는데, 외국 정부가 추가 계획을 위해 기본적인 가격 및 가용성(P&A) 정보를 얻기 위한 LOR, 공식적인 관심 표명인 제안 및 수락서(LOA)를 위한 LOR, 그리고 기존 LOA 수정을 위한 LOR이 있다.[9]3. 1. 1. FMS 사례 식별자
각 LOR에는 국가, 이행 기관 코드(육군, 해군 또는 공군) 및 고유한 3자리 FMS 사례 지정자로 구성된 FMS 사례 식별자가 할당된다.[10][11] 예를 들어, 미국 공군(USAF) FMS 프로그램에는 USAF 본부의 감독을 나타내는 PEACE라는 단어로 시작하는 두 단어 코드명이 할당된다.[12][9]3. 2. 제안 및 수락 단계 (Letter of Offer and Acceptance, LOA)
FMS(대외군사판매) 절차에서, 구매 요청서(LOR)는 이행 기관과 (DSCA)의 검토를 거쳐 미국의 법규 준수 여부를 확인받는다. 이들 기관의 승인 후, 제안 및 수락 서한(LOA)이 국무부의 검토 및 승인을 위해 제출된다. LOA는 또한 외국 정부의 검토와 승인을 위해 전달된다.[9]3. 3. 가격 책정 및 지불
FMS 판매는 미국 정부에 비용 중립적이어야 한다. FMS 처리에 드는 정부의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행정 수수료, 계약 관리 서비스(CAS), 비경상 비용(NC) 및 기타 수수료가 LOA에 설명된 지불 일정에 포함된다.[9]LOA에는 일반적으로 초기 예치금과 향후 분기별 납부로 구성된 외국 정부의 예상 지불 일정이 포함되어 있다. 지불 방법은 일반적으로 대외 군사 자금 지원, 외국 정부의 자금 또는 미국과의 기존 양해 각서(MOA) 또는 양해 각서(MOU)로 구성된다. 지불은 수표 또는 전신 송금을 통해 1USD로 국방 재무 및 회계 서비스(DFAS)에 이루어진다.[9]
3. 4. 인도
인도는 대외군사판매와 관련하여, 판매 제안서(LOA)를 수락한 후 국방 재무 회계국(DFAS)의 승인을 받아 대외 군사 판매(FMS)를 실행하고 방산 물자와 용역 조달을 시작할 수 있다. 주요 FMS 사례는 기존 미국 정부 재고에서 품목을 조달하거나 신규 생산을 포함할 수 있다.[9]국방부 정책에 따르면, 구매자는 구매한 물품의 운송 및 인도를 책임진다. 구매자는 상환 방식으로 국방 운송 시스템(DTS)을 사용하거나 자체 화물 운송 업체를 사용하여 운송 및 인도를 관리할 수 있다.[13][9]
4. 의회 통지 요건
대외군사판매(AECA) 제36(b)조(22 U.S.C. §2776(b))는 방위 장비 판매에 대해 미국 의회에 통지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여기에는 다음의 경우가 포함된다.[14]
가치 | 품목 |
---|---|
1,400만 달러 이상 | 방위 장비 |
5,000만 달러 이상 | 방위 물품 또는 용역 |
2억 달러 이상 | 설계 및 건설 용역 |
이러한 경우 제안 및 수락 서한(LOA) 발급 30일 전에 의회에 통지해야 한다.
또한, NATO 회원국,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대한민국, 이스라엘, 또는 뉴질랜드에 대해서는 다음의 경우 LOA를 발급하기 15일 전에 의회에 통지해야 한다.[14]
가치 | 품목 |
---|---|
2,500만 달러 이상 | 주요 방위 장비의 판매, 개량 또는 업그레이드 |
1억 달러 이상 | 방위 물품 또는 용역 |
3억 달러 이상 | 설계 및 건설 용역 |
4. 1. 예외 조항
2019년 5월 24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이란의 공격"을 억제하기 위해 81억달러 규모의 "22건의 미결 무기 이송"을 완료하고자 AECA 섹션 36 비상 조항을 발동하여 요르단,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에 무기를 판매했다.[15][16][17][18] 7월 24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Paveway 폭탄 공동 생산 금지(S.J.Res. 36), AGM-65 매버릭 미사일 및 Paveway 시스템 유지보수 서비스 이송 금지(S.J.Res. 37), Paveway IV 폭탄용 Aurora Fuzing System 제조 지원을 위한 기술 데이터 이송 금지(S.J.Res. 38)에 대한 거부권을 행사했다.[19][20] 7월 29일 상원 투표에서 거부권 재심사는 부결되었다.[21]2022년 4월 24일, DSCA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이 "미국의 국가 안보 이익"을 위해 우크라이나에 "비표준 탄약 판매가 필요한 비상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하여 AECA 섹션 36 비상 면제 조항을 발동했음을 의회에 통보했다.[22]
2023년 12월 8일, DSCA는 블링컨 장관이 이스라엘에 155 mm 구경 155 mm 포탄과 "관련 장비" 및 120 mm 전차 포탄의 "즉각적인 판매가 필요한 비상 상황"이 존재한다고 결정하여 AECA 섹션 36(b) 비상 면제를 발동했음을 의회에 통보했다.[23][24]
5. 최종 사용 감시(End-use Monitoring)
외국 정부는 미국이 제공하는 방위 물자, 훈련 및 서비스를 의도된 목적으로만 사용하는 데 동의해야 한다. 최종 사용 감시(EUM)는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의 안보 협력 사무소에 배정된 미국 정부 인원이 수행한다.[9]
참조
[1]
웹사이트
Advancing U.S. interests through security cooperation
https://www.brooking[...]
2021-02-15
[2]
웹사이트
America sold $175 billion in weapons abroad in FY20
https://www.defensen[...]
2022-08-08
[3]
웹사이트
Conventional Arms Transfers to Developing Nations, 2007-2014
https://crsreports.c[...]
2024-05-24
[4]
웹사이트
Transfer of Defense Articles: Foreign Military Sales (FMS)
https://crsreports.c[...]
2024-05-24
[5]
웹사이트
Foreign Military Sales (FMS)
https://www.dsca.mil[...]
2022-08-08
[6]
서적
Arms Proliferation Policy: Support to the Presidential Advisory Board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1996
[7]
웹사이트
U.S. Arms Sales and Defense Trade
https://www.state.go[...]
2024-05-24
[8]
뉴스
Fiscal Year 2023 U.S. Arms Transfers and Defense Trade
https://www.state.go[...]
2024-02-05
[9]
서적
Foreign Customer Guide
https://www.dsca.mil[...]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2018-07-15
[10]
서적
Security Assistance Management Manual
Defense Security Cooperation Agency
[11]
웹사이트
Case Identifier
https://samm.dsca.mi[...]
2024-05-24
[12]
웹사이트
U.S. Military Code Names
http://www.designati[...]
2015-03-25
[13]
웹사이트
Defense Transportation System (DTS)
https://samm.dsca.mi[...]
2024-05-24
[14]
웹사이트
Arms Sales: Congressional Review Process
https://crsreports.c[...]
2024-05-24
[15]
웹사이트
Emergency Notification of Arms Sales to Jordan, the United Arab Emirates, and Saudi Arabia
https://2017-2021.st[...]
2024-05-24
[16]
웹사이트
UNITED ARAB EMIRATES (UAE) – JAVELIN GUIDED MISSILES
https://www.dsca.mil[...]
2024-05-24
[17]
웹사이트
UNITED ARAB EMIRATES (UAE) – RQ-21A BLACKJACK UNMANNED AIR VEHICLES
https://www.dsca.mil[...]
2024-05-24
[18]
웹사이트
UNITED ARAB EMIRATES (UAE) – ADVANCED PRECISION KILL WEAPON SYSTEM (APKWS)
https://www.dsca.mil[...]
2024-05-24
[19]
뉴스
Trump Vetoes Bipartisan Resolutions Blocking Arms Sales to Gulf Nations
https://www.nytimes.[...]
2024-05-24
[20]
뉴스
Trump vetoes Congress’s attempt to block arms sales to Saudi Arabia
https://www.washingt[...]
2024-05-24
[21]
뉴스
Senate Fails to Override Trump’s Veto on Saudi Arms Sales
https://www.nytimes.[...]
2024-05-24
[22]
웹사이트
UKRAINE – NON-STANDARD AMMUNITION
https://www.dsca.mil[...]
2024-05-24
[23]
웹사이트
ISRAEL – M830A1 120MM TANK CARTRIDGES
https://www.dsca.mil[...]
2024-05-24
[24]
웹사이트
ISRAEL – 155MM ARTILLERY AMMUNITION
https://www.dsca.mil[...]
2024-05-24
[25]
서적
アメリカの防衛・安全保障協力――大国の戦略と変遷
https://www.spf.org/[...]
笹川平和財団
[26]
웹사이트
令和3年版防衛白書
http://www.clearing.[...]
防衛省
2022-02-23
[27]
간행물
장기계약법과 후년도부담 -방위장비품의 조달과 방위관계비를 둘러싼 국회논의-
https://www.sangiin.[...]
참의원상임위원회조사실・특별조사실
2019-07-01
[28]
문서
FMS의 한층 더 개선
https://www.mod.go.j[...]
방위성 장비정책과
2008-01
[29]
뉴스
한국, 지난해 27억700만달러 대미 군사구매 계약
http://news.naver.co[...]
[30]
뉴스
美무기 신속하고 값싼 구매 길 열리나
http://news.empas.co[...]
연합뉴스
2007-08-15
[31]
뉴스
한국 지위 격상…美무기 도입때 ‘나토 수준’ 대우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8-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